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7.27 (수) 여행 5일차

[사진 1-781] 고쿠라역 개찰구를 나가기 위해 위층으로 올라갑니다. KIOSK 편의점 여기서 또 보네요.

[사진 1-782] 고쿠라역 위층, 개찰구 안의 우동가게입니다. 이 가게는 어딘가에서 또 언급합니다.

[사진 1-783] 운임구간 안내입니다. 아,이,우,에,오 순으로 나열했네요.
[우리나라로 따지면 가,나,다,라 순으로 나열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사진 1-784] 이걸 샀습니다.... 왕복 540엔 시모노세키행...
이 표를 산 이유는 시모노세키는 전큐슈레일패스 사용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였습니다.
원래 일정에서 시모노세키를 넣었는데 시모노세키는 only JR 서일본 구간이니까
전큐슈레일패스로는 시모노세키를 갈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것도. 역무원에게 물어보지 않은 상태에서!!!!!
그래서 고민하다가 540엔 넣고 왕복표를 구입했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원맨님의 덧글 및 카페 내 검색을 통해 큐슈레일패스로 시모노세키를 갈 수 있다는 글을 발견했습니다.
표 구입전 직원에게 미리 물었어야 한다는 생각
모지~시모노세키 구간도 이용가능하다고 패스 약관에 적어주거나
혹은 패스 이용범위가 있는 지도에 나타냈으면 어땠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큐슈레일패스에는 패스 이용 가능한 범위를 지도로 표시해놨는데 [북큐슈, 전큐슈 모두 해당]
시모노세키는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습니다.)
물론 1순위는 이걸 미리 물어보지도 않고 성급한 판단으로 표를 구입한 제 탓이지요....
일본어 위키백과 조사 결과
시모노세키역은 큐슈가 아닌 곳(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 있지만 JR 큐슈와 JR서일본의 경계이며,
모지~시모노세키 구간은 JR 큐슈 구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행기를 쓸 때 다른글들을 봤는데 고쿠라/모지~시모노세키는
북큐슈 혹은 전큐슈로 이용할 수 없다는 글 등 의견이 여러개로 나온 것을 발견했습니다.
도대체 뭐가 맞는지 저를 당황하게 합니다...
제가 시모노세키 갔을 당시 판단을 잘못한 것을 떠나서
고쿠라/모지~시모노세키 구간은 큐슈레일패스 사용 여부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햇갈릴 수 있기 때문에
[시모노세키 갈 때 큐슈레일패스(북큐슈,전큐슈 각각 해당) 사용여부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에]
JR 큐슈가 큐슈레일패스 (북큐슈,전큐슈 모두 해당) 약관에
이 구간에 대해 전큐슈 혹은 북큐슈레일패스로 사용 가능한지, 사용 불가능한지
각각 언급을 '반드시' 해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요..)
(산요신칸센 하카타~고쿠라는 이용할 수 없다고 언급을 해줬으면서 말이죠...)

[사진 1-785] 5일차 일정과 함께해줄 그레이프 소다. 맛은.. 그렇게 많이 톡 쏘진 않더라고요...

[사진 1-786] 고쿠라역의 모노레일 개찰구. 고쿠라역에서는 모노레일도 이용가능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건 패스 ^^::


[사진 1-787,788] 고쿠라성 출구 (미나미구치) 간판과 그 주변에서 찍은 기타큐슈시 모습입니다.


[사진 1-789,790] 밖에서 바라본 산요신칸센 고가 및 산요신칸센 고쿠라역. 고쿠라역에 정차한 신칸센은 차창을 봐서 N700系??


[사진 1-791,792] 고쿠라역의 키타구치는 신칸센출구입니다.
이제 시모노세키로 갑니다.

[사진 1-793] 모지코,시모노세키 방면 열차 안내 전광판.

[사진 1-794] 고쿠라역의 에키벤 가게입니다.

[사진 1-795] 9시 25분 출발하는 열차를 탈 예정입니다.

[사진 1-796] 시모노세키행 롤지

[사진 1-797] 열차의 차량번호가 모하 414-112군요. (415계) 그리고 JR 마크가 있군요.
빨간색으로 봐서 이 마크가 JR 큐슈 마크인걸로 보입니다.

[사진 1-798] 시모노세키행 415계 선두부입니다.

[사진 1-799] 415계 내부. 415계도 크로스시트로 되어 있습니다. 다만 다른 열차에 비해 편안한 느낌이 들지 않았지만
그래도 앉을만합니다.

[사진 1-800] 고쿠라역을 출발하자마자 80km/h 넘게 속도를 냅니다.

[사진 1-801] 고쿠라역에서 모지역으로 가는 길에는 한 쪽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 1-802] 모지역 출발후 제가 탄 열차는 내려갑니다... 그리고 칸몬터널에 들어섭니다.

[사진 1-803] 칸몬터널 나온 직후 모습

[사진 1-804] 시모노세키 주변의 공업지대



[사진 1-805~807] 잘 나왔다고... 정성을 들였다고 할 순 없지만....
위 3개의 사진들은 시모노세키 차량소 운용검수센터/차량관리실 모습입니다.
(JR 서일본 소속)
(시모노세키 종합차량소 본소[주가 되는 장소]는 하타부역에 있습니다.)

[사진 1-808] 시모노세키역에 도착했습니다. JR 서일본과 JR 큐슈 의 경계가 되는 역인데 역사는 JR 서일본이 관리합니다.
그래서 시모노세키역 역명판은 JR 서일본 소속 역명판으로 되어 있습니다.
시모노세키역은 3,4,6,7,8,9번선에 홈이 있는데
3,4번선은 역 도착후 차량기지로 입고하는 열차의 하차 홈으로 사용하고
6,7,8,9번선은 산요본선(JR 서일본) 상행, 산인본선 홈으로 사용
7,8번선은 산요본선(JR 큐슈) 하행 (모지, 고쿠라 방면) 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진 1-809] 시모노세키까지 데려다준 열차는 다시 고쿠라역으로 돌아갑니다.
*다음편에서 시모노세키역을 둘러봅니다.
첫댓글 노장인 415계를 타셨네요^^ 이제 415계도 달릴 날이 많이 남지는 않은 것 같네요... 그런데 사진 806에 있는 파란색 열차는 201계인가요??
폐차 대기 중인 히네노전차구 소속이었던 103계입니다. 시모노세키종합차량소는 JR서일본 전동차들이 폐차되는 차량공장으로, 전동차들을 폐차하고 해체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제가 2002년에 큐슈레일패스로 시모노세키를 갔을 때에도 시모노세키에 큐슈 쪽의 패스로 갈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로 논란이 있었고 당연 저는 무사히 갔다왔습니다. 원칙적으로 갈 수 있습니다만 시모노세키를 갈 수 있다고 표시하지 않는 건 여행객들의 혼란을 막기 위한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큐슈레일패스인데 웬 혼슈냐고 할 수 있기 때문이겠지요. (보통 사람들은 회사 경계 같은 거 잘 모르잖아요. 수도권전철 사이의 경계도 한 예가 되지요)
큐슈레일패스로 무사히 시모노세키까지 가셨다니 다행이군요..
큐슈레일패스로 시모노세키를 갈 수 있다는 것은 9년전에도 논란이 있었군요...
저는 님께서 고쿠라 시내를 여행하실 줄 알았는데, 재래선으로 시모노세키까지 다녀오셨군요.
저는 편도가 540엔인줄 알고 놀랐었는데, 다시 자세히 보니 왕복 승차권이었군요.
님께서 약간의 손실을 입으셨지만, 이 같은 경험들이 향후 일본 여행에 있어서 더욱 치밀하게
준비하게 되는 계기로 작용하는 순기능이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이번에 큐슈레일패스로
시모노세키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새학기에 건승하시고 계속 양질의 좋은 여행기를 이어 가실 것을 기대해 봅니다.
큐슈레일패스 시모노세키 이용 관련에 대한 제 생각은 원칙적으로 된다하더라도 원맨님 말대로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고쿠라,모지역에서 미리 직원에게
북큐슈 혹은 전큐슈 레일패스로 시모노세키역을 갈 수 있는지 '반드시 미리' 물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긴 하지만요..)
혹시 큐슈레일패스로 여행을 떠나는데 시모노세키역을 갈 일이 있으시다면 고쿠라역, 모지역에서 역무원에게 미리 묻는게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새학기 잘 보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모지역에서 시모노세키역구간에 교직전환 구간인데.. 그전차선 사진은 혹시 없나요 ㅜㅜ??
찍은 사진 검색해보니까 교직전환 구간을 찍은 사진 하나가 있습니다. 다만... 며칠 기다리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