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광대싸리속 |
이명 | 황형(黃荊), 엽저주, 구행조, 형, 굿싸리, 구럭싸리, 멥쌀, 엽하주(葉下珠), 화소조(花掃條), 고리비아리, 공정싸리, 굴싸리, 싸리버들옷, 서수라목, 호목(楛木), 호자(楛子) |
생약명 | 일엽추(一葉萩) |
약성 | • 따뜻하며, 맵고 쓰다. 독이 약간 있다. |
내용 | • 전국의 산에 흔하게 자라는 떨기나무 또는 작은키나무로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보통 1-3m이지만 10m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고, 노란빛이 난다. 수꽃은 2-12개씩 모여 피며, 꽃자루는 2-4mm다. 암꽃은 1-3개씩 피며, 꽃자루가 5-10mm로서 수꽃보다 길다. 암술대는 3개,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조금 납작한 공 모양, 익으면 3갈래로 갈라진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
효능 | • 주로 순환계 질환, 신기허약 증세에 효험이 있으며 강근골, 강장보호, 건비위, 류머티즘, 마비, 신기허약, 요통, 음위, 조루, 행혈, 허약체질, 소아질환: 소아마비 등의 치료에 쓰인다. |
이용법 | • 목재는 땔감으로 하며 열량이 높다. • 枝葉(지엽) 및 根(근)을 一葉萩(일엽추)라 하며 약용한다. ① 어린 지엽은 늦봄에서 늦가을 사이에 채취하는 것이 좋다. ② 성분 : 잎에는 securinine이 함유되어 있고 개화기의 함유량이 가장 많고 결실기가 최저이다. 乾燥葉(건조엽) 중의 함유량은 보통 0.2-0.3%이다. 어린 줄기와 익은 과실에도 securinine이 함유되어 있으나 잎의 함유량보다는 적다. 잎에는 rutin 13%, tannin, 소량의 allosecurinine, dihydrosecurinine과 3종의 securinol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에는 다량의 allosecurinine 0.42%와 소량의 securinine, securinine의 methoxy體(체) securitinine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油(유) 7.13%가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 活血(활혈), 舒筋(서근), 健脾(건비), 益腎(익신)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腰痛(요통), 四肢痲痺(사지마비), 半身不遂(반신불수), 陰痿(음위), 顔面神經麻痺(안면신경마비), 小兒痲痺 後遺症(소아마비 후유증)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식용 | • 어린순을 데쳐 나물이나 무침, 볶음에 넣어 먹는다. 조리할 때에는 주로 간장 양념을 하는데, 향이 센 파나 마늘 등은 제외하고 간장으로만 간을 하면 은은한 맛과 부드러운 식감이 간장과 어우러져 봄철 입맛을 돋우는 별미로 먹을 수 있다. |
번식 | • 번식은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 번식법은 아직 체계화 되지 않았다. |
문헌·민속 | • 한방에서는 광대싸리의 어린가지를 일엽추(一葉萩)라고 하여 예로부터 풍습으로 인한 요통, 사지마비, 반신불수, 안면신경마비에 유효하게 사용하고 있다. 특히 소아마비 후유증에는 두충과 배합하여 쓴다고 한다. 예전에는 줄기를 여러 개 묶어 말렸다가 마당비를 만들어 쓰기도 했다. • 광대싸리는 이른 봄 어린 싹을 나물로 먹기도 했지만 화살 재료로 쓰였던 기록이 더 많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쓰는 전통 화살은 흔히 산죽으로 불리는 조릿대, 신이대, 이대로 만들었다. 이른바 대나무 화살이다. 산죽은 종류에 따라 북한지역에도 분포하지만 추운지방으로 갈수록 분포지도 적어지고 품질도 나빠져 화살대용 나무가 필요할 때 광대싸리를 대신 사용하게 되었다. • 광대싸리는 서수라목(西水羅木)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는 조선 세종 때 북동 방면의 여진족 습격에 대비해서 개척한 경흥도호부의 군사 요충지인 서수라를 지키기 위해 광대싸리 화살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유래한 이름이다. 광대싸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특허가 있다. |
꽃말 | '광녀' |
출처 | 민속 특산식물사전, 익생양술대전,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다음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