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비(Constipation) | |
한번 변을 보는 것이 가장 흔한 양상이지만 그렇게 규칙적으로 변을 보는 사람은 50% 정도에 불과하다. 의학적으로는 일주일에 2회 이하로 변을 보는 것을 변비라고 정의한다. 변비에 관해 알려진 가장 잘못된 상식은 변비가 생기면 우리 몸에 “독”이 쌓인다는 생각과 변비가 암을 유발한다는 생각이다. 변비를 유발하는 요인은 잘못된 배변 습관, 즉 신호가 오는데도 화장실에 가지 않는 것, 변비치료제의 과다사용, 잘못된 식사습관, 운동부족, 수분섭취부족 등이다. 그러나 그 외에 대장암, 약물, 갑상선질환, 우울증, 거식증. 납중독 같은 심각한 질환도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급성변비와 만성변비를 구별 지어 생각해야 한다. 갑자기 생긴 급성변비는 다른 질병 예를 들면 대장암 등에 의해 생길 수 있으므로 의사를 찾아가 상담해보아야 한다. 그 외 변비가 항문 출혈, 복부 통증, 속이 메스껍고 토하는 증상, 체중감소 등과 동반되는 경우도 의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변비는 또한 치질(piles), 탈장(hernia), 항문의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 동양의학적으로 변비는 허증과 실증으로 나눈다. 허증변비는 심한 질병을 앓고 난 후, 출산 후 혹은 노인에서 생기는데 대장의 기가 약해져 대장의 운동 능력이 떨어지고 혈액이 적어져 진액(津液)이 부족해지므로 대장에 수분을 공급하지 못해서 생긴다. 실증변비는 체질적으로 열이 많거나 맵고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는 경우 이 열이 대장에 축적되어 진액을 말리므로 변비를 유발한다. 그 외에 불안 우울증 등은 기(氣)의 정체를 유발하여 변비를 일으킨다. 변비를 예방하는 법 · 운동: 적당한 운동, 걷는 것이 가장 좋다. · 식사습관: 물과 과일주스를 많이 마신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한다. 감자, 바나나, 콜리플라워, 콩, 양배추, 사과, 당근이 좋다. 과일의 껍질이 섬유소를 많이 가지고 있어 자연 변비약의 역할을 하는데 자두(prunes) 무화과(figs) 살구(apricots)가 특히 좋다. · 생활습관: 변이 보고 싶은 느낌이 있으면 참지 말고 바로 화장실로 간다. 규칙적으로 음식을 천천히 먹는 습관을 들인다. 아침 식사 후 화장실 가는 습관을 들인다. · 변비치료제: 변비치료제와 코데인의 사용을 될 수 있으면 피한다. 많은 변비치료제가 장기적으로 보면 변비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될 수 있으면 피하는 것이 좋다. 변비(Constipation ,costiveness, dyschezia, dyssynergic defecation)
음식 찌꺼기가 대장을 통과하면서 음식 찌꺼기의 수분이 흡수되어 똥을 만들어내기 시작한다. 대장은 대장 근육 수축(연동운동)에 의해 음식 찌꺼기(분변)를 직장으로 밀어 낸다. 직장에 도달한 똥은 거의 고형물이다. 따라서 대장의 수분 섭취가 과다하거나 대장 근육 수축(연동 운동)이 원활하지 않을 때 변비가 발생한다. 이 때 똥은 매우 딱딱해지고 건조해 진다.
변비의 정의
변비 환자는 흔히 배변 횟수가 적고 분변의 경도가 단단하며 건조하고 분변의 크기가 작으며 배출이 어렵다. 또한 배변할 때 통증을 느끼거나 매우 큰 힘을 주어야 겨우 배변할 수 있고 고창이나 장이 가득 찬 느낌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변비의 정의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다. 배변횟수, 브리스톨 분변 차트(Bristol stool chart)등에 의한 변비의 정의도 문제가 있다. 정상인도 개인에 따라 하루에 3회, 또는 주당 3회 등 다양한 배변 횟수를 보이며 대변의 경도가 있어도 배출이 어렵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변비라고 하면 1)주당 3회 미만의 배변 횟수 2) 배에 강한 힘을 주어야만 겨우 배변할 수 있는 경우가 총 배변 횟수의 25% 이상일 때3)배변 후 잔변감이 있을 때로 정의한다. 또한 배출된 분변 형태가 브리스톨 분변 차트의 타입 1과 2에 해당할 때 변비라고 말하기도 한다
1년 가운데 적어도 3개월(반드시 연속될 필요는 없다) 동안 다음 증상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가질 때이다. 가) 배변 시 힘을 준다(straining during bowel movements) 나) 덩어리 또는 단단한 대변(lumpy or hard stool) 다) 잔변감(sensation of incomplete evacuation) 라) 직장, 항문이 막힌 느낌(sensation of anorectal blockage/obstruction) 마) 1주일간 배변횟수가 3회 미달(fewer than three bowel movements per week)
![]() 소아 변비는 흔히 가)유아 시기: 포뮬라 또는 가공식품을 시작하는 유아시기 나) 배변 훈련(toilet training)이 시작되는 토들러 시기 다) 유치원이나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는 학동기 등 3시기에 자주 발생한다. 출생 시에는 대개 하루에 4-5회 부드러운 액상 배변(BM: Bowel Movement)을 보인다. 그러나 젖을 빠는 수유 영아(Breast-fed infants)가 되면formula-fed infant보다 더 많은 배변(BM) 횟수를 보인다. Breast-fed infants 중 일부는 젖을 빨 때마다BM을 보이기도 하지만 2-3일에 한번의 BM을 보일 수도 있다. 모유를 먹는 유아는 거의 변비가 없다. 2세 때까지는 하루 1-2회 BM을 보이고 4세가 되면 하루에 한번 BM을 보인다
미국 소화기 질병 정보국(의학계)에서는 변비를 일주일에 3번 이하로 변을 배출하는 것을 변비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배변이란 최소한 하루에 한번 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상적인 것은 일일 2-3 번 정도 배설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변비의 의미는' 먹은 횟수보다 배설 횟수가 적은 것'을 말합니다.
변비는 완화제나 섬유 보충제로 일시적으로 개선될 수 있지만 생활 개선이 없으면 변비 치료는 절대로 불가능합니다. 기본적인 단계를 하나씩 하면서 극복할 수 있습니다. 대장의 연동 운동 촉진-물마시기, 가벼운 운동, 대변 부피 늘리기-식이 섬유가 많이 있는 음식이나 보총제를 섭취,
물이 충분히 섭취되지 않는 한 절대로 변비는 개선될 수 없습니다. 수분이 부족하면 장 연동운동이 방해 받아 대변이 이동하지 않고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변비입니다.
● 충분한 식이 섬유를 섭취해야 합니다. 섬유질 (Fiber)은 대변의 양을 부풀려 양이 많게 하여 배설을 도와주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식이 섬유는 장의 독성물질과 해로운 콜레스테롤을 흡착하여 대변과 함께 체 외로 배출합니다.
● 운동합시다 ! 운동부족이 변비의 한 원인입니다. 가벼운 산책, 맨손체조, 조깅을 정기적으로 합시다. 일일 5분부터 시작하여 30분까지 해 보세요. 최종적으로 일일 최소 30분씩 일주일 3,4회정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노력합시다. |
첫댓글 변비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지요
몸안에 독소를 오래 가지고 있는 건 건강에 물론 나쁘겠지요
운동을 열심히 하고 식생활도 바꾸고 노력하면 의외로 쉽게 고쳐진다고 합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역시 운동이 최고이지요
스트레스 받지않는 생활도 하도록 노력하고요
I hate it!ㅋㅋ
야채 과일 많이 먹는 게 종요하지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