주로 일식집에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모든 요리방식을 주방장(셰프)에게 맡겨서
주는대로 먹는 것을 칭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일본의 장인정신에 대한 존경과 칭송의
의미로 보입니다.
사전에 나오는
오마카세[お任(まか)せ]의 해설입니다.
☕ 오마카세[お任(まか)せ]의 뜻:
'맡긴다'라는 뜻의 일본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며, 일상에서
단순히 '오마카세'라고만 쓰면 주로 대접 받을 메뉴의 종류 및 그 요리 방식을 셰프에게 모두 맡기는 형식을 말한다. |
그런데 여기서 お(오)는 한자어 御(어)로
다스릴 어, 임금 어입니다.
그런데 저는 ‘어!’로 보입니다
뭔가 예기치 못한 범접하기 힘든 상황이겠지요.
물론 일본에서는 존경스럽고 고귀한 것에
이 어(御)를 붙여 사용합니다.
존경, 공손, 친밀의 의미로도 보입니다.
제가 보기엔 놀란 상황의 ‘어!’로 생각이 듭니다.
마카세(任(まか)せ)도 금방 알아 봤습니다.
우리말 ‘맡겼어’로 보였습니다.
일본어에는 ‘어’, ‘여’같은 발음이 없습니다.
경상도사투리에 ‘형님’을 ‘헹님’으로 부릅니다.
경상도지방과 일본이 거리가 가깝다 보니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제 친구중에는 지금도 이 발음을
‘헹님’으로 밖에 할 수 없는 친구도 있습니다.
한자 임(任)도 ‘맡길 임’입니다
어떻게 '임'과 '맡기다'를 같이 씁니까?
우리나라는 음과 훈을 같이 쓰지 않습니다.
일본에는 섞어서 쓰기에 읽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발음을 옆에 따로 표기를 해 둡니다
이런 것들을 정리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어쩌면 정리를 하면 한글에서 파생된 것을
인정하는 꼴이 되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네요.
그래서 일본어가 엉터리라고 하는 것입니다
오마카세(お任(まか)せ)는 ‘오! 맡겼어’로 보입니다.
또는 ‘맡기세’로도 볼 수 있겠네요.
전체의 의미로 보면
‘오! (주방장에게 알아서 해달라고 다) 맡겼어?’가
되겠지요.
우리말이 한자와 일본어로 섞여서
표시된 순간을 보시고 계십니다.
이렇게 일본어는 섬에서 오랫동안
고립된 ‘고립어(孤立語)’가 되었습니다.
일본어는 고대백제어와 고대고구려어가
그네들의 근간을 이룬 문자입니다.
임(任: 맡길 임)자가 오마카세로 불려지고
그 뜻과 의미를 알려주는 사전이나
인터넷도 없었습니다.
그냥 제가 찾아낸 것입니다.
이렇게 일본어는 우리말을 한자에다 붙여씁니다.
백제(百濟)를 ‘크다라(くだら)’라고 한다고 했죠?
‘큰 나라’라는 의미의 ‘(백제가) 크더라’입니다.
고맙다는 말 ‘고코로(こころ)’도 ‘거꾸로’입니다.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줘서 감사하다’라는 말입니다.
거꾸로 생각을 해줘서 고맙다는 것이겠지요.
일본의 고대 향가(鄕歌)도 우리말로만 풀린답니다.
하긴 중국의 한자의 원조인 고대한자도
우리말로 풀어지긴 매번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우리말이 원조라는 말이 되겠지요
이 단어도 제가 찾아낸 작품입니다.
기분이 아주 좋습니다.
44. お任(まか)せ (오마카세, 맡기다):
오! (주방장에게) 맡기세,
⇒ 오! (주방장에게) 맡기다가 어원
3338. leave (리이브, 떠나다, 남기다, 맡기다,
출발하다, 휴가, 허가):
(도망가듯이) 내빼,
⇒ (도망가듯이) 내빼다가 어원
* 네덜란드: gaan
[간⇒ 가다, 걷다, 움직이다]
((어디론가) 간)
* 덴마크: gå fra
[고 퐈⇒ 떠나다]
(가 뿌라)
* 라틴어: relinquo
[렐린쿼⇒ 두고 가다, 떠나다]
(놔 놓고 (떠나다))
* 핀란드: lähteä
[래떼아⇒ 출발하다]
((떠나게) 냅 둬)
* 이탈리아: partìre
[빠르띠레⇒ 출발하다, 분리하다]
((가려면) 빨리 뛰래)
* 프랑스: partir
[빡띠어⇒ 출발하다, 떠나다]
(빨리 뛰어 (가))
* 폴란드: odchodzić
[오드코디치⇒ 떠나다, 출발하다]
(어디 간댔지?)
* 크로아티아: otići
[오티치⇒ 지나가다, 사라지다]
(어딨지?)
* 노르웨이: forlate
[폴라오따⇒ 떠나다, (죄를) 사하다]
((부끄러워서) 볼 낯 없다)
* 포르투갈: deixar
[데이샤르⇒ 놓고 가다, 그만 두다]
((너는) 더 있어라)
* 독일: fortkommen
[포트코멘⇒ 사라지다, 떠나다]
(퍼뜩 가면)
* 헝가리: tovabball
[또바발⇒ 달아나다, 떠나다]
((가려면 빨리) 떠 봐봐라)
* 그리스: αφήνω
[아피노⇒ 포기하다, 석방하다]
((다 주고) 와삐노?)
* 체코: dovolená
[도볼레나⇒ 휴가, 긴 여행]
((언제) 또 볼라나?)
* 튀르키예: kalk-
[갈크⇒ 떠나다, 일어나다]
((어디로) 갈까?)
* 스페인: salir
[살리르⇒ 나가다, 떠나가다]
((사람들을) 살리러 (떠난다))
* 스웨덴: lämna
[람나⇒ 떠나다, 제공하다]
((난 떠나는데 너는, 물건이) 남나?)
* 일본: 離(はな)す
[하나스⇒ 이별하다, 떠나다]
((떠난다고 해서) 화났어)
* 베트남: từ bỏ
[뜨 보어⇒ 그만두다, 끊다]
((이 곳을) 떠 봐)
* 중국: 离开
[리 카이⇒ 떠나다, 헤어지다]
(離開: 이개)
* 한국: 떠나다
* 인도네시아: meninggalkan
[므닝갈깐⇒ 두고 가다, 떠나다]
(멀리 갈까 하는)
* 페르시아: عزیمت کردن
[아지마 칸다네⇒ 출발하다, 떠나다]
((따라) 오지마 간다네)
* 히브리(현대): הסתלק
[이스탈레크⇒ 떠나다, 나가버리다]
((가지 마라) 있어달라꼬)
* 우즈베키스탄: ketmoq
[케트머크⇒ 가다, 좆다]
((어디로) 갔답니까?)
* 몽골: МОРДОХ
[머르더흐⇒ 떠나다, 출발하다]
((갈 곳이) 멀다 해)
* 네팔: गइहाल्नु
[가이할누⇒ 곧 떠나다, 끝나다]
((곧) 가야 하나?)
* 태국: บริกรม
[머리끄롬⇒ 떠나다, 통과하다]
((서로) 멀리 있구로)
* 말레이시아: pergi
[쁠기⇒ 가다, 떠나다]
(빠르게 (가다))
* 아랍: غَرَّبَ
[가라데⇒ 떠나다, 쫓아내다]
(가라하데 (그래서 간다))
* 힌디: टलना
[떨나⇒ 떠나다, 빠져나가다]
((어디로) 떠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