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BSD 5.4-RELEASE 위에 Xorg를 기본으로 X11을 설치한다.
STEP 1. X11 설치
우선 Ports Collection 에서 Xorg를 설치한다.
# cd /usr/ports/x11/xorg
# make install clean
Xorg를 전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GB의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가장 최신의 버전으로 패치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pkg_add를 이용한다.
# pkg_add -r xorg
그러면 FreeBSD의 FTP 사이트를 통해서 패치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것이다.
/etc/make.conf파일에 X_WINDOW_SYSTEM=xorg를 추가한다.
STEP 2. X11 설정
X11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아래 사항을 알아야 한다.
- 모니터 사양
- 비디오 아답터 칩셋
- 비디오 아답터 메모리
X11을 설정하는 단계는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단계는 초기 구성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수퍼유저로서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 Xorg -configure
위와 같이 실행하면 초기 구성 파일의 위치가 결과로 나온다.
보통 /root/xorg.conf.new가 된다.
다음 단계는 시스템의 그래픽 장비에 Xorg가 작동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기존 설정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 Xorg -config /root/xorg.conf.new
만약에 검정과 회색의 그리드와 하나의 X 마우스 커서가 나타난다면 그 설정은 성공적이다. 테스트를 마치려면 단순히 'Ctrl+Alt+Backspace'를 동시에 누른다.
xorg.conf.new 파일의 설정을 수정하려면, emacs 등의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하여 수정한다.
# emacs /root/xorg.conf.new
위 명령을 실행해서 구성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이 모니터의 수평해상도와 수직해상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이를 수정하여 저장한다.
...
Section "Monitor"
DisplaySize 340 270 # mm
Identifier "Monitor0"
VendorName "Monitor Vendor"
ModelName "Monitor Model"
HorizSync 30 - 83
VertRefresh 56 - 75
Option "DPMS"
EndSection
...
Section "Screen"
Identifier "Screen0"
Device "Card0"
Monitor "Monitor0"
DefaultDepth 24
SubSection "Display"
Viewport 0 0
Depth 24
Modes "1280x1024"
# Modes "1024x768"
EndSubSection
EndSection
현재 사용중인 LG FLATRON L1730S 모델의 사양은
- 수평주파수 30 ~ 83Hz
- 수직주파수 56 ~ 75Hz
- 최대해상도 1280 * 1024 @ 75Hz(Analog)
- 표시화면크기(H*V) 337.92 * 270.34mm(H*V)
이므로 위 xorg.conf.new 파일의 설정은 이를 적용한 것이다.
설정이 다 되어 테스트가 모두 완료 되었다면, 다음 단계는 Xorg 설정 파일을 찾는 위치에 이를 복사하는 것이다.
보통 Xorg의 설정 파일은 /etc/X11 또는 /usr/X11R6/etc/X11/에 있는 'xorg.conf' 파일이다.
따라서 지금 까지 구성한 설정파일을 여기에 복사한다.
# cp /root/xorg.conf.new /etc/X11/xorg.conf
물론 지금까지 구성 파일을 직접 열어서 수정하는 방법을 기술하였으나, 그래픽적으로 구성 도구가 있어 메뉴를 통해서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비디오카드, 스크린, 레이아웃 등을 선택하여 Xorg.conf에 저장할 수 있게 해 준다.
# xorgcfg -textmode
STEP 3. 폰트 설치
a. Type1 Fonts의 설치
Type1 폰트 콜렉션인 URW 폰트 콜렉션(x11-fonts/urwfonts)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 cd /usr/ports/x11-fonts/urwfonts
# make install clean
그리고 X server가 이 폰트를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etc/X11/'에 있는 'xorg.conf' 파일에 FontPath "/usr/X11R6/lib/X11/fonts/URW/"를 추가한다.
마찬가지로 freefonts 컬렉션도
# cd /usr/ports/x11-fonts/freefonts
# make install clean
/etc/X11/xorg.conf 파일에 다음 라인을 추가한다.
FontPath "/usr/X11R6/lib/X11/fonts/freefont/"
b. TrueType?? Fonts
/etc/X11/xorg.conf 파일의 "Module" section에 다음 라인을 추가한다.
Load "freetype"
이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TrueType fonts를 위한 디렉토리를 만들고, (for example, /usr/X11R6/lib/X11/fonts/TrueType) 모든 트루타입 폰트를 이디렉토리 밑에 복사한다. 그리고 'ttmkfdir'을 사용하여 fonts.dir파일을 생성한다.
'ttmkfdir'은 the FreeBSD Ports Collection인 x11-fonts/ttmkfdir로서 사용 가능하다
# cd /usr/ports/x11-fonts/ttmkfdir
# make install clean
위를 실행하기 전에 ttmkfdir 패키지가 시스템에 없다면,
# pkg_add -r ttmkfdir
실행해서 패키지를 새로 내려 받거나 업데이트 한다.
TureType 폰트들은 X11에서 사용할 수 있는 DOS,Windows,Unix 형식이어야 하며(예를 들면 C:\windows\fonts\gulim.ttc 같은 파일이다.), 이 폰트 파일들을 /usr/X11R6/lib/X11/fonts/TrueType 디렉토리 밑에 복사한다.
그리고 나서 'ttmkfdir'을 사용하여 fonts.dir파일을 생성한다.
# cd /usr/X11R6/lib/X11/fonts/TrueType
# ttmkfdir > fonts.dir
/etc/X11/xorg.conf 파일에 다음 라인을 추가한다.
FontPath "/usr/X11R6/lib/X11/fonts/TrueType/"
c. Anti-Aliased Fonts 설치
STEP 3. KDE 설치
# pkg_add -r kde
# cd /usr/ports/x11/kde3
# make install clean
X Server가 KDE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 echo "exec startkde" > ~/.xinitrc
.xinitrc 파일은 root 계정으로 로긴한 경우 통상 /root/에 의치한다.
그리고 KDE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 startx
'CTRL + ALT + BackSpace' 를 누르면 Desktop 환경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