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四十四回 孔明用智激周瑜 孙权决计破曹操
제44회: 공명은 지혜로써 주유를 격동시키고, 손권은 결단을 내려 조조를 격파하기로 하다.
却说吴国太见孙权疑惑不决,乃谓之曰:“先姊遗言云:‘伯符临终有言:内事不决问张昭,外事不决问周瑜。’今何不请公瑾问之?”权大喜,即遣使往鄱阳请周瑜议事。原来周瑜在鄱阳湖训练水师,闻曹操大军至汉上,便星夜回柴桑郡议军机事。使者未发,周瑜已先到。鲁肃与瑜最厚,先来接着,将前项事细述一番。周瑜曰:“子敬休忧,瑜自有主张。今可速请孔明来相见。”鲁肃上马去了。
각설, 오국태는 손권이 머뭇거려 결단치 못하는 것을 보고 그에게 이르기를,“돌아가신 언니께서 유언하시기를, ‘백부(손책의 자)가 임종하며 말하기를, 국내의 일을 결정치 못하겠으면 장소에게 물어보고, 국외의 일을 결단치 못하겠으면 주유에게 물어보라’하였다. 이제 어찌 공근(주유의 자)에게 물어보지 않느냐?”하니, 손권이 크게 기뻐하여 즉시 사자를 파양호(장강 중류의 큰 호수)로 보내 주유에게 의논을 청했다. 원래 주유는 파양호에서 수군을 훈련하다가, 조조 대군이 한수 상류에 다다른 것을 알고 밤새 시상군으로 돌아가 군사 문제를 의논하려 했다. 사자가 아직 출발하기에 앞서, 주유가 이미 먼저 도착했다. 노숙과 주유가 교분이 가장 두터워서 노숙이 그에게 먼저 가서 그전 일을 세세히 한차례 말해주었다. 주유가 말하기를,“자경(노숙의 자)께서 걱정하지 마시오. 내게 주장이 있소. 이제 어서 공명을 만나게 청해주시오.”하니, 노숙이 말을 타고 떠났다.
周瑜方才歇息,忽报张昭、顾雍、张纮、步骘四人来相探。瑜接入堂中坐定,叙寒温毕。张昭曰:“都督知江东之利害否?”瑜曰:“未知也。”昭曰:“曹操拥众百万,屯于汉上,昨传檄文至此,欲请主公会猎于江夏。虽有相吞之意,尚未露其形。昭等劝主公且降之,庶免江东之祸。不想鲁子敬从江夏带刘备军师诸葛亮至此,彼因自欲雪愤,特下说词以激主公。子敬却执迷不悟。正欲待都督一决。”瑜曰:“公等之见皆同否?”顾雍等曰:“所议皆同。”瑜曰:“吾亦欲降久矣。公等请回,明早见主公,自有定议。”昭等辞去。
주유가 막 휴식을 취하려는데, 문득 장소, 고옹, 장굉, 보즐 네 사람이 찾아왔다고 했다. 주유가 집안으로 맞아들여 좌정하고 안부를 묻고 나자, 장소가 말하기를,“도독께서 강동의 이해득실을 알고 계시오?”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아직 모르오.”했다. 장소가 말하기를,“조조가 백만 대군을 거느리고 한수 상류에 주둔하여 어제 격문을 여기로 보내 주공께 청해서 강하에서 전쟁을 하고자 하오. 비록 집어삼킬 마음이 있다고 하더라도 아직은 드러내지 않고 있소. 우리가 주공께 권해 그에게 항복하게 하면 강동은 재앙을 거의 벗어날 것이오. 그러나 뜻밖에, 노자경(노숙)이 강하에서 유비의 군사 제갈량을 여기로 데려와서, 그가 원한을 풀고자 특별히 교묘한 말로써 주공을 자극하고 있소. 자경도 고집만 세우고 깨닫지 못하오. 이제 도독께서 결단을 내려주기를 바라고 있소.”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여러분 견해는 모두 똑같지 않소?”했다. 고옹 등이 말하기를,“의견이 모두 같소.”하니, 주유가 말하기를,“나 역시 항복하려 한 지 오래 됐소. 여러분은 돌아가시오. 내일 아침 주공을 만나 뵙고, 자연히 의논이 정해질 것이오.”했다. 장소 등이 작별하고 떠났다.
少顷,又报程普、黄盖、韩当等一班战将来见。瑜迎入,各问慰讫。程普曰:“都督知江东早晚属他人否?”瑜曰:“未知也。”普曰:“吾等自随孙将军开基创业,大小数百战,方才战得六郡城池。今主公听谋士之言,欲降曹操,此真可耻可惜之事!吾等宁死不辱。望都督劝主公决计兴兵,吾等愿效死战。”瑜曰:“将军等所见皆同否?”黄盖忿然而起,以手拍额曰:“吾头可断,誓不降曹!”众人皆曰:“吾等都不愿降!”瑜曰:“吾正欲与曹操决战,安肯投降!将军等请回。瑜见主公,自有定议。”
얼마 뒤, 다시 정보, 황개, 한당 등 한 무리 장수들이 찾아왔다고 했다. 주유가 맞아들여 각각 노고를 위로하고 나자, 정보가 말하기를,“도독께서 강동 땅이 조만간 타인에게 넘어가는 것을 아시오?”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아직 모르오.”했다. 정보가 말하기를,“우리가 손 장군을 따라 토대를 세우고 창업해서, 크고 작은 수백 차례 싸움을 통하여 이제 겨우 여섯 군의 성지들을 싸워 차지했오. 이제 주공께서 모사들 말을 듣고 조조에게 항복하려 하니, 이것은 참으로 치욕스럽고 애석한 일이오. 우리는 차라리 죽을지언정 치욕은 당하지 않겠오. 바라건대 도독께서 주공께 권해서 결단을 내려 군사를 일으키게 하시오. 우리는 죽을 각오로 싸우기를 바라오.”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장군들 뜻이 모두 같지 않소?”했다. 황개가 분연히 일어나 손으로 이마를 치며 말하기를,“제 머리가 잘려도, 맹세코 조조에게 항복치 않겠소!”하니, 사람들이 모두 말하기를,“우리들은 모두 항복하고 싶지 않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저도 조조와 결전하고자 하는데 어찌 투항하겠소? 장군들은 청컨대 돌아가시오. 제가 주공을 만나 뵙고, 자연히 의논이 정해질 것이오.”했다.
程普等別去。又未几,诸葛瑾、吕范等一班儿文官相候。瑜迎入,讲礼方毕,诸葛瑾曰:“舍弟诸葛亮自汉上来,言刘豫州欲结东吴,共伐曹操,文武商议未定。因舍弟为使,瑾不敢多言,专候都督来决此事。”瑜曰:“以公论之若何?”瑾曰:“降者易安,战者难保。”周瑜笑曰:“瑜自有主张。来日同至府下定议。”瑾等辞退。忽又报吕蒙、甘宁等一班儿来见。瑜请入,亦叙谈此事。有要战者,有要降者,互相争论。瑜曰:“不必多言,来日都到府下公议。”众乃辞去。周瑜冷笑不止。
정보 등이 작별하고 떠났다. 다시 오래지 않아 제갈근과 여범 등 한 무리 문관이 방문했다. 주유가 맞이해 들여서 인사를 마치자, 제갈근이 말하기를,“사제(자기 아우를 겸손히 이르는 말) 제갈량이 한상(한수 가)에서 찾아와, 유예주가 동오와 동맹을 맺어 조조를 함께 토벌하고 싶다는 것을 말했소. 문무 관리들이 상의했지만 아직 정해지지 않았소. 아우가 사자로 찾아온지라 제가 감히 여러 말씀을 드릴 수 없어 오로지 도독께서 오셔서 이 일을 결단해 주시기를 기다렸소.”하니, 주유가 말하기를,“공의 생각은 어떻소?”했다. 제갈근이 말하기를,“항복하는 것은 쉽지만, 싸우는 것은 지키기 어렵소.”하니, 주유가 웃으며 말하기를, “제게 생각이 있으니 내일 함께 부중에 가서 의논을 정합시다.”했다. 제갈근 등이 인사하고 물러갔다. 문득 다시 여몽과 감녕 등 한 무리가 찾아왔다고 했다. 주유가 들어오게 해서 역시 그 일을 의논했다. 싸워야 한다는 이도 있고 항복해야 한다는 이도 있어 서로 언쟁했다. 주유가 말하기를,“여러 말씀 하실 것 없소. 내일 모두 부중에 가서 공론합시다.”했다. 이에 사람들이 인사하고 떠났다. 주유가 씁쓸하게 웃어 마지 않았다.
至晚,人报鲁子敬引孔明来拜。瑜出中门迎入。叙礼毕,分宾主而坐。肃先问瑜曰:“今曹操驱众南侵,和与战二策,主公不能决,一听于将军。将军之意若何?”瑜曰:“曹操以天子为名,其师不可拒。且其势大,未可轻敌。战则必败,降则易安。吾意已决。来日见主公,便当遣使纳降。”鲁肃愕然曰:“君言差矣!江东基业,已历三世,岂可一旦弃于他人?伯符遗言,外事付托将军。今正欲仗将军保全国家,为泰山之靠,奈何从懦夫之议耶?”瑜曰:“江东六郡,生灵无限;若罹兵革之祸,必有归怨于我,故决计请降耳。”肃曰:“不然。以将军之英雄,东吴之险固,操未必便能得志也。”
저녁에 이르러, 노자경이 공명을 이끌고 인사하러 왔다고 했다. 주유가 중문을 나가 맞이해서 인사를 마치고 손님과 주인 자리에 앉았다. 노숙이 먼저 주유에게 묻기를,“이제 조조가 대군을 몰아 남침하니 화친과 전쟁 두 가지 대책이 있소. 주공께서 결단치 못해 장군께 물으려 하시는데 장군 뜻은 어떻소?”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조조가 천자를 명분으로 삼아 그 군사에게 저항할 수 없소. 게다가 그 세력이 강대해 가벼이 대적할 수 없소. 싸우면 반드시 질 것이고 항복하면 쉽고 편안하오. 내 뜻은 이미 결정되었소. 내일 주공을 만나 곧 사자를 보내 항복하자고 하겠소.”했다. 노숙이 몹시 놀라 말하기를,“그대의 말씀이 틀렸소! 강동의 기업이 이미 3대째 이어졌는데 어찌 하루아침에 남에게 넘겨 주겠소? 백부(손책)가 유언하기를, 바깥일은 장군께 부탁하라 했소. 이제 장군께 의지해 국가를 보전할 것만 태산처럼 믿었는데 어찌 겁쟁이들의 말을 따르시오?”하니, 주유가 말하기를,“강동 여섯 군에 백성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소. 만약 전쟁의 재앙을 입는다면 틀림없이 원망이 내게 돌아올 것이오. 그러니 결단을 내려 항복을 청할 수밖에 없습니다.”했다. 노숙이 말하기를,“그렇지 않소. 장군은 영웅이고, 동오는 험고하니 조조가 반드시 그 뜻을 이룬다고는 볼 수 없소.”했다.
二人互相争辩,孔明只袖手冷笑。瑜曰:“先生何故哂笑?”孔明曰:“亮不笑别人,笑子敬不识时务耳。”肃曰:“先生如何反笑我不识时务?”孔明曰:“公瑾主意欲降操,甚为合理。”瑜曰:“孔明乃识时务之士,必与吾有同心。”肃曰:“孔明,你也如何说此?”孔明曰:“操极善用兵,天下莫敢当。向只有吕布、袁绍、袁术、刘表敢与对敌。今数人皆被操灭,天下无人矣。独有刘豫州不识时务,强与争衡;今孤身江夏,存亡未保。将军决计降曹,可以保妻子,可以全富贵。国祚迁移,付之天命,何足惜哉!”
두 사람이 서로 논쟁하는데 공명은 수수방관하며 냉소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선생은 어째서 비웃는 것이오?”하니, 공명이 말하기를,“제가 다른 사람을 비웃는 것이 아니라, 자경(노숙)이 시무(당면 문제)를 모르는 것을 비웃었을 뿐이오.”했다. 노숙이 말하기를,“선생은 어찌하여 도리어 나를 시무를 모른다고 비웃을 수 있소?”하니, 공명이 말하기를,“공근(주유)의 주장은 조조에게 항복하자는 것이니 매우 이치에 맞습니다.”했다. 주유가 말하기를,“공명은 당면 문제를 잘 아는 사람이라 반드시 나와 마음이 같구려.”하니, 노숙이 말하기를,“공명, 그대는 어찌하여 이렇게 말하시오?”했다. 공명이 말하기를,“조조는 극히 용병을 잘해서 천하의 누구도 감히 맞서지 못하오. 일찍이 여포, 원소, 원술, 유표가 감히 그와 대적했소. 이제 그들 모두 조조에게 멸망돼 천하에 아무도 없소. 홀로 유예주께서 당면 문제를 모르시고 굳이 그와 우열을 가리려 하고 있소. 지금 외로이 강하에 있으나, 존망을 보장하지 못하오. 장군께서 결단을 내려 조조에게 항복하시면 가히 처자를 보존하고 부귀를 온전하게 누리게 되오. 국운이 바뀌는 것은 하늘의 뜻에 달렸으니 어찌 족히 애석해 하겠소!”했다.
鲁肃大怒曰:“汝教吾主屈膝受辱于国贼乎!”孔明曰:“愚有一计:并不劳牵羊担酒,纳土献印;亦不须亲自渡江;只须遣一介之使,扁舟送两个人到江上。操一得此两人,百万之众,皆卸甲卷旗而退矣。”瑜曰:“用何二人,可退操兵?”孔明曰:“江东去此两人,如大木飘一叶,太仓减一粟耳;而操得之,必大喜而去。”
노숙이 크게 노해 말하기를,“그대가 우리 주공더러 국가의 역적에게 무릎 꿇고 치욕을 당하라는 것이오?”하니, 공명이 말하기를,“제게 계책이 하나 있소. 수고롭게 양고기와 술을 준비해 대접할 것도 없고, 영토를 바치고 인수를 바칠 것도 없으며, 또한 몸소 강을 건너 갈 것도 없소. 다만 한낱 사자를 보내 조각배에 두 사람을 싣고 강 건너로 보내면 되오. 조조가 이 두 사람을 얻으면 백만 대군도 모두 갑옷을 풀고 깃발을 둘둘 말아 물러갈 것이오.”했다. 주유가 말하기를,“그 두 사람이 누군데 조조의 병력을 물리가게 하겠소?”하니, 공명이 말하기를,“강동에서 이 두 사람을 떠나보내도 큰 나무에서 이파리 하나 떨어지는 셈이요, 큰 창고에서 곡식 한 톨 사라지는 셈일 뿐이지만, 조조가 얻으면 틀림없이 크게 기뻐해서 물러갈 것이오.”했다.
瑜又问:“果用何二人?”孔明曰:“亮居隆中时,即闻操于漳河新造一台,名曰铜雀,极其壮丽;广选天下美女以实其中。操本好色之徒,久闻江东乔公有二女,长曰大乔,次曰小乔,有沉鱼落雁之容,闭月羞花之貌。操曾发誓曰:吾一愿扫平四海,以成帝业;一愿得江东二乔,置之铜雀台,以乐晚年,虽死无恨矣。今虽引百万之众,虎视江南,其实为此二女也。将军何不去寻乔公,以千金买此二女,差人送与曹操,操得二女,称心满意,必班师矣。此范蠡献西施之计,何不速为之?”
주유가 다시 묻기를,“대체 어떤 두 사람을 쓰자는 것이오?”하니, 공명이 말하기를,“제가 융중에 있을 때에 듣자니, 조조가 장하 가에 새로 한 누대를 지어 이름을 동작이라 하고, 그 모습이 극히 장려하다 했소. 천하 미녀를 널리 뽑아 그곳을 채웠다 하오. 조조는 본래 호색하는 무리라 오래전부터 강동에 사는 교공에게 두 딸이 있다는 것을 들었는데, 큰딸은 대교이고, 작은딸은 소교라 일컬어 그 용모가 침어낙안(여자가 아름다워서 물고기가 가라앉고 기러기가 내려앉을 만하다는 말)이요 폐월수화(여자의 아름다음에 달이 숨고 꽃이 부끄러워함)라고 했습니다. 조조가 일찍이 맹서하기를,‘내 한 가지 소원은 천하를 평정하여 제왕의 공업을 이루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 소원은 강동의 이교를 얻어 동작대에 두고 만년을 즐기는 것이니, (그렇게 된다면) 비록 죽어도 한이 없을 것이다.’라고 했소. 이제 비록 백만 대군을 이끌고 강남을 호시탐탐 노리지만 그 실상은 이 두 여인 때문이오. 장군께서는 어찌해서 교공을 찾아가서 천금을 주고 두 딸을 사서 조조에게 보내지 않으시오? 조조가 두 여인을 얻으면 아주 마음에 흡족해서 반드시 군사를 거둘 것이오. 이것이 범려가 서시를 (오왕 부차에게) 바친 계책인데, 어찌 서두르지 않소?”했다.
瑜曰:“操欲得二乔,有何证验?”孔明曰:“曹操幼子曹植,字子建,下笔成文。操尝命作一赋,名曰《铜雀台赋》。赋中之意,单道他家合为天子,誓取二乔。”瑜曰:“此赋公能记否?”孔明曰:“吾爱其文华美,尝窃记之。”瑜曰:“试请一诵。”孔明即时诵《铜雀台赋》
주유가 말하기를,“조조가 이교를 얻고 싶어한다니 무슨 증거가 있소?”하니, 공명이 말하기를,“조조의 어린 아들 조식은 자가 자건인데 붓을 대기만 하면 글이 완성되었소. 조조가 일찍이 부 한 편을 지으라고 명했는데, 이름하여 <동작대부>요. 그 내용을 보면, (지금의 천자가 아닌) 다른 집안이 천자가 될 것이라고 했을 뿐 아니라 이교를 취하겠다는 맹서도 했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그 부를 공이 능히 외울 수 있소?”하니, 공명이 말하기를,“그 문장이 화려하고도 아름다운 것이 좋아서 내가 일찍이 외워 두었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한번 읊어 주시기를 청하오.”하니, 공명이 즉시 동작대부를 낭송했다.
云:“从明后以嬉游兮,登层台以娱情。见太府之广开兮。观圣德之所营。建高门之嵯峨兮,浮双阙乎太清。立中天之华观兮,连飞阁乎西城。临漳水之长流兮,望园果之滋荣。立双台于左右兮,有玉龙与金凤。揽二乔于东南兮,乐朝夕之与共。俯皇都之宏丽兮,瞰云霞之浮动。欣群才之来萃兮,协飞熊之吉梦。仰春风之和穆兮,听百鸟之悲鸣。天云垣其既立兮,家愿得乎双逞,扬仁化于宇宙兮,尽肃恭于上京。惟桓文之为盛兮,岂足方乎圣明?休矣!美矣!惠泽远扬。翼佐我皇家兮,宁彼四方。同天地之规量兮,齐日月之辉光。永贵尊而无极兮,等年寿于东皇。御龙兮以遨游兮,回鸾驾而周章。恩化及乎四海兮,嘉物阜而民康。愿斯台之永固兮,乐终古而未央!”
(<동작대부>에) 이르기를,“어진 임금을 따라 노님이여, 층층 높은 대를 올라 정취를 즐기네. 태부(太府)가 넓게 펼쳐져 있음을 살펴봄이여, 성덕이 넘쳐흐르는 것을 보네. 높다란 문은 산처럼 솟았구나, 쌍 대궐이 하늘에 떠 있는 듯하네. 하늘 높이 멋진 장관을 세움이여, 서쪽 성에 날아갈 듯한 집들이 이어졌네. 장수(漳水)가 길게 흐르는 데 임했구나, 저 멀리 동산에서 과일이 영그네. 좌우에 쌍으로 누대를 세웠구나, 그 이름 옥룡과 금봉일세. 동쪽과 남쪽에 두 교씨를 끌어안음이여, 아침저녁으로 함께 즐기려 하네. 크고 아름다운 서울을 굽어보니, 저녁놀 따라 구름이 떠서 움직이네. 즐겁게 재사들이 몰려옴이여, 훌륭한 신하들을 얻을 길몽이네. 봄바람이 훈훈히 불어옴을 바라봄이여, 온갖 새들이 구슬피 우는 것을 듣는구나. 하늘 높이 구름처럼 우뚝 솟아 있으니, 집안이 바라는 대로 번창하리라. 어진 교화를 우주에 떨쳐서, 모두 서울로 와 공경을 다하겠네. 옛 환공과 문공의 번성함이여, 어찌 성스런 임금의 밝음에 견주리오. 훌륭하고 아름답도다! 혜택을 멀리 떨치는구나. 우리 황제의 집안을 도와서, 저 사방을 안녕케 하리라. 천하의 운행을 고르게 하여, 일월의 빛과 나란히 하리라. 영원히 높고 귀하여 끝이 없음이여, 수명이 동쪽에 돋는 해와 같으리라. 천자를 모시고 노님이여, 난가(천자의 행차)를 돌려 천하를 주유하네. 은택과 교화가 사해에 미침이여, 물산은 풍부하고 백성은 안락하네. 바라건대 이 누대는 영원히 굳게 버티어, 언제까지나 끝이 없기를!”했다.
周瑜听罢,勃然大怒,离座指北而骂曰:“老贼欺吾太甚!”孔明急起止之曰:“昔单于屡侵疆界,汉天子许以公主和亲,今何惜民间二女乎?”瑜曰:“公有所不知:大乔是孙伯符将军主妇,小乔乃瑜之妻也。”孔明佯作惶恐之状,曰:“亮实不知。失口乱言,死罪!死罪!”瑜曰:“吾与老贼誓不两立!”孔明曰:“事须三思,免致后悔。”瑜曰:“吾承伯符寄托,安有屈身降操之理?适来所言,故相试耳。吾自离鄱阳湖,便有北伐之心,虽刀斧加头,不易其志也!望孔明助一臂之力,同破曹贼。”孔明曰:“若蒙不弃,愿效犬马之劳,早晚拱听驱策。”瑜曰:“来日入见主公,便议起兵。”
주유가 듣고 나더니 벌컥 크게 화를 내어 자리를 박차고 북쪽을 손가락질하며 욕하기를,“늙은 도적아! 나를 업신여기는 게 너무 심하구나!”하니, 공명이 급히 일어나 말리며 말하기를,“예전에 흉노의 선우가 국경을 여러 번 침범하자 한나라 천자께서 공주를 보내 화친했소. 이제 민간 두 여자를 어찌 아까워하겠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공은 모르셨겠지만, 대교는 손백부 장군의 주부이고 소교는 제 처요.”하니, 공명이 거짓으로 매우 놀란 체하며 말하기를,“제가 참으로 몰랐소. 실수로 어지럽게 말했으니 죽을 죄를 지었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내가 늙은 도적과 맹세코 양립하지 못하겠소!”하니, 공명이 말하기를,“일은 모름지기 세 번을 생각해야 후회가 없을 것이라 했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내가 백부(손책)의 부탁을 받았거늘 어찌 조조에게 항복할 리가 있겠소? 아까 한 말들은 일부러 시험해 본 것뿐이오. 내가 파양호를 떠나 오면서부터 북벌할 마음을 가졌소. 비록 머리에 칼과 도끼를 맞을지언정 그 뜻을 바꿀 수 없으리다. 바라건대 공명께서도 한 팔 거들어 주셔서 함께 조조를 쳐부숩시다.”하니, 공명이 말하기를,“저를 버리지 않으신다면 바라건대 견마지로를 다하여 늘 채찍질을 달게 받겠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내일 들어가 주공을 만나 뵙고, 곧 출병을 의논하겠소.”했다.
孔明与鲁肃辞出,相别而去。次日清晨,孙权升堂。左边文官张昭、顾雍等三十余人;右边武官程普、黄盖等三十余人:衣冠济济,剑佩锵锵,分班侍立。少顷,周瑜入见。礼毕,孙权问慰罢,瑜曰:“近闻曹操引兵屯汉上,驰书至此,主公尊意若何?”权即取檄文与周瑜看。瑜看毕,笑曰:“老贼以我江东无人,敢如此相侮耶!”权曰:“君之意若何?”
공명이 노숙과 함께 작별 인사를 하고 나와 서로 헤어져 떠났다. 다음날 아침에 손권이 관청에 출근하니 왼쪽에는 문관인 장소, 고옹 등 3십여 인이 섰고, 오른쪽에는 무관인 정보, 황개 등 3십여 인이 섰다. 그들의 차림새는 위엄이 있고 허리에 찬 검은 쟁쟁 울리는데 반으로 나뉘어 시립해 섰다. 잠시 뒤, 주유가 들어왔다. 인사를 한 후, 손권이 위로를 마치자, 주유가 말하기를,“요새 듣자니, 조조가 병력을 이끌고 한수 가에 주둔하여 서찰을 여기로 보냈다 하던데, 주공의 뜻은 어떠하십니까?”하니, 손권이 즉시 그 격문을 주유에게 주어 보게 했다. 주유가 보고 나서 웃으며 말하기를,“늙은 도적이 강동에 사람이 없는 줄 알고서 감히 이렇게 모욕했을 뿐입니다!”하니, 손권이 말하기를,“그대의 뜻은 어떠하오?”했다.
瑜曰:“主公曾与众文武商议否?”权曰:“连日议此事:有劝我降者,有劝我战者。吾意未定,故请公瑾一决。”瑜曰:“谁劝主公降?”权曰:“张子布等皆主其意。”瑜即问张昭曰:“愿闻先生所以主降之意。”昭曰:“曹操挟天子而征四方,动以朝廷为名;近又得荆州,威势愈大。吾江东可以拒操者,长江耳。今操艨艟战舰,何止千百?水陆并进,何可当之?不如且降,更图后计。”瑜曰:“此迂儒之论也!江东自开国以来,今历三世,安忍一旦废弃?”权曰:“若此,计将安出?”
주유가 말하기를,“주공께서 이미 문무 관리들과 상의하지 않으셨습니까?”하니, 손권이 말하기를,“날마다 이 일을 의논했으나 내게 항복을 권하는 이도 있고 싸울 것을 권하는 이도 있소. 내 뜻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공근(주유)께서 결정해줄 것을 청하오.”했다. 주유가 말하기를,“누가 주공께 항복을 권했습니까?”하니, 손권이 말하기를,“장자포(장소)등이 모두 그렇게 주장하오.”했다. 주유가 즉시 장소에게 묻기를,“바라건대 선생께서 항복을 주장하는 까닭을 듣고 싶소.”하니, 장소가 말하기를,“조조가 천자를 끼고 사방을 정벌하고 조정의 이름으로 움직이며, 요새 다시 형주를 얻어 위세가 더욱 커졌소. 우리 강동이 조조에게 맞설 수 있었던 것은 장강뿐이오. 이제 조조가 크고 작은 전함을 거느린 게 어찌 천 척이나 백 척에 그치겠소? 수륙으로 나란히 진격해 오면 어찌 당하겠소? 일단 항복해 뒷날을 도모하는 것만 못하리다.”했다. 주유가 말하기를,“이것은 우활한 선비의 논의요! 강동이 개국한 이래 이제 3대에 이르는데 어찌 차마 하루 아침에 폐기하겠소!”하니, 손권이 말하기를,“그렇다면 계책은 무엇이오?”했다.
瑜曰:“操虽托名汉相,实为汉贼。将军以神武雄才,仗父兄余业,据有江东,兵精粮足,正当横行天下,为国家除残去暴,奈何降贼耶?且操今此来,多犯兵家之忌:北土未平,马腾、韩遂为其后患,而操久于南征,一忌也;北军不熟水战,操舍鞍马,仗舟楫,与东吴争衡,二忌也;又时值隆冬盛寒,马无藁草,三忌也;驱中国士卒,远涉江湖,不服水土,多生疾病,四忌也。操兵犯此数忌,虽多必败。将军擒操,正在今日。瑜请得精兵数万人,进屯夏口,为将军破之!”
주유가 말하기를,“조조가 비록 명목은 한나라 승상이지만 실은 한나라 역적입니다. 장군께서 뛰어난 무용과 재능으로 부형의 유업에 기반하여 강동에 웅거해 병력은 정예하고 양식은 넉넉합니다. 이야말로 천하를 주름잡아 국가를 위하여 잔폭한 무리를 제거해야 하거늘 어찌 역적에게 항복하시겠습니까? 게다가 조조가 지금 이렇게 온 것은 여러 가지로 병가의 금기를 범한 것입니다. 북쪽 지방이 아직 평정되지 않아 마등과 한수가 배후의 우환인데 조조가 남쪽을 정벌하느라 오래 머무니 첫 번째 금기입니다. 북쪽 군사들은 수전에 익숙하지 않은데 조조가 안장 얹은 말을 버리고 배에 의지해 동오와 싸우려 하니 두 번째 금기입니다. 더욱이 때가 마침 엄동설한이라 말이 뜯어 먹을 풀이 없으니 세 번째 금기입니다. 중원지방의 사졸들을 휘몰아 멀리 강과 호수를 건너와서 풍토가 맞지 않아 질병이 많이 생기니 네 번째 금기입니다. 조조의 군대가 이 여러 금기를 범했으니 비록 병력이 많은들 반드시 패합니다. 장군께서 조조를 잡을 때는 바로 지금입니다. 제가 청컨대 정예병 수만 명을 얻어서 하구로 진군해서 장군을 위해 그를 깨부수겠습니다!”했다.
权矍然起曰:“老贼欲废汉自立久矣,所惧二袁、吕布、刘表与孤耳。今数雄已灭,惟孤尚存。孤与老贼,誓不两立!卿言当伐,甚合孤意。此天以卿授我也。”瑜曰:“臣为将军决一血战,万死不辞。只恐将军狐疑不定。”权拔佩剑砍面前奏案一角曰:“诸官将有再言降操者,与此案同!”言罢,便将此剑赐周瑜,即封瑜为大都督,程普为副都督,鲁肃为赞军校尉。如文武官将有不听号令者,即以此剑诛之。
손권이 놀라서 쳐다보고 일어나 말하기를,“늙은 도적이 한나라를 폐하고 자립하려 한 지 오래 되었소. 그가 두려워 한 이들은 두 원 씨, 여포, 유표 그리고 나였소. 이제 그들 영웅이 이미 멸망해 오로지 나만 아직 남아 있소. 나와 늙은 도적은 맹세코 양립하지 못하리다! 경의 말은 그를 쳐야 한다는 것이니 내 뜻에 딱 들어맞소. 이야말로 하늘이 경을 내게 내린 것이오.”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신이 장군을 위하여 한번 혈전을 벌여 만번 죽은들 사양치 않겠습니다. 다만 장군께서 의심하여 결단치 못할까 걱정입니다.”했다. 손권이 차고 있던 칼을 뽑아 그 자리에서 안상 한 귀퉁이를 찍으며 말하기를,“뭇 관리와 장수 가운데 또다시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말하는 자는 이 안상처럼 될 것이오!”하고, 말을 마치자 그 칼을 주유에게 하사하고 그를 대도독으로 봉하고 정보를 부도독으로, 노숙을 찬군교위로 삼았다. 문무 관리 가운데 명령을 듣지 않는 자는 즉시 그 검으로 처형하라고 했다.
瑜受了剑,对众言曰:“吾奉主公之命,率众破曹。诸将官吏来日俱于江畔行营听令。如迟误者,依七禁令五十四斩施行。”言罢,辞了孙权,起身出府。众文武各无言而散。周瑜回到下处,便请孔明议事。孔明至。瑜曰:“今日府下公议已定,愿求破曹良策。”孔明曰:“孙将军心尚未稳,不可以决策也。”瑜曰:“何谓心不稳?”孔明曰:“心怯曹兵之多,怀寡不敌众之意。将军能以军数开解,使其了然无疑,然后大事可成。”瑜曰:“先生之论甚善。”
주유가 검을 받아 들고 사람들에게 말하기를,“내가 주공의 명을 받들어 병력을 이끌고 조조를 격파할 것이오. 뭇 장수와 관리들은 내일 강가에 모두 모여 명령을 들으시오. 만약 늦게 오는 자는 일곱 금지령과 쉰네 가지 중대 위반 사항에 의거해 참하겠소.”하고, 말을 마치자 손권에게 작별하고 몸을 일으켜 부중을 나갔다. 뭇 문무 관리들은 각각 아무 말 없이 흩어져 돌아갔다. 주유가 처소로 돌아가 공명을 청하여 의논했다. 공명이 도착하자 주유가 말하기를,“오늘 부중에서 공론을 정했소. 바라건대 조조를 격파할 좋은 계책을 알려 주시오.”하니, 공명이 말하기를,“손 장군의 마음이 아직 확고하지 않아 계책을 결정할 수 없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어찌하여 마음이 확고하지 않다고 하시오?”하니, 공명이 말하기를,“마음으로 조조의 병력이 많은 것을 겁내어, 소수 병력으로 대군에 맞서지 못하리라 생각하고 계시오. 장군께서 군사 숫자의 허실을 설명해서 명료하게 의심을 없앤 뒤에야 대사를 이룰 수 있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선생 말씀이 매우 훌륭하오.”했다.
乃复入见孙权。权曰:“公瑾夜至,必有事故。”瑜曰:“来日调拨军马,主公心有疑否?”权曰“但忧曹操兵多,寡不敌众耳。他无所疑。”瑜笑曰:“瑜特为此来开解主公。主公因见操檄文,言水陆大军百万,故怀疑惧,不复料其虚实。今以实较之:彼将中国之兵,不过十五六万,且已久疲;所得袁氏之众,亦止七八万耳,尚多怀疑未服。夫以久疲之卒,御狐疑之众,其数虽多,不足畏也。瑜得五万兵,自足破之。愿主公勿以为虑。”
이에 다시 들어가 손권을 만나자 손권이 말하기를,“공근께서 밤 늦게 오시다니 필시 무슨 까닭이 있겠구려.”하니, 주유가 말하기를,“내일 군마를 동원할 것인데 주공께서 마음에 의심스러운 것은 없으신지요?”했다. 손권이 말하기를,“다만 걱정은 조조의 병력이 많아서 적은 병력으로 대군을 맞서지 못할까 하는 것이지, 다른 의심은 없소.”하니, 주유가 웃으며 말하기를,“제가 특별히 그것 때문에 주공의 의혹을 풀어드리고자 찾아왔습니다. 주공께서는 조조가 격문에서 수륙 대군이 백만이라 한 말에 의구심을 가지셨겠지만, 그 허실을 헤아리지 못하셨습니다. 그가 중원의 병력을 이끌고 온 것은 15, 6만을 넘지 못한데다 오래도록 지쳐 있습니다. 원씨의 병력에서 얻은 것도 7, 8만에 불과할 뿐이고 아직 다수가 머뭇거리며 복종하지 않습니다. 대체로 오래도록 지친 무리와 여우처럼 의심을 품은 무리는 비록 그 숫자가 많아도 족히 두려울 게 못 됩니다. 제가 병력 5만이면 그들을 격파하기에 넉넉합니다. 바라건대 주공께서 염려하지 마십시오.”했다.
权抚瑜背曰:“公瑾此言,足释吾疑。子布无谋,深失孤望;独卿及子敬,与孤同心耳。卿可与子敬、程普即日选军前进。孤当续发人马,多载资粮,为卿后应。卿前军倘不如意,便还就孤。孤当亲与操贼决战,更无他疑。”周瑜谢出,暗忖曰:“孔明早已料着吴侯之心。其计画又高我一头。久必为江东之患,不如杀之。乃令人连夜请鲁肃入帐,言欲杀孔明之事。肃曰:“不可。今操贼未破,先杀贤士,是自去其助也。”瑜曰:“此人助刘备,必为江东之患。”肃曰:“诸葛瑾乃其亲兄,可令招此人同事东吴,岂不妙哉?”瑜善其言。
손권이 주유의 등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주공근(주유)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니 내 의혹이 풀리고도 남소. 자포(장소)는 꾀가 없어서 내 기대를 크게 저버렸소. 오로지 경과 자경(노숙)이 내 마음과 같을 뿐이오. 경은 가히 자경, 정보와 더불어 곧 군사를 뽑아 전진하시오. 나는 뒤따라 인마를 출발시켜 물자와 양곡을 가득 싣고 경을 뒷받침해주겠소. 경이 진군하다가 여의치 않으면 곧 내게 돌아와 합류하시오. 내 마땅히 조조 도적과 더불어 결전할 것이니 달리 의심하는 것은 없을 것이오.”했다. 주유가 사례하고 나가며 몰래 헤아리기를,“공명이 이미 오나라 군주의 마음을 헤아리고, 그 계책이 또한 나를 한참 넘어서는구나. 나중에 반드시 강동의 우환이 될 것이니 그를 죽이느니만 못할 것이다.”했다. 이에 사람을 시켜 그날 밤에 노숙을 불러들여 그에게 공명을 죽일 결심을 이야기하자, 노숙이 말하기를,“안 됩니다. 지금 조조 도적놈을 아직 격파하지 못했는데 먼저 어진 선비를 죽인다면, 이것은 도와줄 사람을 스스로 없애는 것이오.”하니, 주유가 말하기를,“이 사람은 유비를 도와 반드시 강동의 우환이 될 것이오.”했다. 노숙이 말하기를,“제갈근이 그 친형이니 이 사람을 불러 함께 동오를 섬기게 하면 어찌 묘하지 않겠소?”하니, 주유가 그 말을 훌륭하게 여겼다.
次日平明,瑜赴行营,升中军帐高坐。左右立刀斧手,聚集文官武将听令。原来程普年长于瑜,今瑜爵居其上,心中不乐:是日乃托病不出,令长子程咨自代。瑜令众将曰:“王法无亲,诸君各守乃职。方今曹操弄权,甚于董卓:囚天子于许昌。屯暴兵于境上。吾今奉命讨之,诸君幸皆努力向前。大军到处,不得扰民。赏劳罚罪,并不徇纵。”令毕,即差韩当、黄盖为前部先锋,领本部战船,即日起行,前至三江口下寨,别听将令;蒋钦、周泰为第二队;凌统、潘璋为第三队;太史慈、吕蒙为第四队;陆逊、董袭为第五队;吕范、朱治为四方巡警使,催督六郡官军,水陆并进,克期取齐。
다음날 해가 뜰 무렵에 주유가 군영에 도착하여 중군 장막에 올라 높이 앉았다. 좌우에 도부수들을 세워 문관과 무장들을 소집해 명령을 듣게 했다. 원래, 정보는 주유보다 나이가 많은데 이제 주유의 벼슬이 그보다 위에 있어 마음이 불쾌했다. 그래서 이날 병을 핑계로 출석하지 않고, 맏아들 정자를 대신 보냈다. 주유가 장수들에게 명령하기를,“국법은 친하다고 봐주는 게 없오. 여러분은 각각 직분에 충실하시오. 지금 한창, 조조가 권력을 농단해 동탁보다 심하게 천자를 허창에 가두어 두고, 난폭한 군대를 국경에 주둔시켰소. 내가 이제 명령을 받들어 그를 토벌할 것이니, 여러분은 아무쪼록 모두 노력해 전진하시오. 대군이 이르는 곳에 백성들을 괴롭혀서는 안 될 것이오. 수고한 자는 포상하고 죄지은 자는 징벌할 것이니 아울러 제멋대로 행동하지 마시오.”했다. 명령을 마치고, 즉시 한당과 황개를 선봉으로 삼아 휘하 전선을 거느리고 그날로 출발하여 삼강구(세 강이 만나는 곳)에 먼저 가서 주둔하여 따로 명령을 기다리게 했다. 장흠과 주태는 제2대가 되고, 능통과 반장은 제3대가 되며, 태사자와 여몽은 제4대가 되고, 육손과 동습은 제5대가 되었다. 여범과 주치는 사방 순경사로 삼아, 여섯 군의 관군을 재촉하여 물과 뭍에서 함께 진군해서 날을 정해 모이게 했다.
调拨已毕,诸将各自收拾船只军器起行。程咨回见父程普,说周瑜调兵,动止有法。普大惊曰:“吾素欺周郎懦弱,不足为将;今能如此,真将才也!我如何不服!”遂亲诣行营谢罪。瑜亦逊谢。次日,瑜请诸葛瑾,谓曰:“令弟孔明有王佐之才,如何屈身事刘备?今幸至江东,欲烦先生不惜齿牙余论,使令弟弃刘备而事东吴,则主公既得良辅,而先生兄弟又得相见,岂不美哉?先生幸即一行。”瑾曰:“瑾自至江东,愧无寸功。今都督有命,敢不效力。”即时上马,径投驿亭来见孔明。孔明接入,哭拜,各诉阔情。
출동 명령을 마치자 장수들이 각자 선박과 군기를 수습해 출발했다. 정자가 돌아가 아버지 정보를 만나서, 주유가 병력 운용과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음을 이야기하자 정보가 크게 놀라 말하기를,“내가 평소에 주랑(주유)은 나약해서 장수가 되기 부족하다고 업신여겼다. 이제 그토록 능숙하다니 참으로 장수 재목이다! 내 어찌 불복하겠느냐?”하고, 곧 친히 군영으로 찾아가 사죄했다. 주유도 또한 겸손하게 사례했다. 다음날 주유가 제갈근을 청해 말하기를,“아우님인 공명에게 왕을 보좌할 재주가 있는데 어찌해서 몸을 낮춰 유비를 섬기는 것이오? 이제 다행히 강동에 왔으니, 선생께서 번거로우시더라도 좋은 말로 달래어, 아우님으로 하여금 유비를 버리고 동오를 섬기게 하시면, 주공은 훌륭한 보좌를 얻게 되고, 선생은 형제가 다시 만나게 되는 것이니 어찌 아름답지 않겠소? 선생께서 아무쪼록 한번 가주시오.”하니, 제갈근이 말하기를,“제가 강동에 오고서 작은 공도 없어 부끄럽소. 이제 도독께서 명하시는데 제가 감히 힘을 다하지 않겠소?”하고, 즉시 말에 올라 여관으로 질러 가서 공명을 만났다. 공명이 맞이해 들여서 곡하며 절하고, 서로 오래 만나지 못했던 정을 나누었다.
瑾泣曰:“弟知伯夷、叔齐乎?”孔明暗思:“此必周郎教来说我也。”遂答曰:“夷、齐古之圣贤也。”瑾曰:“夷、齐虽至饿死首阳山下,兄弟二人亦在一处。我今与你同胞共乳,乃各事其主,不能旦暮相聚。视夷、齐之为人,能无愧乎?”孔明曰:“兄所言者,情也;弟所守者,义也。弟与兄皆汉人。今刘皇叔乃汉室之胄,兄若能去东吴,而与弟同事刘皇叔,则上不愧为汉臣,而骨肉又得相聚,此情义两全之策也。不识兄意以为何如?”
제갈근이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아우는 백이, 숙제를 아는가?”하니, 공명은 속으로 생각하기를,“이것은 반드시 주랑이 시켜서 나를 설득하러 오신 것이다.”하고, 곧 대답하기를,“백이와 숙제는 옛날 성현들이지요.”했다. 제갈근이 말하기를,“백이, 숙제는 비록 수양산에서 굶어 죽게 되어도, 형제 두 사람이 또한 한 곳에 있었네. 내 이제 너와 한 어머니 밑에서 젖을 먹고 자랐는데, 각각 다른 주인을 섬겨 아침저녁으로 만나지 못하니, 백이, 숙제의 사람됨을 볼 때 능히 부끄럽지 않겠는가?”하니, 공명이 말하기를,“형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정입니다. 아우가 지키고자 하는 것은 의리입니다. 저와 형님 모두 한나라 사람입니다. 지금 유황숙은 한실의 후예이니, 형님이 만약 동오를 능히 떠날 수만 있다면, 저와 더불어 유황숙을 함께 모시는 것이, 위로는 한나라 신하로서 부끄럽지 않고, 골육끼리 서로 만나게도 되니, 이야말로 정과 의리를 둘다 보전할 계책입니다. 형님 뜻이 어떨는지 모를겠습니다.”했다.
瑾思曰:“我来说他,反被他说了我也。”遂无言回答,起身辞去。回见周瑜,细述孔明之言。瑜曰:“公意若何?”瑾曰:“吾受孙将军厚恩,安肯相背!”瑜曰:“公既忠心事主,不必多言。吾自有伏孔明之计。”正是:智与智逢宜必合,才和才角又难容。
제갈근이 생각하기를,“내가 그를 설득하려 왔다가 도리어 내가 그에게 설득당하겠구나.”하고, 마침내 아무 대답할 말이 없어 일어나 작별하고 떠났다. 되돌아가서 주유를 만나 공명의 말을 자세히 이야기하자, 주유가 말하기를,“공의 뜻은 어떻소?”하니, 제갈근이 말하기를,“제가 손 장군의 두터운 은혜를 입었는데 어찌 배반하겠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공께서 이미 충심으로 주공을 섬기시니 더 말씀하지 마시오. 내게 공명을 굴복시킬 계책이 있소.”했다. 이야말로, 슬기와 슬기가 만나 마땅히 합쳐야 할 것이나, 재주와 재주가 다투어 용납하기 어렵구나.
毕竟周瑜定何计伏孔明,且看下回分解。
결국 주유가 무슨 계책으로 공명을 굴복시키려 할까? 다음 회를 보면 풀릴 것이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