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기맥 5구간 덤바위재 ~ 지경재 ~ 상해임시정부기념관
개요
영산기맥 5구간산행에 나섭니다. 덤바위재에서 지경재까지 영광읍에서 하룻밤을 보낸후 친구와 함께 지경재에 차 한대를 주차하고 덤바위재 상무대골프장주차장에 주차후 5구간을 시작합니다. 318,2m봉인 분성산 오름길이 어렵네요 등로도 없고 361.8m봉 근처에 가니 일출이 시작됩니다. 일출을 계속해서 보게 됩니다. 올해 기분좋은 해가 될것같네요.
연정재에서 등로가 어지럽네요, 잡목과의 싸움입니다. 그러나 생각보다는 등로가 양호합니다. 가재봉에서 인증을 하고 흰바위재를 지나 밀재에 도착합니다. 여기까지는 무난한 산행인데 밀재에서 등산화가 이상해보니 아뿔사! 등상화 밑창이 너덜너덜합니다. 3~4년 모셔놨다가(아들이 사준29만짜리 등산화) 신었더니 접착제가 수명이 다해버린 모양이네요. 앞으로의 산행이 걱정됩니다. 미니 스패츠밴드를 밑어봅니다. 수양산 갈림길전망봉(용봉)에서 멋진 뷰를 보고 용문사 가는 임도를 만나 임도를 따라 갑니다 그런데 좀후회가 됩니다. 임도도 구불구불 거리도 멀고 모두 된비알입니다, 그냥 능선을 따라갈걸하면서 노루목전에서 간단히 점심을 해결하고 불갑산(모악산)에 올라 조망을 즐기고 구수재를 지나 용천봉삼각점봉을 지나고 좀 아상한 모악산이란 갈림길을 지나 노은재에 도착합니다. 화산골재까진 등로상태가 양호합니다. 화산골재 사격지휘센터계단을 올라 진행하다 체력이 떨어져 한참을 쉽니다. 등로가 블량한곳도 지나 겨우 지경재에 도착합니다.
여기서 상해임시정부청사 기념고나까지 차량으로 이동하여 기념관을 관람하고 5구간을 마칩니다 .
영산기맥 5구간 덤바위재 ~ 지경재 ~ 구봉마을
일시 : 2024년 01월 06일
날씨 : 흐림, 잠시 맑은 하늘 보임.
소재지 : 전남 영광군 묘량면, 불갑면, 장성군 삼서면, 함평군 해보면, 신광면일대
행정 : 경남 창원 ~ 전남 영광군 영광읍 ~ 1박 (1월5일) ~ 지경재 ~ 덤바위재(06:50~ 07:01) ~ 분성산(318.2m, 07:21) ~
연정재(08:07) ~ 뱃재(08:53) ~ 가재봉(281.6m, 09:05) ~ 흰바위재(09:31) ~ 밀재(10:08) ~ 310.5m봉 ~ 금산고개(10:40)
~ 임도진행 ~ 정자(중식) ~ 노루목(11:50) ~ 불갑산(517.7m, 12:10) ~ 구수재(12:49) ~ 용봉 ~ 용천봉(322.5m삼각점봉,
13:13) ~ 모악산(13:18) ~ 노은재(13:33) ~ 화산골재(14:32) ~ 지경재(15:50) ~ 구봉마을 상해임시정부기념관(15:59)
산행거리 : gps 20.76km(차량이동제외) 기맥거리 : 도상 21.2km 지맥누적거리 : 53.7km +21.2km = 74.9km
총걸어온거리 : 71.55km + 20.76km = 92.31km
산행소요시간 : 8시간 57분(식사시간 휴식시간 포함)
동행 : 친구 승범이와 함께
덤바위재에서 5구간을 시작합니다.
덤바위재에서 분성산 오름길이 잡목과 산죽으로 인하여 오르기가 사납습니다. 등로도 표시안나고 무조건 정상을 향해 오릅니다. 20분이나 소요됩니다.
분성산 지나 일출도 보니 올해도 좋은일이 많을듯합니다.
연정재를 지나고
흰바위재를 지나
밀재에 도착합니다. 아래로는 밀재터널이 지나고 영광군 영광읍과 함평군 해보면을 있는 고개로 밀재휴계소에서의 일출이 유명합니다.
밀재에서 신발이 이상하여 보니 아뿔사 등산화 밑창이 떨어져 있다. 큰일났다 생각 들고 앞으로의 산행이 심히 걱정된다.
스패츠끈으로 단단히 졸라매고 산행을 이어갑니다
수양산 갈림봉(헬기장)에 도착하여 조망을 즐깁니다.
우측으로 고성산, 태청봉,장안신이 보입니다. 우측 저멀리 선운산듯합니다.
통천문?도 지나고
불갑산(517,7m)에 도착합니다 정상은 암봉으로 되어있고 좀 넓은 공터와 정상석 삼각점이 있읍니다. 연실봉정상석도 있읍니다.
불갑산은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과 함평군 해보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516m. 노령산맥에 속하며, 주위에 모악산·삼각산 등이 있다. 산세가 비교적 완만하다. 불갑산과 모악산 계곡의 물을 저장한 불갑사제·금산제·금계제 등이 있다. 북쪽 기슭 일대에는 참식나무자생지가 있으며, 참식나무자생북한계(천연기념물 제112호)이기도 한다. 북서쪽 기슭에 불갑사와 그 경내에 대웅전(보물 제830호)이 있으며, 그밖에 용문암·수도암 등이 있다. 인도 승려 마라난타가 백제 침류왕 원년인 384년에 지었다는 사찰 불갑사가 있다. 본래 모악산의 일부였다가 백제에 처음 불교가 전래된 곳이라 불갑산이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영광에서는 불갑산, 함평에서는 모악산이라 합니다. 산에서도 지역이기주의가 있는 모양입니다.
모악산인데 영 쓸쓸합니다
화산골재입니다. 우측의 사격통제소 계단길로 오릅니다.
사격통제소 위에서 힘이 들어 한참을 쉬어갑니다. 우측으로는 우곡저수지가 있읍니다.
지경재에 도착합니다. 지경재는 함평군신광면과 영광군불갑면을 연결하는 23번 국도가 지나는 고개입니다
지경재 김철 선생 숭모비에서 산행을 마치고 차량으로 상해임시정부기념관으로 이동하여 기념관을 구경합니다
상해임시정부기념관
내일은 이곳에서 출발예정입니다, 지맥도 중요하지만 이곳 기념관도 둘러보는것도 의미가 있을듯합니다.
또한 등로 상태도그렇고 서해안 곳속도로가 있어 아예 이곳에서 출발합니다.
영산기맥 6구간 독립기념관(구봉마을) ~ 건김재
개요
어제(1월 6일)의 5구간 산행에 이어 6구간을 시자합니다. 그런데 오늘 컨디션이 별로이네요. 어제 왼쪽무릅내측인대쪽이 약간 아프던데 오늘 약간 통증이 옵니다. 요즘 음주가 잦고하여 그영향이 미친것도 같고 어쨋든 출발을 하고 봅니다, 이번 산행은 처음부터 이상합니다. 그제 영광읍모텔에서 잘때는 몸이 땀이 나고 그러더니 아침에 일어나니 목감기가 심하게 거리고 어제는 신발밑창이 떨어져 신경이 쓰이더만 왼쪽무릎안쪽인대가 아프고 .... 좀 그렇네요.
옷밥고개까지 예정인데 무릎만 괜찮으면 더 갈수 있지만 더 갈지 못갈지 걱정으로 출발합니다. 상해임시정부 뒷편으로 바로 길이 있을까하고 갔으나 길이 없어 다시 구봉마을방향으로 내려와 구봉고개에 도착합니다. 구봉산까지 된비알이고 구봉산에 도착하니 염려했던 왼쪽무릎이 아파옵니다. 친구앞에서 내색은 많이 못하고 상광암 고개를 거쳐 금산에 오르는데 금산을 지나치고 말았네요. 돌아가면 100여m인데 무릎걱정으로 그냥 통과합니다, 산악인의 선서했던 그 마음이 너무 무너진듯합니다. 칡재를 거쳐 군유산에 오르는데 잡목과 키를 넘나드는 산죽으로 인해 무척 힘이 듭니다. 군유산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차경고개를 지나 가는고개에서 도로따라 마루금에 접속합니다 .백운봉에 도착하고 건감재를 내려가는데 도저히 안될것같아 건김재에서 아쉬운 6구간을 마무리합니다.
영산기맥 6구간 구봉마을 ~ 군유산 ~ 건김재
일시 : 2023년 01월 07일
날씨 : 흐림 (눈 가끔)
소재지 : 전남 함평군 신광면, 군남면, 손불면일대
행정 : 함평군 함평읍 ~ 1박(01월 06일, 07일05:00기상) ~ 웃밭골재 ~ 구봉마을 상해임시정부주차장(07:22) ~
구봉고개(07:37) ~ 구봉산(249.9m, 07:59) ~ 상광암고개(08:40) ~ 금산(307.8m삼각점봉, 09:37) ~ 칡재(10:28) ~
사간재(11:02) ~ 군유산(405.4m, 11:51, 중식 ) ~ 차경재,복성이재( 12:50) ~ 가는고개(13:21) ~
백운봉(186m삼각점봉, 13:53) ~ 건김재(838번 지방도, 14:22)
산행거리 : gps12.8km (접속 300m포함) 지맥거리 : 10.8km 지맥 누적거리 : 74.9km + 11.8km = 85.7km
총걸어온 거리 : 92.3km + 12.8 = 105.1km
산행시간 : 6시간 57분(중싣시간 포함)
동행 : 친구 이승범, 산마
임시정부기념관 뒷편으로 가보지만 등로가 없어 우측으로 돌아와 구봉고개로
249.9m구봉산에 도착합니다. 그냥 평범한 산입니다. 아래 구봉마을이 있어 구봉산이라 한듯합니다.
구봉산에서 20여m를 진행하여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좋은길로가면 알바 내가 좀먼저 갔는데 울친구가 안보여 불러보니 그냥 좋은 길로 직진해버렸네요 큰소리로 불러 같이 합류합니다.
삼각산가는 무명봉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니상광암고개의 공사장이 나옵니다
이곳은 함평공원묘원조성공사랍니다. 우측(정면)의 산을 깍아놓은 산으로 진행합니다
상광암고개에 도착합니다. 상광암고개는 전남 영광군 군남면 대덕리에 있는 고개로 신대마을솨 상광암을 있는 고개입니다.
대나무숲으로 들어섭니다, 초입이 너무 우거져 걱정했는데 막상 들어서니 그래도 양호합니다.
군유산에 도착합니다. 사간재에서 군유산까지는 키가 넘는 산죽을 지나고 잡목도 걸리고 진행에 방해가 많이 됩니다. 상당한 된비알입니다
군유산은 함평군에서 가장 높은 산 군유산(君遊山 405.5m)은 토산의 성격을 갖고 있고 전남 함평군 신광면 복성리와 송사리, 영광군 군남면 용암리 경계에 있는 암릉을 구경하기 어려울 정도로 산세가 부드러운 육산이며,산세가 군자의 위풍을 닮았다 해서 군자산이라고도 한다.
학산리와 우측의 철산대교 방향 월암산도 보이고
상치봉과 뒤가 설매산인듯
차경고개(북성리고개)에 도착합니다. 손불면 북성리와 신광면 송사리를 잇는 고개입니다.
가는고개에 내려서고
가느고개는 손불면 대전리와 신광면 송사리를 잇는고개이고 기맥 마루금은 맞은편 산으로 올라 진행해야하지만 다리가 아프다는 핑계로 도로따라 갑니다, 실제로도 많이 아프고
건김재도착하여 오늘 산행을 마칩니다.
건김재는 전남 함평군 순불면 동암리 산 107에 위치한고개로 함평군 손불면 동암리 도적골과 손불면소재지가 있는 대전리 건림재골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838번 지방도가 지나가며 도로 좌측에는 ‘古阜李氏世葬山(고부이씨세장산)’비가 폐기물 야적장 안에 있다.
고개 이름은 우측 아래 동네인 손불면 대전리 저전(楮田) 마을에서 따온 것으로, 이 마을에는 본래 함풍이씨가 살았다고 전해오나 밝힐 자료가 없고, 1550년 경 나주임씨 임열(林悅)이 아들 첩(堞)과 함께 입향하였고, 1750년경 김해김씨(金海金氏) 김광재(金光載)가, 1790년경 밀양박씨(密陽朴氏) 박중백(朴重伯)이, 1810년경 광산김씨(光山金氏) 김기채가 입촌하였다. 은곡(隱谷)과 저전(楮田) 마을로 분리되었으나 마을이 연결되어 있어 한마을이 되었으며, 지금은 "수문"이라 부르는데 "은곡(隱谷)"이 먼저 형성되었는데 '은선독서형국'이라 하며, 마을 동편에 닥나무밭이 있었기에 "동편" 또는 "저전"이라 부르게 되었다.
마을 옆 나주임씨 선산을 풍산등이라 하는데 쥐혈이라서 자손이 번창한다고 하며, 임씨와 김씨 두 집안에서 대대로 인물이 끊이지 않고 석학을 배출시켜 외지에서는 두 성씨가 용호상박하는 실태라고 전해오며 김씨들이 건금재 밑에 「건금동천」이라는 표석을 세웠다.
원래 여기서 2km떨어진 웃밭골재까지 계획을 잡았지만 무릎통증이 심해 이곳에서 산행을 마칩니다. 다음차에는 2km더 걸어야 하네요
첫댓글 연이은 이틀간 구간 산행을 이어가시느라 수고많으셨습니다.
전날은 등산화 밑창 탈착으로~ 오늘은 무릎 통증으로 고생하셨네요.
무릎은 너무 무리해서는 않되므로 중탈하신건 잘 판단하신 듯 싶습니다.
함평 연실봉, 모악산 조망이 뛰어나네요.
이틀동안 수고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