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상어目 Pristiophoriformes
톱상어科 Pristiophoridae
○ 톱상어 : Pristiophorus japonicus Günther
► 방 언 : 줄상어, 목수상어, 일본톱상어
► 외국명 : (영) Japanese saw shark, (일) Nokogirizame (コギリザメ)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140㎝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100㎝ 정도이다. 몸은 긴 원통형으로 주둥이가 톱처럼 길게 돌출되고, 그 길이는 전장의 약 1/3 정도이다. 각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날카로운 돌기가 있는 가늘고 긴 톱 모양의 주둥이가 특징이다. 주둥이 가장자리에는 톱니 모양의 강한 돌기들이 열을 지어 있고, 중간에 한 쌍의 수염이 있다. 뒷지느러미는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상엽과 하엽이 비대칭으로 하엽은 매우 작다. 몸은 갈색을 띤다. 이들은 톱가오리와 닮았으나, 톱의 하측에 수염이 1쌍 있고 아가미틈이 머리 바로 밑이 아닌 머리의 측면에 있다. 양날톱 모양의 긴 주둥이가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그것으로 한눈에 알 수 있다. 몸 색깔은 위쪽은 밝은 회색 또는 갈색이나 올리브 녹색이고 아래쪽은 흰색이다.
크기는 최대 전장 150㎝ 정도이다. 몸은 긴 방추형(紡錐形)이다. 머리와 주둥이는 위아래로 납작하고, 특히 주둥이는 누런빛이 짙다. 주둥이는 검(劍) 모양으로 납작하고 길며, 양쪽에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많은 수의 날카로운 이빨이 한 줄로 늘어서 있어 마치 톱날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주둥이의 중간 아래쪽에는 양쪽에 한 개씩 긴 입수염이 있고, 공기나 물이 드나드는 분수공(噴水孔)이 있으며, 5쌍의 아가미구멍은 가슴지느러미 앞쪽에 있다. 등지느러미에는 가시가 없고, 제1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 앞쪽에 있다. 제2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 뒤쪽에 있다. 뒷지느러미가 없고, 꼬리지느러미는 가늘고 길며 발달되지 않았다. 껍질은 약간 껄끄럽고 매우 작은 비늘이 있다. 체색은 붉은빛을 띤 누런색이다.
► 설 명 : 연안성 저서어류이지만 수심 500m의 깊은 바다에서도 발견된다. 주로 어류를 먹으며, 바닥에 서식하는 다른 작은 동물도 먹는다. 야행성 어류로 낮에는 주로 바닥에 가만히 있으며, 야간에 활발히 먹이를 찾는다. 톱날주둥이는 모래나 진흙 속에 숨어 있는 먹이를 찾아내는 감각기관이며, 주로 모래를 휘젓는 도구로 사용된다. 또한 그것을 좌우로 휘둘러서 헤엄쳐 다니는 작은 물고기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거나 기절시키는데 사용한다. 먹기 어려운 큰 고기의 살점을 뜯어낼 때도 사용된다. 그리고 포식자의 접근을 예방하는 무기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난태생이며, 한 배의 출산 개체 수는 약 12마리 정도이다.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는 30㎝ 정도이다. 수컷은 전장 80~100㎝, 암컷은 100㎝ 정도에서 성적으로 성숙한다.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 톱상어는 인간에게 적극적으로 공격을 가하는 위협적인 동물은 아니지만 잡은 물고기를 먹으려고 할 때라든가 산란할 때 자극하면 공격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종은 어업상 중요하며, 톱상어의 고기는 상어 중에서도 상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산에서는 어육을 연제품(어묵)의 원료로 사용한다. 제철은 명확하지 않다. 피부는 전형적인 상어의 표피로 사포를 연상시킨다. 껍질은 두껍고 질기며, 뼈는 연골이어서 부드럽다. 살은 혈합육이 고운 백색이며, 가열해도 살은 단단해지지 않는다. 살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초장에 찍어먹으며, 간은 생으로도 먹을 수 있다. 튀김은 특히 맛이 좋으며, 삶거나 된장국 등으로도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중부이남 남해안, 제주도), 일본(북해도 이남), 타이완, 남중국해 등 등 극동아시아 연안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톱상어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얕은 열대 및 아열대 해역과 하천 등 담수에도 분포한다. 이렇게 해수와 담수를 왕래하며 적응할 수 있는 삼투압 조절능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 비 고 : 현재까지 발견된 톱상어는 2속 10종 정도이다. 톱상어류에는 아가미구멍이 6쌍인 여섯아가미톱상어屬과 아가미구멍이 5쌍인 톱상어屬의 2속이 있다. 보통은 1.5m 내외이지만 최대 길이 7.6m에 달하는 기록도 있다. 톱상어속(Pristophorus)에는 긴코톱상어(Pristiophorus cirratus), 열대톱상어(Pristiophorus delicatus), 라나톱상어(Pristiophorus lanae), 아프리카난쟁이톱상어(Pristiophorus nancyae), 짧은코톱상어(Pristiophorus nudipinnis), 바하마톱상어(Pristiophorus schroederi) 등이알려져 있으며, 여섯아가미톱상어속(Pliotrema)에는 안나여섯아가미톱상어(Pliotrema annae), 카야여섯아가미톱상어(Pliotrema kajae), 여섯아가미톱상어(Pliotrema warreni) 등이 알려져 있다.
► 참 고 : 톱상어는 톱날주둥이를 모래 속의 먹이를 찾거나 기절시키는 용도인데 비해서 비슷하게 생긴 톱가오리는 말 그대로 톱으로 먹잇감을 썰어서 잡아먹을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대중에게 잘 알려진 톱상어의 모습은 대부분 톱가오리의 모습이다. 이는 톱가오리도 톱상어처럼 모래 바닥 밑의 먹이를 찾기 위해 톱을 발달시켰고 몸이 납작하기 때문에 서로 비슷하게 생긴 것에서 비롯된 착각이다. 여담으로 톱가오리는 수족관 등에서 접할 기회가 많아 인지도가 높은 데에 반해 톱상어는 수족관에서 전시하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아는 사람들이 별로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