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를 처음 배울때 배우는 C, Am, Dm, G7 등의 개방현 부근에서 잡는 코드들은
기본코드, 개방현 코드라고
하구요..
이런 기본코드을과 달리 개방현에서부터 멀리 떨어져서
검지 손가락을 세워서 잡는 코드를 통털어서 하이코드라고
합니다.
하이코드는 원리만 조금 알면 상당히 간단해서
몇번만 연습해 보면 의외로 쉽게 많은 코드를 익힐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한 기본 코드부터 시작해서 같은 모양으로 한, 두 프렛씩 올라가면서 코드이름이 바뀌게 됩니다.
도레미파솔라시도 에서 미-파 와 시-도가 반음이라는건 알고 계시죠?
이걸 영어로 바꾸면 CDEFGABC이고.. E-F,
B-C가 반음입니다.
기타에서의 반음은 한칸을 뜻하는데요..
코드 A를 잡은 손을 그대로 1프렛 상승시키면 Bb이되고..
1프렛 더 상승시키면 B
여기서 1프렛 더 상승시키면 C가 됩니다.
하이코드는 간단한 개방현 코드를 응용해서 만들어집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는 A, E, C 이 세가지이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형태는 A와 E의 형태로부터 시작하는 하이코드 입니다.
1. A의 형태에서의 출발..
아래 그림이 일반적인 개방현 A코드이고..
그림에서 빨간 점이 근음입니다.
근음이란 코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음으로서
A, Am, A7등 A로 시작하는 모든 코드의 근음은 A이고..
이 근음은 아르페지오 연주를 할 때 엄지손가락으로 쳐줘야
하는 음입니다.
이 코드의 모양을 살펴보면 실제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검지손가락이 아래의 그림처럼 개방현에 걸쳐져 있는거나 다름
없습니다.
이와 같은 손모양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한칸씩 올리면..
1프렛(검지손가락위치)에서는 Bb, 3프렛-C, 5-D, 7-E, 8-F가
됩니다.
8프렛 이상은 잘 쓰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1,5,6번 줄만 누르는 것처럼 나와 있으나
실제로는
검지손가락이 6줄을 모두 누르게 됩니다.
이렇게 손가락을 세워서 잡는 것을 바레라고 합니다.
이 모양에서는 검지와 세 손가락 사이에 한 칸이 비어 있다는 점을 유의 하셔야 합니다.
* A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 |
A |
![]() |
B |
![]() |
C |
![]() |
D |
![]() |
E |
![]() |
F |
위의 모양이 사실 빨리 코드를 잡기에 어려움도 있고 해서
좀 더 간단한 모양으로 코드를 잡기도 합니다.
아래나온 그림처럼 약지손가락으로 세줄을 동시에 잡아줄 수도 있습니다..
약지를 꺾어줘야 하는데요..
첨엔 조금 어렵더라도 나중에 기타를 배워나가면서 아주 유용하게 쓰이므로 꼭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개방현 A코드는 다음과 같이 잡을 수도 있습니다.
이 모양을 그대로 상승시켜 하이코드를 만들기도 하는데요..
이때는 5,6번줄은 치지 않고 1,2,3,4번 줄만 칩니다..
일렉기타에서는 종종 나오는 모양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위의 A에서 시작하여 제자리에서 순차적으로 바뀌는 코드의 폼입니다.
특히 A7의 모양은 위에서 말씀드린 약지꺾어 세줄 잡은 상태에서
새끼 손가락을 이용하여 7코드를 잡는데 많이 쓰입니다.
![]() |
![]() |
A |
AM7 |
![]() |
![]() |
![]() |
A7 |
A6 |
Aaug |
![]() |
새끼손가락을 이용한 7코드 |
2. A7 형태에서의 출발
이것도 원리는 A와 같으나 사용하는 개방현 A7에서는 새끼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지만,
하이코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끼 손가락을 사용해야 합니다.
대신 하이코드에서는 검지 하나만의 힘으로 바레를 하는 경우
힘이 모자라 둔탁한 소리가 날 수 있으므로
중지를 사용하여 검지를 같이 눌러주면 소리가 훨씬 깨끗하게 됩니다.
![]() |
![]() |
![]() |
개방현 A7 코드 |
하이코드 준비 |
하이코드의 폼 |
* A7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 |
A7 |
![]() |
B7 |
![]() |
C7 |
![]() |
D7 |
![]() |
E7 |
![]() |
F7 |
3. Am 형태에서의 출발
Am에서도 A7과 마찬가지로 하이코드에서는 새끼손가락을 사용하여 코드를 잡아야 합니다.
![]() |
![]() |
![]() |
개방현 Am 코드 |
하이코드 준비 |
하이코드의 폼 |
* Am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 |
Am |
![]() |
Bm |
![]() |
Cm |
![]() |
Dm |
![]() |
Em |
![]() |
Fm |
지금까지 언급한 A, A7, Am의 형태에서 출발하는 코드를
여기(황선생기타교실)서는그냥 아래코드라고 합니다.
다음에 배울 E에서 출발하는 코드가 345번줄을 사용하여 윗줄에서 잡히는 코드임에 반해..
A를 비롯한 A7, Am의 코드는 234번줄을 이용하여 아래에서 잡히기 때문입니다.
굳이 이렇게 구분을 하는건
이 코드가 스케일에서 블럭잡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Am키(가단조)곡에서
으뜸코드인 Am를 아래코드로 잡는 위치(0프렛)에서는
"미파솔" 블럭이 나옵니다. - 모르면 그냥 넘어가기..^^아래코드의 프렛에 따른 코드명 배열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A |
A# Bb |
B |
C |
C# Db |
D |
D# Eb |
E |
F |
F# Gb |
G |
G# Ab |
A |
4. E에서 출발하는 모양
이것도 구성원리는 같구요 - 윗코드라고 부릅니다.
윗 마이너 코드의 위치에서는 라시도 블럭이 나옵니다. - 이것도 모르면 그냥 넘어가기..^^
![]() |
![]() |
![]() |
개방현 E 코드 |
하이코드 준비 |
하이코드의 폼 |
E에서 출발하여 검지가 1프렛에 있는 코드가 기타를 배우면서 처음 만나게 되는 하이코드인 F 입니다.
Em, E7도 같은 E와 같은 모양으로 적용됩니다.
![]() |
![]() |
|
Em |
E7 |
* E 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E F G A B C
* E7 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 |
E7 |
![]() |
F7 |
![]() |
G7 |
![]() |
A7 |
![]() |
B7 |
![]() |
C7 |
* Em 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 |
Em |
![]() |
Fm |
![]() |
Gm |
![]() |
Am |
![]() |
Bm |
![]() |
Cm |
윗 코드의 프렛에 따른 코드명 배열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E |
F |
F# Gb |
G |
G# Ab |
A |
A# Bb |
B |
C |
C# Db |
D |
D# Eb |
E |
5. C에서 출발
이런 형태는 1프렛 Db, 3프렛 Eb, 5프렛 F등으로 자주 쓰이며
소리의 울림이 다른 하이코드에 비해 풍부합니다.
![]() |
![]() |
![]() |
개방현 C 코드 |
하이코드 준비 |
하이코드의 폼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D코드도 C가 2프렛 상승한 스타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 |
C 코드에서 2프렛 상승 |
D |
* C 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C D E F G
6. G코드에서 출발
흔히 쓰이지는 않지만..
이 코드를 약간 변형해서 5,6번 줄을 제외하고
1,2,3,4번 줄만 잡는 형태로 쓰기에 됩니다.(A코드에 나옵니다.)* G 코드를 기본으로 하는 하이코드
G A B C D
7. 다른 형태로 하이코드 잡기
a. 엄지손가락의 사용
장시간 하이코드를 잡고 연주할 땐 손의 근력이 달려
연주가 자꾸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엄지손가락을 사용해서 5,6번줄을 잡아주면 훨씬 쉽게 연주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손이 작은 사람은 안되구요..
아직까지 이렇게 코드를 잡는 사람은 저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b. 아랫줄만 잡기
밴드에서 연주하거나..
굳이 베이스를 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면
간략하게 아랫줄만을 잡고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
약식코드라고도 합니다.c. 파워코드
락, 메탈등을 연주할때 자주쓰이는 코드인데요..
빨간 점으로 표시한근음과 그 아래의 5음을 잡아줍니다.
여기서 5음은 뭐 이것저것 고민할 필요 없이 바로 아랫줄에 +2프렛입니다.
윗코드는 5,6번줄 잡구요.
아랫코드는 4,5번줄을 잡으면 되구요..
그리고 5음의 바로 아랫줄은 1옥타브가 됩니다.
한 옥타브 높은 음까지 세줄을 치기도 하구요..
5음과 한옥타브 높은 음을 치기도 합니다.
파워코드는 3음이 없기 때문에 장조와 단조의 구별이 없습니다.
A, Am, A7모두 똑같이 6번줄 5프렛,5번줄 7프렛을 잡고 칩니다.
[스트로크]-[락스타일]에연주하는 방법이 간단히 나와 있습니다.
윗코드 아랫코드오리지날 코드 폼 a. 엄지손가락의 사용 b. 아랫줄만 잡기 c. 파워코드-1,5음 c. 파워코드-1,5,8음
출처 : http://www.ezguitar.net/lesson/lesson_21.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