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에서 동남쪽으로 5㎞ 남짓 떨어진 경남 산청군 삼장면 상내원리. 1963년 11월 12일 새벽어둠이 몇 발의 불길한 총성에 찢기며 진저리를 쳤다. 지리산에 남아 있던 마지막 빨치산 2명 중 이홍이가 사살되고 정순덕은 총상을 입고 생포된 것이었다. 신문들은 ‘망실공비亡失共匪’를 잡았다며 호들갑을 떨었다.
그러나 정작 빨치산이 우리 역사로부터 망실된 것은 그보다 훨씬 전이었다. 아마도 1955년 4월 1일 지리산에 대한 입산통제가 해제된 때를 그 시점으로 잡을 수도 있으리라. 휴전협정이 체결된 지 2년이 가깝도록 전투지역으로 취급받아온 지리산이 마침내 전란의 허울을 벗게 된 그 순간에도 남한 전역에는 59명의 빨치산이 남아 있는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이미 남쪽 체제를 위협하지도 북의 혁명노선을 부추기지도 못한 채 하루하루의 생존에 절대 가치를 두고 있었다.
남쪽 체제에 대한 저항을 존재 이유로 삼았으되 종내는 북의 권력자들로부터도 버림받은 빨치산은 한국 현대사가 낳은 가장 큰 모순과 비극의 담지자들이라 할 만하다. 당연히 그들은 수다한 시인, 작가들의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했음직하다. 한국문학에서 빨치산의 형상화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신동엽(1930~69)의 시 ‘진달래 산천’을 단순하게 빨치산 시라고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를지도 모른다. 제목에서나 12연 49행의 이 시 전체를 통틀어서도 명백히 빨치산을 가리키는 단어는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인이 암시적, 간접적으로 심어 놓은 몇몇 시적 장치들을 뜯어보면 이 시의 주인공을 빨치산으로 상정하는 데 그리 무리는 없어 보인다.
‘길가엔 진달래 몇 뿌리/ 꽃 펴 있고,/ 바위 모서리엔/ 이름 모를 나비 하나/ 머물고 있었어요.// 잔디밭엔 장총을 버려 던진 채/ 당신은/ 잠이 들었죠.’
시의 첫 두 연은 자못 평화로운 봄 풍경이다. 비록 장총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그것은 버려 던져져 있으므로 누구에게도 위협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지금은 평화를 구가할 수만은 없는 엄연한 전시라는 사실을 시의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6, 7연이 알려준다.
‘지까다비 속에 든 누군가의/ 발목을/ 과수원 모래밭에선 보고 왔어요.// 꽃살이 튀는 산허리를 무너/ 온종일/ 탄환을 퍼부었지요.’
이어지는 8, 9연은 잠의 평화와 그것을 깨뜨리는 전쟁의 심술 사이의 선연한 대비이다.
‘길가엔 진달래 몇 뿌리/ 꽃 펴 있고,/ 바위 그늘 밑엔/ 얼굴 고운 사람 하나/ 서늘히 잠들어 있었어요.// 꽃다운 산골 비행기가/ 지나다/ 기관포 쏟아놓고 가버리더군요.’
마지막 연에서 평화와 전쟁 사이의 싸움은 결국 전쟁 쪽의 승리로 돌아간다.
‘잔디밭엔 담뱃갑 버려 던진 채/ 당신은 피/ 흘리고 있었어요.’
이 시를 굳이 빨치산 시로 읽을 만한 근거란 무엇일까. 4연과 5연을 보자.
‘기다림에 지친 사람들은/ 산으로 갔어요/ 뼛섬은 썩어 꽃죽 널리도록.// 남햇가,/ 두고 온 마을에선/ 언제인가, 눈먼 식구들이/ 굶고 있다고 담배를 맡으며/ 당신은 쓸쓸히 웃었지요.’
비록 명백한 진술은 아니지만, ‘기다림에 지쳐 산으로 간 사람들’은 우리 역사에서 ‘야산대’로 알려진 초기 빨치산을 연상시킨다. 미군정의 남로당 불법화 방침에 쫓겨 산악지대로 숨어든 이들은 소규모의 무장대를 형성했으며, 이들 야산대가 여순사건 이후 입산한 군인 및 민간인들과 합쳐져 이룬 것이 구빨치산이다. 한국전쟁으로 잠시 산을 내려왔던 이들은 인민군의 퇴각 이후 다시금 산으로 쫓겨 들어갔으며 그곳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다만 몰락과 망각의 운명이었다.
‘진달래 산천’은 한 꽃다운 젊은이의 죽음을 통해 몰락의 길에 들어선 빨치산들의 비극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다. 이 시는 경어체의 공손한 어투와 전쟁이라는 공손하지 못한 현실, ‘잠들다’와 ‘피 흘리다’, 꽃·나비와 장총·탄환·기관포, ‘얼굴 고운 사람’과 빨치산을 보는 냉전 이데올로기의 차가운 눈 등 여러 갈래의 대비를 시적 구성의 원리로 삼고 있다.
1959년 장시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로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한 신동엽은 그해 3월 24일 같은 지면에 ‘진달래 산천’을 발표한다. 1959년은 이승만의 북진통일 이념 공세 속에 조봉암의 사형집행으로 마감된 진보당 사건이 정국에 냉기를 끼얹고 있던 연도였다. 비록 간접적이고 우회적일망정 우리 문학사에서 빨치산의 존재에 거의 최초로 눈을 돌린 신동엽의 선구적 면모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지리산 입산통제가 해체된 뒤로부터 오늘날 지리산 일대에서 빨치산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곳으로는 전북 남원군 산내면, 뱀사골과 심원계곡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지리산 지구 전적기념관’이 유일하다. 여순사건의 주모자인 김지희와 홍순석이 사살된 반선시설지구를 마주 보는 위치에 1979년 세워진 이 기념관에는 ‘북괴’제인 와이셔츠·팬티·수건·고무신·배낭·방한복 따위의 생활용품과 소련제인 권총·기관단총·소총·로켓탄 따위가 남쪽 군경의 전투 및 일상용품들과 함께 전시돼 있다.
지리산의 상징이자 한라산을 제외하고는 남한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천왕봉은 사시사철 배낭을 맨 등반객들로 북적인다. 6월 하순의 천왕봉 가는 길엔 이미 늦은 철쭉마저 모조리 져버린 채 녹음만이 짙게 물들어 있다. 제석봉의 완만한 구릉을 지나고 다시 가파른 오르막을 한동안 타다 보면 어느덧 통천문通天門에 이른다. 깎아지른 벼랑 속으로 난 자그마한 통로다. 철사다리를 타고 문을 지난 뒤 아찔한 바위 벼랑을 힘겹게 오르면 드디어 천왕봉이다. 사면이 탁 트여 있는 일망무제의 이 바위 봉우리에서는 지리산의 숱한 연봉들과 그 위를 감도는 구름조차 발 아래로 내려다 보인다. 그 운봉의 어디메쯤 속절없이 스러져간 빨치산들의 염원과 절망이 안쓰러이 떠돌고 있는 모습이 손에 잡힐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