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예괘(豫卦)
구사(九四)의 대신(大臣)은 이미 화합으로 즐거움을 이룬 주체이되 신하의 정도를 잃지 않았다. 그런데도 육오(六五) 효의 뜻은 도리어 유약(柔弱)한 임금이 견제를 받는 것으로 풀이하였으니, 이는 비록 효(爻)에 의하여 의의를 취한 활례(活例)이기는 하나 끝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지금 왕종전(王宗傳)과 하해(何楷) 양가(兩家)의 학설을 고찰해 보면, 한쪽에서는 법가필사(法家拂士)의 말을 인용하여 육오의 임금이 구사의 대신을 얻은 것으로 비유하였고, 한쪽에서는 조심하고 신중하며 두려워하는 뜻으로 보아 질병이 들었어도 마침내 항상함을 얻어 죽지는 않는 것으로 비유하였는데, 이렇게 보면 경(經)의 본뜻에 크게 어긋나지는 않겠는가?
[조제로(趙濟魯)가 대답하였다.]
구사는 강한 양으로 신하의 자리에 있으면서 화합으로 즐겁게 함을 주관하였으니 신하의 올바른 도리를 얻은 것임을 알 수 있고, 육오는 유약한 음으로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 안일과 즐거움을 탐하니 임금의 도리를 잃은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양만리(楊萬里)는 ‘이윤(伊尹)과 주공(周公)이 좋은 임금을 만나 도(道)를 행하는 것’을 ‘구사의 유예(由豫)의 상(象)’에 해당시켰고, 풍의(馮椅)는 ‘제(齊) 나라와 노(魯) 나라가 강한 신하에게 견제를 당하는 것’을 ‘육오의 정질(貞疾)의 뜻’에 해당시켰습니다. 구사에서는 정도를 잃은 것에 대해 말하지 않다가 육오에 와서야 강한 신하가 핍박하는 것으로 말한 것은 비록 서로 모순인 것 같기도 합니다만, 《역경》에서 의의를 취한 것은 본래 한 가지에만 구애받지 않는 법이니, 그것이 이른바 활간(活看)하는 법입니다. 왕씨와 하씨의 두 학설 같은 경우는 비록 《정전》과 《본의》의 뜻과는 다른 듯하나, 구사가 좋은 임금을 만난 것은 진실로 법가필사(法家拂士)의 보필자가 육오의 유약한 임금을 돕는다고 말할 수 있으며, 또한 조심하고 신중하며 두려워하는 경계를 다하는 데에도 해당됩니다. 이렇게 보면 마음을 바로잡고 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상사(象辭) 중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니, 왕씨와 하씨의 두 학설은 아마도 참고로 보는 데에는 해로움이 없을 것 같습니다.
예(豫)의 뜻에 대해서는 학설이 세 가지가 있으니, 대상(大象)에서 말한 것은 화합의 즐거움을 뜻함이고, 여섯 효사(爻辭)에서 말한 것은 안일의 즐거움을 뜻함이며, “문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목탁(木柝)을 치면서 난폭한 자를 막는다.”고 한 것은 예비(豫備)의 뜻이다. 다만 괘효(卦爻) 중에는 예비의 뜻이 없으므로 선대 학자들이 의문시하였다. 지금 예비라는 두 글자의 의의를 여러 효(爻) 중에서 찾아보고자 한다면 어떤 효가 여기에 해당하겠는가? 구사의 “의구심을 갖지 말라.[勿疑]”고 한 것과 육삼의 “더디게 하면 후회가 있다.[遲有悔]”고 한 것은 모두 신속히 하라는 것과 일찍 결정하라는 뜻이 있는데, 이는 모두 예비에다 배속할 수 있는 것인가? 계사(繫辭)에서 육이를 찬양하여 말하기를, “기미를 아는 것이 귀신같다.[知幾其神]”고 하였는데, “기미를 안다.”고 일컬은 것은 예비의 뜻이 포함된 것이니 육이만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해야 할 것인가?
[김희조가 대답하였다.]
이 예괘(豫卦)를 논하는 자 가운데 어떤 이는 “화합의 즐거움이다.”고 하고 어떤 이는 “안일의 즐거움이다.”라고 하지만, 만약 그 제일의 뜻으로 말하면 사실상 예비(豫備)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섯 효사에서 예비란 두 글자를 말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이겠습니까? 대개 《역경》의 여러 괘를 살펴보면 그 뜻을 숨겨 두고 읽는 사람이 상(象)으로 인하여 찾아보게 한 것이 많이 있는데, 이 괘가 그중의 한 예입니다. 초육(初六)의 ‘즐거워서 우는 것[鳴豫]’의 경우는 비록 예비의 뜻이 없는 것 같으나 그 상을 보는 이는 소인(小人)이 용사(用事)하게 될 조짐을 알고 예방함이 있을 것이며, 상육(上六)의 ‘즐거움에 어두운 것[冥豫]’에서도 예비의 뜻이 없는 것 같으나 그 상(象)을 보는 이는 군자가 선으로 옮길 계기임을 알고 미리 도모함이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미루어 보면 육삼의 ‘위로 바라보며 즐기는 것[盱豫]’과 구사의 ‘즐거움이 말미암은 것[由豫]’에서도 문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목탁을 치면서 난폭한 자를 막는 뜻이 있음을 알 수 있으니, 육이의 한 효만이 예비의 정신이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이상은 예괘(豫卦)이다.
< 출전 : 한국고전번역원 >
[豫]
九四之大臣。旣爲和豫之主。而不失爲臣之正。則六五爻義之反釋以柔弱受制者。雖是據爻取義之活例。終有所難曉者矣。今按王何兩家之說。一則引法家拂士之語而譬六五之得九四。一則以戰兢畏惕之意而譬疾病之終得恒。如此看得。能不大悖於經旨歟。
濟魯對。九四以陽剛而居臣位。以主乎和豫。則可知其得臣之正也。六五以陰柔而處尊位。以耽乎逸豫。則可知其失君之道也。故楊氏以伊周之得君行道。當九四由豫之象。馮氏以齊魯之受制強臣。當六五貞疾之義。在四不言其失正。而在五乃言其強逼者。雖若互相矛盾。然易爻取義。本不拘 於一端。是所謂活看之法也。至如王何兩說。雖似與傳義不同。然九四之得君。固可謂法家拂士之助六五之柔弱。亦當致戰兢畏惕之戒。以此觀之。則格心之道。起疾之方。亦可見於垂象之中矣。二家之說。恐亦不害於參看也。豫之爲義。其說有三。大象所言者和豫也。六爻所言者逸豫也。重門擊柝。以禦暴客者備豫也。但卦爻中無備豫之義。故先儒疑之。今欲以備豫二字。求之諸爻。則何爻可以當之歟。九四之勿疑。六三之遲有悔。皆有迅速早決之意。此皆可以屬之備豫歟。繫辭之 贊六二曰知幾其神。知幾之稱。便包備豫之旨。則獨可以六二當之歟。煕朝對。論此豫卦者。或謂之和豫。或謂之逸豫。而若其第一義理。實在乎備豫矣。然而六爻之中。未嘗言備豫二字者何也。蓋羲經諸卦。往往隱奧其旨。而使人因象求之。此卦卽其一也。初六鳴豫。雖似無備豫之義。而觀其象者。知小人用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