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백운대
2024년 10월 01일(화요일)
산행코스 : 도선사 - 백운대탐방지원센터(08:05) - 하루재(08:30) - 백운대(09:20) - 대동사(10:15) - 대서문(10:50) - 북한산성탐방안내센터(11:05)
산행거리 : 7km
도선사 입구임을 알려주는 일주문은 천왕문을 겸하고 있습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건물로 화강석 기단 위에 원형초석을 두고 그 위로 원형기둥을 올린 모습이며, 좌우 협칸에 높이 320㎝의 목조사천왕상이 봉안되어 있고, 전면에는 해태상이 있습니다.
삼각산도선사(三角山 道詵寺) 일주문 편액
남방증장대왕(南方增長大王), 서방광목대왕(西方廣目大王)
북방다문대왕(北方多聞大王), 동방특국대왕(東方特國大王)
지국천왕은 비파를 들고, 증장천왕은 보검을, 광목천왕은 용관, 여의주 또는 견색을 다문천왕은 보탑을 받쳐든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대체로 이들 사천왕은 왼쪽에 동, 남천왕, 오른쪽에 서, 북천왕이 배치됩니다.
천왕문
천왕문(天王門) 편액
신념무적(信念無敵), 만고광명(萬古光明)이라고 쓴 돌탑등
청담 (靑潭, 1902-1971)
1962년 도선사 주지, 1968년 조계종 총무원장 역임. 1960년대 불교 정화운동 주도. 박정희 대통령과 정주영 현대회장 등의 시주로 도선사를 크게 일으킨 대종사입니다.
대웅전
대웅전 편액 글씨는 12세된 강창회라는 어린이 작품이라고 합니다.
대웅전의 삼존불과 목각후불탱
도선사 마애불입상(시도유형문화재 제34호)
조선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20m높이 마애불 입상
국태민안 진신보탑
백운대탐방지원센터
백운대 가는 길
이슬비를 맞으면서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합니다.
백운대 1.8km, 하루재 0.4km, 백운대2공원지킴터 1.4km, 백운대탐방지원센터 0.3km
북한 21-01 해발440m 표지목
하루재
백운대 1.4km, 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 0.3km, 영봉 0.2km, 육모정공원지킴터 2.8km, 백운대탐방지원센터 0.7km
북한 21-02 해발460m 표지목
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
백운대탐방지원센터 1.0km, 백운대 1.1km, 백운대피소 0.6km
인수암
데크계단은 공사중입니다.
북한 21-03 해발609m 표지목
백운의혼 탑
백운산장
백운봉암문, 0.2km, 백운대 0.5km, 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 0.6km, 백운대탐방지원센터 1.6km
백운봉암문
백운대 0.3km,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3.8km, 용암문 1.2km, 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 0.8km, 백운대탐방지원센터 1.8km
오리바위
백운대 정상에는 등산객이 없습니다.
북한산 백운대
백운대 정상은 바람이 많이 불기도 하고, 조망도 없어서 바로 하산합니다.
백운대 정상에서 내려갑니다.
백운봉암문
북한 50-03 해발646m 표지목
뒤돌아본 약수암터
약수암쉼터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3.3km, 백운대 0.8km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2.8km, 백운대 1.3km
대동사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2.5km, 백운대 1.6km
대동사일주문
북한 50-01이정목 해발310m
원효봉 갈림길
원효봉 0.6km, 백운대 2.0km,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2.1km
보리사와 원효봉
보리사 갈림길
백운대 2.6km, 원효봉 1.2km, 백운대 4.1km, 대남문 3.7km, 북한산대피소 2.5km
무량사
무량사에서 바라본 원효봉
석장승
대서문
북한산성의 정문으로 성문 16곳 중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대서문(大西門) 편액은 이승만 대통령의 글씨입니다.
의상봉
좌측 원효봉, 우측 노적봉이 보입니다. 중앙에 백운대, 만경대는 운무로 보이지 않습니다.
좌측 백운대(계곡길) 4.0km, 우측 백운대(대서문) 4.2km
북한산성탐방안내센터
주차장에서 바라본 원효봉, 노적봉, 의상봉
북한산 주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