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향 독경
Idha no puññaṃ āsavakkhayāvahaṁ hotu.
이러한 우리의 공덕이 우리를 번뇌의 소멸로 이끌기를.
Ima no puññabhāgaṃ sabbasattānaṃ bhājema.
이러한 우리의 공덕을 모든 존재들에게 회향합니다.
Sabbe sattā sukhitā hontu.
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기를!)
ㅡㅡㅡㅡㅡ
소납 해석
● Idha 이다 S) iha 以下
here :(여기,이곳), in this world (이 세상에서), existence (존재,생활,생존),
● no = na
(1인칭 나 = 내, 지知, 나누다, 아니다, 장소, (그랬)나 (저랬)나
● puññaṃ 뿐나 = 뿐남
merit (장점,공적,상점), righteousness (정당성, 공명함),
full (가득한, 가득찬), complete (완성된,완료하다,완전한),
deed (증서 행위), good ( 좋은 , 충분한), spiritual wealth (영적 부,재산,풍부)
★ S) punya 뿐야
(뿐이야 , (이것) 뿐이야 : 한자가 도입되면서 복 福 자로 사용하게 되었다)
auspicious (상서로운,경사스러운), propitious (길한,행운의,신들이호의를 가지는),
lucky (운이좋은,행운을 가져오는), favourable (유리한,유망한),
agreeable (기분좋은 적당한), good
fragrant (향기로운), virtuous (덕있는,고결한 체하는,효력있는),
● āsavakkha yā vahaṁ :나누어 해석
(어서 박깨야 여바햄<어서 바꼐야 야 배 함 < 어서 바껴야 야배함,<어서 바뀔때까지)
★ S,P) asa 아사,아새, 어서 = (s) asas; (어서 (해라), 어 서 !)
wish (바라다,소원,~싶다,기원하다), desire (욕구,염원갈망, 희망), hope (희망,기대,바람), longing (갈망,절망),
● asavakkhaya 아사박카야 :
★ (어서 박깨야, 어서 박꼐야, 어서 바껴야 <어서 바뀌어야)
destruction of intoxicants of the mind
(의식을 취하게 하는 물질의 파괴, 정신 도취제의 파괴),
●. āvaha 아배하,아배해 ,어바하: (아배)
bringing (이끌다,이르게하다, 가져오는), bearing (베어링,축받이,방위), conducive
(도움이되는), taking in wedding (결혼하다),
● yavaham 야바함,여바함,야배함 ,등
(yava + aham : 야바 아함 ,여바 에햄)
until (~ 할 때 까지, ~이 되어 비로소, ~ 까지)
★ ( 어서 바껴야 바햄,< 어서 바뀔때까지 )
● hotu. 호뚜 ; 나오지 안으나 hotum 이나 hoti 로 나온다
hotum 호뚬 : to exist (존재하다, 생존하다, 있다), to be (~가 되는), to become (~가 되다),
★ hoti 호띠 = honta : to be , exists
● Ima 이마 ,: s) aya,ayam : this, thus ,here
● no = na
● puññabhāgaṃ 뿐나 바감 ,뿐나 박감 =
★ punnabhaga 뿐나박아, 뿐나 바가:
(bhaga vat ,박아 밭에서 밭에 씨를 뿌리는 ,박는 이라는 해석을 비추어 보면,
복을 뿌린다는 공유에 뜻이 성립하겟다)
share of merit (장점에 몫, 공덕에 공유),
● sabba-sattā/naṃ : 삽바 샅따 (모든 존재)
sabba : 삽바 :
all (모두,모든, 전부,최대한), every (모든,~마다,매) ,
whole (전체,완전한,건강한), entire (전체),
★satta 샅따, 샡따 = s) sattva 샅뜨바 : 사타구니에서 나온 존재
사타구니 , 칠 7 , living being (생명체)
쌑뜨,샅뜨 = 사타구니 ,
삿따 샅타 : 깨끗이 하다 . 닦다
● bhajema 봐제마 : divides (나누다,분할, 분계),
distribute ( 배포하다, 분배하다,배부하다,살포하다),
● Sabbe sattā = sabbasatta 모든 존재들
●sukhitā 숙키따 ,숙히따 :sukha 숙하, 수카 ,淑 한, 맑은,청정한
즐거운, 기쁜 , : 수끄하 ,수끄히다 , 快 쾌 ,축복 (맑은 본성)
★ sukha-pa (수카 빠, 숙하 빠 = 숙부 ,작은 아부지 )
★ sukha-vati (숙하 바티 ,숙하 밭 : 극락정토, 극락세계,안락국).
★ sukha-vedya (숙하 베디야, 수카 베디야(뵈디야,뵈다,보다),
순락順樂, 락감수 樂感受,안락함을 본다, 행복함을 받다
★sukha -paramita :
(숙하 빠라미따,수카파라미타 :안락한 경지, ,
열반에 경지에서 깨친 디훼로 본성을 헤아리다)
● hontu. 혼뚜 : may day be ( 그럴수도 있지,그럴지도 모르지)
they musr be (그래야해 ,틀림 없어요).
ㅡㅡㅡㅡㅡ
기존 해석들 ㅡ
이러한 우리의 공덕이 우리를 번뇌의 소멸로 이끌기를.
이러한 우리의 공덕을 모든 존재들에게 회향합니다.
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기를!
ㅡㅡㅡㅡㅡ
Idha no =na puññaṃ
(~이다,以下)여기,이곳) (1인층 나) (뿐나,뿐이야,복,공덕)
(이 세상이 나에 공덕으로)
āsavakkhayā/vahaṁ hotu.
어서 바껴야 바 함 되기를
(어서 (모든)번뇌가 사라 지기를,어서 욕망이 바뀌어지기를 )
Ima no=na puññabhāgaṃ
(이 세상에) ( 내) ( 공덕이 뿌려(박아져)지고)
sabba sattānaṃ bhājema.
(모든 존재들에게) ( 나누어져)
Sabba sattā sukhitā hontu.
(모든 존재들이) ( 본성 청정) ( 해지기를)
(안락,행복)
삼가 도원 합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