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피서철이 왔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본보 지난 19·20일자 1면 보도)이 계속되면서 ‘해수욕장 조기 폐장' 논란이 일고 있다. 확진자를 줄이기 위해 해수욕장 운영을 잠정적으로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으나 동해안 시·군에서는 지역경기 등에 엄청난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예정대로 계속 운영' 쪽에 방점을 찍고 있다.
해수욕장 조기 폐장 주장은 비수도권에서는 최초로 강릉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되면서 제기됐다. 인터넷 등을 중심으로 “지역에서 아무리 철저히 (코로나19를) 차단한다 해도 휴가철 대규모로 유입되는 피서객을 막지 않으면 또다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면서 “전국적으로 확산세가 잠잠해질 때까진 해수욕장을 완전히 통제해야 한다”는 얘기들이 나온 것이다. 이같은 내용들이 확산되면서 일부 시민은 “강원도 해수욕장들이 문을 닫는 것이냐”는 질문을 지역에 하기도 했다.
그러나 해수욕장을 운영하는 강원도 시군에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엄중하지만 해수욕장 폐장은 관광산업 의존도가 큰 강원지역 동해안에서 연중 최성수기인 피서시즌 상경기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당장 중단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김한근 강릉시장은 20일 기자간담회에서 “해수욕장을 폐장했다가 (코로나19가 진정되면) 다시 개장할 경우 행정의 준비 과정은 물론 숙박시설이나 음식점 등 서비스 업종의 영업 혼선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지자체가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조기 폐장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더욱이 다른 동해안 지자체에서는 현재까지 해수욕장을 통한 확진사례가 나오지 않은 데다 늦은 시간 백사장 출입 등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한 강력한 예방 조치를 취하며 위험도를 낮추고 있는 만큼 조기 폐장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무더위에 지친 국민들이 쉴 수 있는 최소한의 휴식처는 필요하다는 의견도 지역의 입장에 힘을 싣고 있는 분위기다.
한편 2011년 강원발전연구원(현 강원연구원)이 발표한 ‘동해안 여름 해변 경제효과 조사 분석'자료에 따르면 그해 여름 휴가시즌 동해안 94개 해변에 모두 2,223만명의 피서객이 찾았으며, 1인당 평균 14만4,900원을 소비해 총 지출액이 3조4,011억원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강릉=고달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