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상들의 생활 도구
1. 옹기
(1) 옹기의 모양 : 허리 모양이 볼록합니다.
(2) 사용하기 시작한 때 ① 삼국 시대부터 사용하였습니다. ② 고구려 사람들이 옹기에 식품을 저장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3) 옹기의 쓰임새 ① 곡식을 저장하거나, 장독으로 사용되었습니다. ② 약탕관, 뚝배기, 등잔, 솥, 술병 등으로 사용되었습니다. (4) 옹기의 과학적인 점 ① 장독대에 옹기를 늘어놓으면 옹기 사이에 공간이 생겨 바람이 잘 통하고, 온도가 고르게 되어 음식물이 쉽게 상하지 않습니다. ② 옹기를 만들 때 그릇 표면에 작은 숨구멍이 생기는데, 그 구멍으로 공기가 드나들어서 곡식이나 장류가 신선하게 보존됩니다. (5) 옹기의 전통을 살리려는 노력 ① 플라스틱 용기, 냉장고의 출현으로 전통 옹기의 사용은 많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② 옹기 인간 문화재를 지정하고, 옹기장을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하는 등 전통을 이어 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한지
(1) 한지의 재료 : 주로 닥나무와 닥풀로 만듭니다. (2) 한지의 우수성 ① 다른 종이에 비해 질기고 오래갑니다. ② 촉감이 부드럽고 통기성과 보온성이 뛰어납니다. (3) 한지의 이용과 전통잇기 ① 부채, 화선지, 창호지, 도배지, 한지 장식품 등에 사용합니다. ② 전통 한지의 맥을 이어 가는 장인들의 노력이 있기에, 조상들의 슬기로움과 전통 한지가 지닌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한지 |
3. 조상들이 사용한 여러 가지 생활 도구
(1) 떡살 ① 떡에 아름다운 문양을 찍는 데에 쓰이는 도구로 정성을 다하여 멋스럽고 아름답게 만들 었습니다. ② 떡살의 무늬는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 때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였습니다. ③ 집안에 따라 독특한 떡살 무늬가 정해져 있었습니다. (2) 조각보 ① 여러 조각의 헝겊으로 만든 보자기입니다. ② 조상들의 생활 모습과 헝겊 자투리 하나도 아껴 다시 사용했던 생활의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③ 이불보, 문에 치는 발, 상보, 예단이나 혼수품을 싸는 데 이용하였습니다. (3) 기와 : 차거나 더운 공기를 막아 주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고, 건물이 오래 보존되도록 해 줍니다. (4) 물레 : 물레는 실을 뽑을 때 쓰던 도구입니다. (5) 맷돌 : 곡식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 때 사용하던 도구입니다. (6) 등잔 : 전기가 보급되기 전까지 밤을 밝혀 주었던 옛날의 조명 기구입니다. (7) 가마 : 안에 사람이 앉고, 사람이 손으로 들거나 끈으로 매어 운반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