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물 없는 인쇄에도 약점이 있다.
물 없는 인쇄는, 기본적인 인쇄 방식은 옵셋 인쇄라고 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단, 통상의 옵셋 인쇄와 판의 구조가 다르다. 전술과 같이 비화선부가 실리콘 고무의 층으로 되어 있어, 이 실리콘이 잉크를 튕겨 화선부와 비화선부를 구별한다. 온수를 일절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우수한 인쇄라고 한다.
또한, 통상의 옵셋 인쇄(물 있는)의 판은 판의 현상 시에 pH12 이상의 강알칼리 현상(現像) 폐액이 발생하고 특별관리 산업 폐기물로서 회수 의무가 부가되어 있는데, 물 없는 인쇄의 판은 유해한 폐액이 거의 나오지 않기 때문에 현상 처리 후의 배수는 하수에 흘려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현상 공정에서는 배수량을 적게 하고, 인쇄 공정에서는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액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좋은 것으로만 이루어진 것 같은데, 하지만 물 없는 인쇄에도 단점이 있다.
물 있는 잉크에 비해 물 없는 잉크는 약간 딱딱하기 때문에, 종이가 인장되는 것(피킹)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약한 종이는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과 blanket 통의 고무가 마찰되는 것으로 정전기가 발생하고, 종이가 정전기를 대전하기 때문에 종이 정돈이 나빠지고, 종이가 착 달라붙어 버리는 블로킹 현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물 있는 것에 비해 유령 그림의 대책이 골칫거리다. 또한 물 없는 인쇄는 엄중한 온도관리의 바탕에서 인쇄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인쇄기계에 냉각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조건으로 되어 있다.
물 없는 옵셋 인쇄와 유사한 단아로 드라이 옵셋 인쇄가 있다. 하지만 양자는 비슷해도 닮지 않은 것으로 드라이 옵셋 인쇄는 이른바 철판의 옵셋 인쇄로, 철판으로부터 blanket 통에 인쇄를 행하고, blanket 통이 종이에 인쇄를 행한다는 것이다.
요점 BOX 물 없는 인쇄는 환경 문제에 대하여 장점이 크지만, 단점도 있다. |
주: Toray㈜ WPA 소개자료에서 발췌
주: pH치 = 물질의 산성,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주: BOD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검수를 호기적(용존 산소가 존재) 상태에 있어, 일정 조건을 기본으로 검수 중의 미생물의 증식 또는 호흡작용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량
주: COD = 이화학적 산소요구량. 수중에 있는 물질이 산화제에 의해 산화나 분해될 때 필요한 산소량
물 없는 인쇄는 물을 사용하는 인쇄(온수나 현상액 등)에 비해 환경부하가 절감. 하지만, 물 있는 것도 현상 폐액은 업자가 회수하고 있고, 온수의 알코올 농도도 감소하고 있다.
용어 해설
특별관리 산업 폐기물: 폐기물 처리법에서 산업 폐기물 중 폭발성, 독성, 감염성 그 외 타인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관한 손해를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은 특별관리 산업 폐기물로서 지정되어 다른 산업 폐기물보다 엄격한 기준에 의해 처리하는 것
블로킹 현상: 잉크의 건조 과정에 있어 초기의 세트 단계에서 달라붙는 현상을 sticking이라고 하고, 건조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블로킹이라고 하는데, 그 현상은 구별하기 힘든 면이 있고, 합쳐서 일반적으로 블로킹 현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많다.
#피킹 #peaking #블로킹 #드라이옵셋 #stic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