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家詩(천가시)/昌黎先生集(창려선생집)]3-45.晚春(만춘)/晚春二首(만춘 2수) - 韓愈(한유)
晚春(만춘)
韓愈(한유)
[其一]
誰収春色將歸去(수수춘색장귀거),
慢綠妖紅半不存(만록요홍반부존)。
榆莢只能隨柳絮(유협지능수류서),
等閑撩亂走空園(등한료란주공원)。
누가 봄빛을 거두어 돌아가려 하는가?
연한 푸른빛과 요염한 붉은빛이 반도 안 남았구나.
느릅나무 꼬투리 단지 버들개지 따를 줄만 알아
제멋대로 빈 정원을 어지럽게 돌아다니는구나.
-------------------------------------
○ 慢綠(만록) : ‘漫綠’으로 기록한 판본도 있다. 연한 녹색.
○ 妖紅(요홍) : 요염한 붉은색. 。
○ 楡莢(유협) : 느릅나무 열매. 楡느릅나무 유. 莢꼬투리 협.
○ 柳絮(유서) : 버들개지. 버드나무의 꽃.
○ 等閑(등한) : 마음대로. 제멋대로.
○ 撩亂(요란) : 뒤섞이다. 어지럽다.
[其二]
草樹知春不久歸(초수지춘불구귀),
百般紅紫鬪芳菲(백반홍자투방비)。
楊花榆莢無才思(양화유협무재사),
惟解漫天作雪飛(유해만천작설비)。
초목은 봄이 오래 머물지 않고 가버릴 것을 알기에
온갖 울긋불긋한 꽃과 향기 다투네.
버들 꽃과 느릅 꼬투리 재주 없다 생각하여
그저 온 하늘 가득 눈송이만 날리네.
-----------------------------------
○ 百般紅紫(백반홍자) : 온갖 꽃이 만발하여 울긋불긋한 모양. 百般(백반)은 여러 가지. 모든 것.
○ 芳菲(방비) : 꽃과 향기.
○ 楊花(양화) : 버드나무의 꽃. 버들개지.
○ 無才思(무재사) : 곱고 아름다운 자태가 없다고 생각하다.
○ 漫天(만천) : (한없이 넓은) 하늘.
○ 惟解(유해) : 무작정. ~만 알다.
--------------------------------------
<원문출처> 晚春/作者:韓愈 唐
本作品收錄於《昌黎先生集/卷7》和《千家詩/卷三》
---------------------------------------
이 시는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 및 <천가시(千家詩)>에 실려 있으며 제2수는 유성남16수(遊城南十六首) 중 제3수로 ‘만춘(晩春)’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원화(元和) 11년 (816년) 한유(韓愈)의 49세 때 지은 시로 장안(長安)의 남쪽 성남(城南)에 머물면서 봄이 끝날 무렵 온갖 꽃들과 버드나무의 버들개지가 날리는 모습을 보며 지은 시이다.
----------------------------------------
○ 한유(韓愈,768년~824) : 중국 당(唐)을 대표하는 문장가, 정치가, 사상가이다. 당송 8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자(字)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이며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
[원문]
千家詩 卷三 七言絕句
45.晚春
誰収春色將歸去, 慢綠妖紅半不存。
榆莢只能隨柳絮,等閑撩亂走空園。
草樹知春不乆歸,百般紅紫鬬芳菲。
楊花榆莢無才思,惟解漫天作雪飛。
----------------------------------------
[출처] [千家詩(천가시)/昌黎先生集(창려선생집)] 3-45.晚春(만춘)/晚春二首(만춘 2수) - 韓愈(한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