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己土(기토)는 丙火(병화)가 陽明(양명)하게 비추어주고
土氣(토기)가 堅固(견고)하면 貴(귀)할 것이며,
태양(丙火,병화)이 없다면
해가 뜨지 않는 農土(농토)이니 농사짓기가 어렵다.
* 甲木(갑목)과 丙火(병화)가 있고
癸水(계수)가 地支(지지)에 暗藏(암장)하면
일생 富貴榮達(부귀영달)한다.
* 乙木(을목)과 丙火(병화)가 透干(투간)하면
젊을 때는 화려하나 늙어서는 처량하다.
* 庚辛金(경신금)이 있으면
농사철에 서리가 내리는 格(격)이니
어느 계절이나 초목을 키우는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쓸모 없는 농토가 되어 凶(흉)하다.
이때 丙丁火(병정화)가 나타나
서리를 除去(제거)하여야 쓸모 있는 땅이 되니
丙丁火(병정화)가 藥神(약신)이 된다.
己土(기토)는 火氣(화기)가 없으면 씨앗이 썩어버린다.
* 壬癸水(임계수)가 透干(투간)하면
농사철의 장마와 같아 草木(초목)을 키우는
本質(본질)을 잃음과 같다.
이때 戊土(무토)가 있으면 藥神(약신)이 되어 吉(길)하다.
● 己土(기토)는 戊土(무토)와 쓰임이 다르다.
戊字(무자)는 戈字(과자)에서 나왔다고 하며,
己字(기자)는 紀字(기자)에서 나왔다고 한다.
따라서 己土(기토)는 기록하기를 좋아한다.
[현재는 乾土(건토)인 戊土(무토)가 주관하는 時代(시대)이나
後天(후천)은 濕土(습토)이며
陰土(음토)인 己土(기토)가 주관하는 時代(시대)가 되니
이 시대를 坤道時代(곤도시대)라 한다.]
● 己土(기토)는 濕氣(습기)를 함유한 土(토)이며
草木(초목)을 길러야할 임무를 가지고 있는 土(토)이다.
● 己土(기토)가 丙火(병화)가 있으면 生土(생토)가 되고
丙火(병화)가 없으면 死土(사토)가 되는데
다만 여름철에는 草木(초목)이 왕성하게 성장하는 계절이니
丙火(병화)가 없어도 生土(생토)가 된다.
* 丙火(병화)가 있을 때는 旺(왕)하여야 하며
調候(조후)가 잘 되어야 大局(대국)을 이룬다.
[ 丁火(정화)가 旺(왕)할수록 調候(조후)가 잘 되어 좋으나
丁火(정화)는 大局(대국)은 못되니 부분적인 영광은 있다.]
● 己土(기토)는 농토, 濕土(습토)이므로
항상 丙火(병화)가 필요하며 丁火(정화)도 필요하다.
● 丙癸甲(병계갑)이 잘 구성되면 極貴(극귀), 大富(대부)한다.
[ 농토에 곡식이 충분하고 곡식을 키울 太陽(태양)도 있고
水分(수분)이 充足(충족)되므로 農土(농토)의 價値(가치)가 매우 높다.]
[ 단, 丙火(병화)와 己土(기토)가 같이 붙어있는 경우는
己土(기토)가 말라 戊土(무토)의 특성을 갖게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丙火(병화)가 있는 己土(기토)는
거의가 좋은 格(격)을 이룬다.]
● 甲乙木(갑을목)을 丙火(병화)로 滋養(자양)하여
곡식을 거두는 格(격)일 경우 地支(지지)에 沖(충)이 있어야
多耕多作(다경다작)하니 길하다.
[ 己土(기토)는 地支(지지)에 沖(충)이 있으면
農土(농토)를 쟁기로 갈아 풍요하게 하는 格(격)이 되니
사주구조가 곡식을 길러 결실을 거두는 格(격)이라면
地支(지지)에서 沖(충)이 있어
풍요한 沃土(옥토)를 여러번 수확하는 상황이 되어
吉(길)하며 또 身旺(신왕)하면 富格(부격)을 이룬다.]
● 己土(기토)가 乙木(을목)을 만나면
논에 花草(화초)를 심은 格(격)이니 제대로 자랄 수가 없고
己土(기토)와 만난 乙木(을목)은 열매가 없는 과일나무가 되어
노후가 허망하기 쉽다.
또 꽃나무만 기르는 格(격)이 되어
청춘시절에는 인기가 있어 화려한 생활을 할 수 있으나
쉽게 시들고 命(명)이 짧으므로 虛無(허무)하며 結實(결실)이 적다.
* 己土(기토)일주는 乙木(을목)과 丙火(병화)가 같이 透干(투간)하면
貴格(귀격)을 이루기는 하나 富格(부격)은 어렵다.
* 乙木(을목)이 丙火(병화)와 함께 나타날 때
丙火(병화)가 己土(기토)를 말리어
꽃나무를 심을 수 있는 토양으로 만들어
己土(기토)가 임무를 수행하니 貴格(귀격)은 이루어도
乙木(을목)은 甲木(갑목)과 달리 結實(결실)이 없는 꽃나무이어서
富貴(부귀)가 長久(장구)하지는 못한다.
● 丁火(정화)가 있으면 부분적인 영화는 누릴 수 있어도
大局(대국)을 이루기가 어렵다.
[丁火(정화)는 庚辛金(경신금)이 透干(투간)하여
자갈밭이 된 경우 庚辛金(경신금)을 억제하니
印綏(인수)로 忌神(기신)인 傷官(상관)을 制하는 格(격)이 되어
맏은 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격을 이루며,
甲木(갑목)이 나타나면
丁火(정화)로 庚金(경금)을 눌러 甲木(갑목)을 기르니
藥神作用(약신작용)을 하여 좋다.]
[ 甲(갑)이 없을 경우 己土(기토)가 身旺(신왕)하고 丁庚(정경)이 있으면
武職(무직)이나 法官(법관)으로 큰 名譽(명예)를 얻을 수도 있다.]
● 戊土(무토)가 透干(투간)하면
산과 들의 중간에 위치한 農土(농토)가 되어
草木(초목)을 키우는데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農土(농토)인 己土(기토)는 물과 가까이 있고
낮은데 있는 農土(농토)이어야 농사를 짖기 쉬우나
고지대의 農土(농토)가 되니
물을 길러야 농사를 짖는 格(격)이 되어
일을 성취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욱이 戊土(무토)는 劫財(겁재)이어서
농사에 필요한 水氣(수기. 財,재)를 법접 못하게 하고 剋制(극제)하니
가정이 불안하고 急厄(급액)과 孤貧(고빈)이 끊이질 않는다.]
* 身弱(신약)할 경우라면
戊土(무토)가 己土(기토)를 보호하는 格(격)이 되어 吉(길)하고
水氣(수기)가 太旺(태왕)하여 홍수가 난 경우라면
戊土(무토)가 堤防(제방)을 하고 洪水(홍수)난 논에
客土(객토)를 하는 格(격)이니 吉(길)하다.
* 戊土(무토)가 透干(투간)하고
地支(지지)에 辰丑土(진축토)가 있으면
巨大(거대)한 沃土(옥토)가 되니
大富大貴(대부대귀)를 이룰 수가 있다.
● 己土(기토)가 또 있으면 善良(선량)하나 無德(무덕)하다.
[群比爭財(군비쟁재)가 되어
無德(무덕)하고 넓은 농토가 있으나 濕(습)하여
一點火氣(일점화기)가 없으면 쓸모가 없다.]
● 己土(기토)는 辰戌沖(진술충)이나 丑未沖(축미충)을 반긴다.
[農土(농토)는 자주 갈아주어야 沃土(옥토)로 변화하므로
沖(충)이 되면 자주 갈아주고 건드려 주는 格(격)이 되므로 좋다.]
※ 다른 五行(오행)은 沖(충)은 90% 이상이 나쁜 작용을 한다.
● 己土(기토)는 庚辛金(경신금)을 보면
논에 자갈이 깔려있는 形象(형상)이 되어
凶土(흉토)로 變化(변화)되어
富貴(부귀)가 어렵고 妻子(처자)가 온전하지 못하고
여자인 경우는 남편과 자식 둘 다 성공하기 어렵다.
[庚辛金(경신금)은 食傷(식상)이니 官(관)을 剋制(극제)하고
食傷(식상)이 忌神(기신)이니 자식이 온전하지 못하며,
食傷(식상)이 透干(투간)되어
官(관)을 根接(근접)하지 못하게 하니
남편은 온전하지 못하고,
壬癸水(임계수. 財,재)는
喜神(희신)인 丙火(병화)를 剋制(극제)하여
無力(무력)하게 하는 形象(형상)이니
妻(처)와 夫(부)가 滿足(만족)하지 못한다.
더욱이 女命(여명)은 傷官(상관)이 透干(투간)하여
傷官(상관)을 따르면 남편이 凶(흉)하고
官(관)을 따르면 子息(자식)이 온전하지 못하는 格(격)이니
大凶(대흉)이다.
火(화)가 있어 庚辛金(경신금)을 눌러주어야 格(격)을 세울 수가 있다.]
* 만일 庚金(경금)이 透干(투간)하여 있는데
丁火(정화)가 나타나 庚金(경금)을 剋(극)하면 좋다.
[丁火(정화)가 庚金(경금)을 精練(정련)하여
쟁기로 만들어 논밭을 쟁기질하는 格(격)이 되니 吉(길)하다.
丁火(정화)가 庚金(경금)을 精練(정련)하니
傷官(상관)을 印綏(인수)가 훈련시키는 格(격)이 되어
天才(천재)가 많다.
이 경우에는 開拓精神(개척정신)이 불타는
의사나 충신이 나올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剋貴(극귀)한 格(격)을 形成(형성) 할 수도 있다.]
[ 또 庚金(경금)을 서리로 볼때(이른봄과 가을의 수확기에)
丁火(정화)는 地熱(지열)이 되어 서리를 녹이는 경우가 되니
病(병)과 藥(약)이 같이 있으니
어려운 고비를 잘 넘기는 格(격)이 되어 吉(길)하다.
藥神(약신)이 있고 旺(왕)하면
어려운 일을 해결하는 解決士(해결사)나
權力(권력)을 가진 者(자)가 많다.]
* 만일 辛金(신금)이 透干(투간)하여 있는데
丁火(정화)가 透干(투간)하면
辛金(신금)은 庚金(경금)과는 달리 완성된 珠玉(주옥)이어서
丁火(정화)를 精練(정련)하여
쟁기로 만들 수가 없으므로 不吉(불길)하다.
다만, 이른봄과 가을의 수확기에
甲乙木(갑을목)이 透干(투간)하여 있는 경우에
辛金(신금)은 서리로 작용이 될때
丁火(정화)가 나타나면 서리를 녹이는 작용을 하니 吉(길)하다.
● 庚辛金(경신금)은 봄이나 가을의 수확기에는
서리가 되어 작물을 망치게되어 凶(흉)하다.
● 丙火(병화)가 透干(투간)하여 있는데
辛金(신금)이 丙火(병화)옆에 透干(투간)하면
丙火(병화)와 辛金(신금)이 合(합)이 되어
太陽(태양)의 작용을 못하게 하니
농작물이 썩게되는 경우가 되어 不吉(불길)하다.
● 戊土(무토)는 壬水(임수)가 많아 旺(왕)하면
많은 물에 堤防(제방)이 무너지는 것처럼 떠내려가는데
己土(기토)는 가라 않은 흙이라서 떠내려가지는 않는다.
● 壬水(임수)가 透干(투간)하면
바쁘고 소득이 없으면 疾苦(질고)가 끊이지 않는다.
[홍수가 난 格(격)이니 凶(흉)하며
壬水(임수)는 財(재)이니 妻(처)와 돈이라,
가정이 불안하고 평생 돈 걱정이 떠나지 않는다.]
● 壬水(임수)가 透干(투간)하면 홍수를 만난 格(격)이 되고
壬癸水(임계수) 모두 透干(투간)이 되면
장마를 만난 格(격)이 되어
작물을 모두 망치는 상황이 되니 大凶(대흉)하다.
겨울에 물이 얼어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싫어한다.
● 癸水(계수)가 透干(투간)하면
無用之物格(무용지물격)이 된다.
다만 여름에 너무 燥熱(조열)하면 癸水(계수)가 필요하다.
[癸水(계수)는 萬物(만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丙火(병화)를 가리어 凶(흉)하다.
오직 地支(지지)에 暗藏(암장)되어 있는 것이 좋다.]
● 己土(기토)는 열기를 빨아들이는데는 최고의 위력을 발휘한다.
너무 燥熱(조열)하여 갈라진 農土(농토)에 물을 끼얹으면
濕氣(습기)가 흡수되기 이전에 논바닥이 터지게 되는데
젖은 흙을 客土(객토)하여주면
熱氣(열기)가 순식간에 가셔지는 이치와 같다.
● 己土(기토)일주는 丑土(축토)가
겨울 내내 불순물이 쌓여진 더러운 土(토)이므로
가라앉은 더러운 흙에 비유되어 험한 일 힘든 일을 하며 살아가게 된다.
O 己 己 戊
O 丑 未 子
* 높은 山(산)과 農土(농토)가 같이 있는 위치의 土(토)이다.
(산을 개간하여 만든 농토에 비유한다.)
沖(충)이 되어 역마로 항상 바쁘다.
노력에 비해 소득은 너무나 적다.
比劫(비겁)이 重重(중중)하므로 群比爭財(군비쟁재)되어
妻(처)가 불만이 많고 財(재)가 모일 틈이 없이
들어오는 순간에 나갈 일이 생긴다.
● 辰巳午未月(진사오미월)의 己土(기토)는
농사를 지을 계절의 農土(농토)인 경우와 같으므로
大局(대국)이 많이 나온다.
● 庚辛金(경신금)이 透干(투간)되지 않고
土旺節(토왕절)이 아닌 巳午未月(사오미월)에
태어난 경우의 己土(기토)일주라도 稼穡格(가색격)이 된다.
* 稼穡格(가색격)을 이룰 때
地支(지지)에 약간의 金(금)의 뿌리가 있으면
水原(수원)으로 작용이 되니 吉(길)하다.
[땅에 산소공급을 위한 약간의 틈을 마련하기 위하여
작은 자갈이 있음이 더 좋다는 의미로 해석을 하여도 무방하다.]
※ 농토에 돌이 너무 없으면
오히려 農事(농사)에 적합하지가 못하다.
농토에 작은 돌이 있어야 흙에 산소가 공급이 되어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 稼穡格(가색격)은 水氣(수기)가 있어야 貴格(귀격)이며
만일 水氣(수기)가 없다면 賤格(천격)이다.
또 稼穡格(가색격)은 너무 濕(습)하여
火(화)를 用神(용신)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金水(금수)가 吉神(길신)이다.
※ 己土(기토)는 弱(약)한 土(토)이므로 주위환경에 쉽사리 변화된다.
癸水(계수)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