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불자광장
 
 
카페 게시글
학생들을 위한 붓다담마 스크랩 42) `잇디(신통력)`라 부르는 이것에 얼마나 많이 관심을 가져야 합니까?
일 행 추천 1 조회 26 10.12.11 19:53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42) Next, concerning what are called iddhis (psychic powers) the question is,

“How far should we take interest in these things called iddhis?”

42) 다음에, '잇디(신통력)'라 부르는 것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 '잇디(신통력)'라 부르는 이것에 얼마나 많이 관심을 가져야 합니까?"


FIRST OF ALL, we shall say something about the iddhis themselves. The word iddhi means “power”. It was originally an everyday word, a household term applied to things with the ability to promote success in perfectly normal ways. Anything with the ability to promote success was called an iddhi. The meaning was then extended to cover success in marvellous, miraculous ways, until we come across the sort of iddhis that are exclusively mental phenomena. Because they are mental, they have productive and beneficial properties that render them far more marvellous and wide-ranging than anything physical. They are like our labour-saving devices. Nowadays we have tractors that can build roads and so on. These too would have been called iddhis. But these are physical marvels. The iddhis we are concerned with here have to do with the mind; they are mental, not physical.

우선, 잇디(iddhi) 그 자체에 대해 조금 말해 보겠습니다. 잇디(iddhi)라는 말은 '힘'을 의미합니다. 이 말은 원래 '일상 언어'였으며, 극히 정상적인 방법으로 성공도를 높이는 능력을 지닌 사물에 사용된 가정 말이었습니다. 성공도를 높이는 능력을 지닌 어떤 것을 '잇디'라 불렀습니다. 그 의미가 확장되어 놀랍고 기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게 되어, 전적으로 정신적 현상인 '잇디(신통력)'의 일종을 지칭하게 되었습니다. '잇디'는 정신적인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물질적인 것보다 훨씬 더 기적적이고 광범위한 결과를 주며 생산적이고 도움이 되는 힘을 가집니다. '잇디'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기구와 같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도로 등을 건설할 수 있는 트랙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구들도 '잇디'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트랙터 등은 물리적인 경이로움입니다. 여기서 지칭하는 '잇디'는 마음과 관계가 있습니다. '잇디'는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것입니다.


An exponent of iddhis (psychic powers) has trained his mind to such a degree that he can cause other people to experience whatever sensations he wishes to have them feel. He can cause others to see things with their own eyes just as he wishes them to see, to hear clearly and distinctly such sounds as he wishes them to hear, to smell just as he wishes them to smell, to experience taste sensations as if really experiencing them with the tongue, and to feel as if through the skin softness, hardness, and other such tactile stimuli. The process can then be extended until the demonstrator is able to cause the other person to experience fear, love or any mental state without realizing why. The iddhis are thus extremely useful and quite wonderful.

잇디(신통력)를 연출하는 자는 자신이 원하는 어떤 감각이든지 다른 자가 그 감각을 경험하게 할 수 있는 정도로 마음을 훈련한 자입니다. 잇디 연출자는 다른 자가 보도록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른 자 자신들의 눈으로 사물을 보게 할 수 있고, 다른 자가 듣도록 자신이 원하는 대로 소리를 분명하고 명확히 듣게 할 수 있으며, 다른 자가 냄새 맡도록 자신이 원하는 대로 냄새를 맡게 할 수 있고, 마치 실제로 다른 자가 혀로 맛보는 것처럼 맛을 경험하게 할 수 있으며, 마치 다른 자가 피부를 통해 부드러움, 단단함, 또는 다른 감촉 자극을 느끼는 것처럼 감촉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출 과정은 연출자가 다른 자에게 왜 그런지 모르게 두려움, 사랑, 또는 어떤 정신적 상태를 느끼게 할 수 있는 정도까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잇디(신통력)는 지극히 유용하고 아주 경이롭습니다.


But this kind of mental phenomenon does not produce physical things. The psychic powers are incapable of creating real physical things of any practical value. They alone can’t create bhikkhu’s huts, temples, rice, fish, or food, so that one might live without any problems. This sort of thing can’t happen. The objects appear to exist or are experienced as existing in eye, ear, nose, tongue, body, or mind for only as long as the iddhi is being demonstrated. There after they disappear. So the iddhis are not capable of building a hut or a temple by themselves. There definitely has to be a lay supporter to build and offer it. For instance, Jetavana and Veluvana had to be built and offered to the Buddha. And several times the Buddha went without food because of famine and had to eat rice set out as horse feed, and only a handful of it a day.

그러나 이런 종류의 정신적 현상은 물질적 사물을 생성하지 못합니다. 신통력은 어떤 실제적 가치가 있는 진짜 물건을 생기게 할 수 없습니다. 신통력 만으로는 사람이 아무 문제없이 살 수 있도록 하는, 빅쿠(승려)의 오두막, 사원, 쌀, 고기, 또는 음식 등을 실제로 생기게 할 수 없습니다. (잇디에 의해) 이런 일은 (실제로) 일어날 수 없습니다. 대상물은, 잇디(신통력)가 연출되고 있는 동안만 나타나서 존재하거나, 눈, 귀, 코, 혀, 몸, 또는 마음에 존재하는 것으로 경험됩니다. 그 후에는 대상물이 사라집니다. 그래서 신통력은 그 자체로서는 오두막이나 사원을 건설할 수 없습니다. 분명히 오두막이나 사원을 건설하여 제공하는 ‘재가 후원자’가 있어야 합니다. 예컨대, 제따와나와 웨루와나는 건설되어 붓다께 제공되었습니다. 그리고 기근 때문에 붓다께서는 여러 번 음식없이 지내셨고 말 사료로 비치된 쌀을 잡수셔야 했으며 하루에 소량의 음식으로 지내셔야 했습니다.


This serves to remind us that the physical and mental are two distinct and different realms. It is possible to demonstrate iddhis of both types. The Buddha did not deny mental iddhis, but he strongly disapproved of demonstrating them because they are mere illusions. He therefore prohibited the demonstration of them by bhikkhus, and he himself refrained from it. We don’t come across it in the Tipitaka that the Buddha demonstrated iddhis. There do exist accounts of the Buddha demonstrating iddhis, but they occur only in commentaries and other works. Consequently, the truth of these accounts is dubious — though really there is no need for us to judge them true or false.

이것은, 물질과 정신이 명확히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이란 사실을 우리들에게 상기시켜 줍니다. 양쪽(물질과 정신)의 잇디(신통력)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붓다께서는 '정신적 잇디(신통력)'를 부정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나 나타나는 것은 단지 환영이므로 잇디(신통력)를 연출하는 것에 대해 강하게 거절하셨습니다. 그래서 붓다께서는 빅쿠(승려)들이 '잇디'를 연출하지 못하게 금지하셨으며, 자신도 삼가하셨습니다. 삼장(경전)에서, 붓다께서 잇디(신통력)를 연출하셨다는 구절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붓다께서 '잇디'를 연출하셨다는 설명이 있지만, 그것은 주석서나 그밖의 다른 경전에서만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의 진실성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실 우리가 그 설명의 진실과 거짓을 판단할 필요는 없습니다.


The Buddha once said, “The various iddhis that are demon-strated — flying through the air, becoming invisible, clairaudience, clairvoyance and the like — are sāsavā and upadhikā,” Sāsavā means “associated with āsavas” (the “cankers” of attachment to sensual pleasure, attachment to becoming, attachment to false views, and attachment to ignorance). In other words, iddhis performed with grasping and clinging, or motivated by grasping and clinging, are called sāsavā. The performance of upadhikā iddhis is motivated by upadhi. Upadhi means “grasping and clinging”. They are likewise iddhis motivated by attachment. They are demonstrated by a mind that grasps and clings. Iddhis of this sort are sāsavā and upadhikā.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하늘을 날기, 보이지 않게 하기, 초인적 투청력, 초인적 투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잇디(신통력)를 연출하는 것은 '사사와(sasava)'이고 '우빠디까(upadhika)'이다". '사사와(sasava)'는 '번뇌(asava)와 관련된' 것을 의미합니다(감각적 즐거움의 번뇌, 존재의 번뇌, 사견의 번뇌, 무지의 번뇌). 즉, 움켜쥠과 집착으로 연출하는 잇디(신통력), 또는 움켜쥠과 집착에 의해 유발된 잇디(신통력)는 '사사와'라 부릅니다. '우빠디까 잇디'를 행하는 것은 '우빠디'에 의해 유발된 것입니다. ‘우빠디(upadi)는 ’움켜쥠과 집착‘을 의미합니다. 그것들은 ’갈망‘에 의해 유발된 잇디(신통력)와 똑같습니다. 그것들은 움켜쥐고 집착하는 마음에 의해 연출됩니다. 이러한 종류의 잇디(신통력)는 ’사사와‘이고 ’우빠디까‘입니다.


Now let us turn our attention to the opposite kind of iddhi - anāsavā and anuppdhikā - namely the ability to control one’s own mind at will. We shall take as a particular example the subject of unpleasantness. Here one causes oneself to see an unpleasant thing as unpleasant, to see a pleasant thing as unpleasant, to see everything as unpleasant to see everything as pleasant, then to see everything as neither of these, as neither pleasant nor unpleasant. This is one example demonstrating the ability to control the mind so completely that constant mindfulness and equanimity can be maintained in the presence of sense objects — shapes and colours, flavours, odours, sounds, and tactile objects — which influence the mind. The possession of mindfulness, constant awareness, and equanimity is an iddhi. It is an iddhi of the type called anāsavā (free of āasava) and anuppadhikā (free of upadhi, not defiled, not grasping, and not a basis for grasping). These are the things called the iddhis, and this is how we ought to view them.

이제 다른 종류의 잇디, 즉 아나사와(anasava)와 아눕빠디까(anuppadhika)라고 하는 ‘자신의 마음을 의지대로 조절하는 능력’에 주의를 돌려 봅시다. ‘즐겁지 않음’이라는 연제는 특별한 예로 취하겠습니다. 여기 한 사람이 ‘즐겁지 않은 것’을 자신이 ‘즐겁지 않은 것’으로 보게 하고, ‘즐거운 것’을 자신이 ‘즐겁지 않은 것’으로 보게 하며, ‘모든 것’을 자신이 ‘즐겁지 않은 것’으로 보게 하고, ‘모든 것’을 자신이 ‘즐거운 것’으로 보게 하며, 그리고 ‘모든 것’을 자신이 이것들의 어떤 것도 아닌 것, 즉 ‘즐겁지도 즐겁지 않지도 않은 것’으로 보게 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은 마음을 완전히 조절하는 능력을 연출하는 한 예입니다. 이렇게 마음을 조절할 수 있으면 마음에 영향을 주는 감각대상, 즉 형색, 소리, 냄새, 맛, 및 감촉물이 나타날 때 부단한 마음챙김과 평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마음챙김과 부단한 알아차림과 평정을 가지는 것이 잇디(신통력)입니다. 그것은 ‘아나사와(아사와에서 해방됨)’와 ‘아눕빠디까(우빠디에서 해방됨, 오염 안됨, 집착 없음과 집착의 뿌리가 없음)’라 부르는 형태의 ‘잇디(신통력)입니다. 이것들이 ’잇디‘라 부르는 것이고, 우리가 ’잇디‘를 보아야 하는 방법입니다.


The real iddhis that are demonstrated in order to cause the arising of psychic miracles, the sāsavā and upadhikā types, are still difficult to perform. To master them involves much practice, which is organized into a great system. It can be done, genuinely achieved and demonstrated, by only a very few people. But there is a spurious variety too, based on pure deception, sheer trickery, sometimes involving the use of incantations. These are not the real things at all.

초자연적 기적이 일어나도록 연출하는, ‘사사와’와 ‘우빠디까’라 부르는 형태의 잇디(신통력)는 연출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것을 자유로이 행하기 위해서는 훌륭한 체계로 짜여진 많은 훈련이 요구되며, 실제로 아주 극소수의 사람만이 진짜로 잇디를 달성하여 연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순전히 사기이고, 전적으로 속임수이며, 때때로 마술의 사용을 포함하는 것에 기초한 다양한 사이비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전혀 잇디(신통력)가 아닙니다.


There are people who can demonstrate what are apparently genuine iddhis, but to acquire those skills is very difficult and requires arduous training. By contrast, the anāsavā and anupadhikā iddhis lie within the capabilities of most people. This sort is worth thinking about. As it is, we are interested in the sort of iddhis we can’t perform but aren’t interested in the most beneficial ones (which we can produce). These things called iddhis certainly have a great attraction for us, but our thinking on the subject needs to be completely revised.

명백히 진짜 잇디(신통력)을 연출할 수 있는 사람이 있지만, 그 기술을 획득하기는 매우 어렵고 힘든 훈련이 요구됩니다. 반면에 ‘아나사와 잇디’와 ‘아눕빠디까 잇디’는 대부분 사람들의 능력 하에 있습니다. 생각해 볼 가치가 있는 것은 이 종류의 ‘잇디’입니다. 사실 사람들은 연출할 수 없는 ‘잇디(신통력)’에는 관심이 있지만, 가장 유익한 것(우리가 달성할 수 있는 것)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잇디(신통력)라고 부르는 이것들은 확실히 큰 매력을 지니고 있지만, 이 문제에 대한 우리들의 생각을 완전히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