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한양(漢陽). 1258년(고종 45) 증조부 휘(暉)가 반란을 일으켜 화주(和州:咸南 永興) 이북의 땅을 가지고 몽골에 투항함으로써 화주에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가 설치되자 총관이 되어 이 지방을 통치했는데, 이로부터 자손 대대로 세습(世襲)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조소생이 총관으로 있을 때 왕이 원나라가 쇠약해진 틈을 타서 그 땅을 수복하고자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유인우(柳仁雨)를 파견, 쌍성을 공략케 하였는데, 사촌인 인벽(仁璧)이 고려의 명을 받고 성에 들어와 초유(招諭)함으로써 성내의 백성이 고려에 귀순하자 천호(千戶) 탁도경(卓都卿)과 함께 여진(女眞)으로 도주한 뒤 나하추[納哈出]를 끌어들여 여러 차례 고려를 침범하다가 여진의 다루가치에게 살해당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소생 [趙小生]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조휘의 투몽(投蒙) 이후 쌍성총관부가 존속된 1세기 동안 조휘와 그 자손이 총관직을 세습하였던 바, 1356년(공민왕 5) 왕이 원나라의 쇠미를 틈타 쌍성의 수복을 꾀할 당시 쌍성총관으로 있었다.
동북면병마사 유인우(柳仁雨) 등이 쌍성을 공략하자, 고려군과의 내응을 우려하여 인망이 있던 숙부 조돈(趙暾)을 연금시키는 한편, 천호(千戶) 탁도경(卓都卿)과 함께 저항을 꾀하였다.
그러나 조돈이 탈출하여 고려군에 협력하고 쌍성인들이 고려에 귀순하자 일이 기울어진 것을 알고 여진지역으로 도주하였다.
정부가 돈을 보내어 회유하였지만 끝내 듣지 않고 1362년 원나라의 반적(叛賊) 나하추(納哈出)를 끌어들여 고려의 동북변지역을 침구하였다가 홍원(洪原)에서 이성계(李成桂)에 의하여 격파당하고, 같은 해 여진의 다루가치(達魯花赤)에 의하여 살해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소생 [趙小生]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