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문동
보약 간염 폐결핵 당뇨병 기침에 효험
▶ 면역 증강 작용, 항산화작용, 관상 동맥의 혈류량 촉진과 심장 근육의 결혈증(缺血症)에 보호 작용,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개선작용, 진정작용, 혈당강하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약한 거담작용, 진해작용, 영양작용, 억균작용(백색포동상구균, 고초간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데,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데, 토혈, 각혈, 부종, 소변불리, 변비, 간염, 폐결핵, 마른 기침, 감기, 천식, 백일해, 심장병, 병후 자양강장약, 당뇨병, 만성위축성위염, 소아 고열에 효험있는 보약 맥문동
맥문동은 백합과의 산과 들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백합과의 맥문동속은 동아시아에 수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맥문동과 개맥문동(좀맥문동), 실맥문동이 있다. 맥문동은 잎맥이 11~15개인 점이 개맥문동과는 다르며, 잎 사이에서 자란 꽃줄기 윗부분의 술 모양의 꽃차례에 보라색 꽃이 촘촘하게 핀다. 개맥문동은 맥문동에 비해 잎의 너비가 좁고 꽃 전체가 작으며 잎맥이 7~11개이다. 그리고 잎 사이에서 자란 꽃줄기 윗부분의 술 모양의 꽃차례에 연한 보라색 꽃이 엉성하게 핀다.
맥문아재비속은 아시아에 약 1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맥문아재비와 소엽맥문동(좁은잎맥문동, 긴잎맥문동)이 자라고 있다.
높이가 15~40cm이다. 늘 푸른잎을 가지고 있어 공원이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좁은잎 맥문동과 좀더 넓은잎을 가진 맥문동이 있는데 잎이 뭉쳐서 모여 자라는 특성이 있다. 수염뿌리가 뿌리 줄기에서 많이 나오며, 땅속의 수염뿌리 군데 군데 방추형의 땅콩처럼 생긴 덩이뿌리가 생긴다.
잎은 뭉쳐나고 좁은 선 모양으로 길이가 15~40cm, 너비가 1~4mm 이며 앞쪽의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기부가 좁으며 잎자루는 칼집 모양이고 양측에 얇은 막이 있다. 꽃줄기는 길이가 6.5~14cm이며 총상화서는 줄기 끝에 난다. 꽃떡잎 조각은 막처럼 보드랍고 얇으며, 각 꽃떡잎의 겨드랑이에 꽃이 1~3개 핀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지만 백색인 것도 있다. 꽃은 작고 약간 아래도 드리워졌다. 꽃덮이는 6개이고 펼쳐졌으며 난형이다. 수술은 6개이고 꽃실은 뚜렷하지 않으며 꽃밥보다 짧고 꽃밥의 앞쪽 끝이 뾰족하다. 반하위 씨방이고 3실이다. 장과는 둥근 공 모양으로 익으면 짙은 녹색이나 짙은 남색으로 되며 지름이 5~7mm이다.
6~8월에 백색 또는 연보라색의 작은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는데 9~10월에 둥근 모양의 검은 자주색으로 열매가 익는다. 주로 산골짜기의 기슭과 산비탈의 숲속에 자란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재배하기도 한다.
맥문동(麥門冬)이란 이름의 유래는 뿌리가 보리와 비슷하고 잎이 겨울에도 시들지 않는다고 하여 맥문동(麥門冬), 또는 맥동(麥冬)이란 이름이 생겼다. 중국의 고의서에서는 "뿌리의 굵은 부분이 보리류와 비슷하기 때문에 맥문(麥門)이라고 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맥문동의 전해져 내려오는 이름은 맥문동[麥門冬: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문동[虋冬: 이아(爾雅)], 맥동[麥冬: 약품화의(藥品化義)], 연계초[沿階草: 강서통지(江西通誌)], 양구[羊韮, 마구:馬韮, 양제:羊薺, 애구:愛韮, 우구:禹韮, 인능:忍陵, 불사약:不死藥, 부루:仆壘, 수지:隨脂: 오보본초(吳普本草)], 양시[羊蓍, 우가:禹葭: 명의별록(名醫別錄)], 계전초[階前草: 본초강목(本草綱目)], 서대초[書帶草, 수돈초:秀墩草: 군방보(群芳譜)], 마분초[馬糞草, 가변초:家邊草, 구엽맥동:韮葉麥冬: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등으로 부른다.
맥문동의 이용방법은 땅속에 들어 있는 수염뿌리를 채취해서 땅콩처럼 매달린 뿌리를 떼내어 물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을 맥문동(麥門冬)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지역별로 아래와 같은 종류를 맥문동으로 쓰고 있다.
1, 맥문동(麥門冬: Ophiopogon japonicus Ker-Gawl.)
2, 오공칠(蜈蚣七: Ophiopogon intermedius D. Don.: 티베트에서 사용)
3, 대엽맥동(大葉麥冬: Liriope spicata Lour.: 화북(華北), 화중(華中), 화동(璜) 분포)
4, 활엽맥동(闊葉麥冬: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화동(璜), 화중(華中) 분포)
5, 소맥동(小麥冬: Liriope minor {Mzxim} Mak.: 강소(江蘇), 절강(浙江) 분포)
6, 감숙맥동(甘肅麥冬: Liriope kansuensis {Batal.} C. H. Wright.: 감숙(甘肅)에 분포)
[성분]
1, Ophiopogon japonicus의 덩이뿌리에는 여러 가지 steroid saponin이 들어 있는데 그 aglycon은 ruscogenin이다. 또 β-sitosterol, stigmasterol, β-sitosterol-β-D-glucoside가 들어 있다. 열매에는 ophioside가 들어 있고, 이 물질은 kaempferol-3-galactoglucoside이다.
2, Ophiopogon japonicus var. genuinus Maxim.의 덩이줄기에는 여러 가지 steroid saponin, 즉, ophiopogonin A, B, C, D 등이 들어 있다. 이 중에서 ophiopogonin A, B, D의 aglycone은 모두 ruscogenin이다. 또 β-sitosterol, stigmasterol, β-sitosterol-β-L-glucoside가 들어 있다. 열매에는 ophiopogonin이 들어 있다.
3, Liriope spicata의 덩이뿌리에는 β-sitosterol, aminoacids, vitamin A, glucose, steroid saponin이 들어 있다. [중약대사전]
맥문동의 성분은 스테로이드계(steroid), 사포닌(saponin)인 오피오포고닌(ophiopogonin), 세로토닌(serotonin), 당류 등을 함유하고 있다.
효능은 감기, 기침, 천식, 백일해 등이나 분비물이 적은 헛기침, 당뇨병, 변비, 가래가 잘 안 없어지는 기침 등에 맥문동을 하루 10그램을 물로 달여서 마신다. 심장병과 병후의 자양강장 목적으로도 옛날부터 널리 이용되여온 약초이다. 맥문동에 꿀을 5~10그램 첨가해서 물로 달여 먹으면 맛도 좋고 효과도 더욱 좋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맥문동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맥문동(麥門冬) //오구(烏韭), 양구(羊韭), 우구(禹韭)// [본초]
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맥문동(Liriopeplatyphylla Wang et Tang)과 좁은잎 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Ker-Gawl.)의 덩이뿌리를 말린 것이다.
맥문동과 좁은잎 맥문동은 우리 나라 남부의 바다 가까이에서 자라며 각지에서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덩이뿌리만을 모아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폐경, 심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을 보하고 폐를 눅여주며 심열을 내리고 진액을 불려주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심작용, 이뇨작용, 약한 거담작용, 진해작용, 영양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마른기침,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데,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데, 토혈, 각혈, 부종, 소변불리, 변비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먹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맥문동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맥문동(麥門冬)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맥문동(Liriopeplatyphylla Wang et Tang)과 실맥문동(Mondo japonica var. umbrosus Maxim.), 개맥문동(Liriope spicata Lour.)의 덩이뿌리이다. 소엽맥문동과 맥문아재비의 덩이뿌리는 약용하지 않는다.
성미: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윤폐양음(潤肺養陰), 익위생진(益胃生津), 청심제번(淸心除煩), 윤장(潤腸)
해설: ① 외감성으로 폐음(肺陰)이 손상되어 마른기침이 나고 가래가 없거나 또는 가래가 적으면서 끈끈하며 심하면 피가 섞이고 각혈을 하는 증상에 쓰인다. ② 음허(陰虛)로 인한 해수가 있고, 심하면 각혈을 보이는 때에도 사용한다. ③ 위음(胃陰)이 손상되고 허약해서 혀가 마르고 갈증이 나는 데 쓰고, ④ 소갈증으로 입 안이 건조하고 물을 많이 마시고 음식을 많이 먹는 증상에 쓰며, ⑤ 음혈(陰血)이 휴손(虧損)되어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에 쓴다. ⑥ 변비에 윤장(潤腸), 통변(通便)의 효과가 있다.
성분: 당류, amino acid, β-sitosterol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① 항산화 작용이 있고, ② 관상 동맥의 혈류량 촉진과 심장 근육의 결혈증(缺血症)에 보호 작용이 현저하며, 또한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개선하고, ③ 진정 작용을 나타낸다. ④ 면역 증강 작용이 있고, ⑤ 혈당을 내리고, ⑥ 백색포동상구균, 고초간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에 억제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 ① 관상동맥 질환에 약물 달인 물을 하루 3회 3~18개월 복용하거나 약침 제제로 효과를 얻었다. ② 간염, ③ 폐결핵, ④ 마른기침, ⑤ 만성위축성위염, ⑥ 당뇨병, ⑦ 소아 고열등에 유효하였다.]
맥문동을 법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본초강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맥문동을 끓는 물에 넣고 펄펄 끓여 눅룩하게 한 다음 잠깐 지나 속을 뽑아 버리거나 기와에 놓고 약한 불에 부드러워질 때까지 구운 다음 뜨거울 때 속을 뽑아 버린다. 만약 환을 짓거나 가루를 만들려면 기와에 놓고 약한 불에 뜨겁게 굽고 바람에 식힌다. 3~4번 반복하면 쉽게 마를 뿐만 아니라 약의 효력도 손실되지 않는다. 또는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짓찧어 연고를 만들어 써도 된다. 자보약(滋補藥)을 만들려면 술에 담가 찧어 써야 한다.]
북한에서 펴낸 <동약법제>에서는 맥문동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맥문동 덩이뿌리(麥門冬: Radix Ophiophogonis)
나리과의 맥문동(Ophiophogon japonicus)뿌리를 봄 또는 가을에 캐어 덩이뿌리만을 다듬고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햇볕에 말린다.
[성분] 마른 약재의 71퍼센트는 단당류이다. 과당, 설탕, 많은 양의 단당류들이 있다. 그밖에 β-시스테롤, 배당체인 오피오포고닌 A, B, C, D가 들어 있다. 이것의 아글리콘은 루스코게닌이다.
[가공법제] 문헌자료-① 목심부를 뽑아 버리고 말린 다음 잘게 썬다(향약집성방, 의방유취). 또는 약재를 술 혹은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목심부를 뽑아 버린다(동의보감). 약재의 목심부를 뽑아 버리는 것은 가슴을 답답하게 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한 데 있었다고 하였다.
② 다른 문헌에는 물이나 그밖의 용매에 담그면 약효가 적어지기 때문에 기왓장 위에 약재를 놓고 말려서 눅진하게 된 때 목심부를 뽑는다고 하였다(본초강목).
③ 또한 약재를 쌀과 섞어서 누렇게 될 때까지 볶거나(본초종신) 찹쌀과 섞어 찌면 비위를 보한다고 한다(득배본초).
경험치료- 우리나라 동의임상 경험에 의하면 불에 뜻뜻하게 쪼인 다음 약재의 중간을 끊어 목심부를 뽑아서 썼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절구에 약재를 넣고 짓쪄서 뽑았거나 물에 불구었다가 뽑았다. 또한 약재를 술에 담갔다가 펴서 썼거나 약간 볶아서 썼다고도 한다.
실험자료- 물로 달일 때에는 약재를 5mm 두께로 잘랐을 때 성분 함량이 높았다.
총괄- 위의 가공 법제법들은 거의 다 목질부를 뽑아 버리고 쓴 내용이다. 경험자료에 의하면 많은 경우에 목심부를 하나하나 수공업적으로 뽑았다.
문제는 약재 속에 들어 있는 실 모양의 목질부가 사람의 몸에 대하여 과연 그런 부작용을 일으키는가 하는 것을 과학적으로 확증해야 한다. 부작용이 명확하지 않다면 구태여 목심부를 뽑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된다. 또 목질부를 뽑는 경우에도 여러 가지 용매에 담가서 처리하면 물이나 기타 용매에 풀리는 부분은 적어질 수 있으므로 조작에서 주의해야 할 문제이다.
맥문동 덩이뿌리의 가공 법제법은 아래와 같이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즉 약재를 깨끗하게 고른다. 다음 목질부를 뽑고 써야 할 경우에는 약재를 절구에 넣고 짓찧어 목심부를 골라 버리고 그대로 쓴다. 만약 목질부를 뽑지 않고 그대로 쓰려면 5mm 정도로 잘라서 잘 말렸다가 쓴다.
[응용] 보약. 폐를 보하고 기침을 멈추며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춘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기침, 각혈, 피 게우기, 코피나는 데와 열나기, 가슴이 답답하고 입안이 마르며 갈증이 나는 데, 얼굴과 팔다리가 부을 때,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증세가 있을 때 쓴다.]
맥문동은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폐, 위, 심경에 작용한다. 양음윤폐(養陰潤肺), 청심제번(淸心除煩), 익위생진(益胃生津)하는 효능이 있다. 폐가 건조하여 오는 마른 기침, 토혈, 각혈, 폐위, 폐농양, 허로에 의한 번열, 소갈, 열병에 의한 진상(津傷), 인건구조(咽乾口燥), 변비를 치료한다.
하루 7.4~14.8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주의사항으로 무릇 비위허한으로 설사하는 사람, 위에 담음습탁(痰飮濕濁)이 있는 사람, 폭감풍한(暴感風寒)으로 기침을 하는 사람은 모두 복용해서는 안된다.
맥문동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위(胃)의 음분(陰分)이 조(燥)에 상하여 열이 나거나 기침이 나는 경우
사삼(沙蔘) 11g, 맥동 11g, 옥죽(玉竹) 7.5g, 생감초(生甘草) 3.75g, 동상엽(冬桑葉) 5.6g, 편두(扁豆) 5.6g, 화분(花粉) 5.6g을 물 5잔으로 2잔이 되게 달여서 하루에 두 번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사삼맥동탕(沙蔘麥冬湯)]
2, 토혈, 코피가 멎지 않은 경우
생맥문동즙 5홉, 생자계(生刺蓟) 즙 5홉, 생지황 즙 5홉을 함께 약탕관에 넣고 약간 따뜻하게 데워서 한 번에 작은 잔으로 한 잔을 복용하는데 복룡간(伏龍肝) 가루 3.75g을 넣어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3, 코피가 멎지 않을 때
맥문동, 생지황을 한번에 37그램씩 물로 달여서 먹는다. [제생방(濟生方), 맥문동음(麥門冬飮)]
4, 잇사이에서 피가 줄줄 흘러 나올때
인삼 2.96그램, 복령, 맥문동 각 3.7그램을 물로 달여서 따뜻할 때 먹는다. [소식맥문동탕(蘇軾麥門冬湯)]
5, 골증폐위(骨蒸肺痿)로 팔다리가 번열(煩熱)하고 먹지 못하며 입이 바짝 마르는 경우
맥문동(속심을 뽑아 버리고 약한 불에 말린 것), 지골피(地骨皮) 각 185g, 상술한 약을 거칠게 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1회 18.5g을 복용한다. 먼저 물 2잔으로 밀 1홉을 1잔 반이 되게 달여서 밀을 꺼내고 약을 넣어 1잔으로 되게 다시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데워 2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빈속과 식후에 각 한 번씩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맥문동탕(麥門冬湯)]
6, 폐농양으로 눈물이 나고 침을 흘리며 죽같은 고름을 토하는 경우
백문동(속을 뽑아 버리고 약한 불에 말린 것) 74그램, 노두를 제거한 도라지 185그램, 잘게 썬 구운감초 1.11그램, 상술한 약을 거칠게 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1회 11.1그램을 물 한 잔, 청호심엽(靑蒿心葉) 10개와 함께 7할로 졸아들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 다음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경미한 환자는 죽에 넣어 먹어도 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맥문동탕(麥門冬湯)]
7, 화역상기(火逆上氣)로 인후가 불리(不利)한 경우
맥문동 7되, 반하(半夏) 1되, 인삼 75g, 감초 75g, 갱미(粳米) 3홉, 대추 12개. 상술한 약을 물 한 말 두 되로 6되가 되게 달여서 한 번에 1되씩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하는데 낮에 3회, 밤에 1회 먹는다. [금궤요략(金匱要略), 맥문동탕(麥門冬湯)]
8, 허열(虛熱)이 치밀어 올라 비폐(脾肺)에 열이 있고 인후에 창(瘡)이 생긴 경우
맥문동 37.5g, 황련(黃連) 18.5g을 가루내어 벽오동 씨 만하게 꿀로 환을 만든다. 1회 30알을 식전에 맥문동탕으로 먹는다. [보제방(普濟方), 맥문동환(麥門冬丸)]
9, 환열소갈(患熱消渴)
털을 제거한 황련(黃連) 1되, 속을 뽑아 버린 맥문동 185g을 짓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생지황 즙, 하늘타리뿌리 즙, 우유 각 3홉과 섞어 벽오동 씨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 25알을 하루에 2회 복용하는데 점차적으로 30알까지 늘린다. [외대비요방(外臺秘要方)]
10, 소갈(消渴)로 참을 수 없을 정도로 목이 마르고 자꾸 물을 마셔서 배가 더부룩한 경우
속심을 뽑아 버리고 약한 불에 말린 맥문동, 핵을 뽑아 버리고 살만 볶은 오매(烏梅) 각 75g을 거칠게 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1회 11g을 물 한 잔으로 반 잔이 되게 달여서 찌거기를 버린 다음 식후에 따뜻하게 데워서 먹는다. 1일 3회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맥문동탕(麥門冬湯)]
11, 양명온병(陽明溫病)에 상초증(上焦證)이 없고 며칠씩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 하법(下法)을 쓸 수 있는데, 만약 그 사람이 원래 음(陰)이 부족하여 승기(承氣)가 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원삼(元蔘) 37.5g 맥동 29.6g, 생지황 29.6g을 물 8잔으로 3잔이 되게 달여서 입이 마를 때 전부 마신다. 대변이 나오지 않으면 다시 만들어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증액탕(增液湯)]
12, 학(瘧: 말라리아)이 위음(胃陰)을 손상하여 배가 고프지도 않고 부르지도 않으며, 대변이 나오지 않고 정기적으로 신열이 나며 먹으면 번열(煩熱)이 더해지고 진액이 생기지 않은 경우
맥문동 18.5(속심이 있는 것), 화마인(火麻仁) 14.8g, 생백작(生白芍) 14.8g, 하수오(何首烏) 11g, 오매육(烏梅肉) 7.5g, 지모(知母) 7.5g을 물 8잔으로 3잔이 되게 달여서 세 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맥동마인탕(麥冬麻仁湯)]
13, 위음(胃陰)이 조(燥)에 손상된 경우
옥죽(玉竹) 11g, 맥동 11g, 사삼(沙蔘) 7.5g, 생감초(生甘草) 3.75g을 물 5잔으로 2잔이 되게 달여서 두 번 나누어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옥죽맥문동탕(玉竹麥門冬湯)]
14, 원기(元氣)가 열에 손상되어 팔다리와 몸이 노곤하고 숨이 가쁘며 말하기 싫어하고 입이 말라 갈증이 나며 땀이 멎지 않고 똑바로 서지 못하며 눈이 검어지고 진액이 마르는 경우
인삼 18.5g, 맥문동 11g(속심을 뽑아 버린 것), 오미자(부순 것) 7.5g을 물로 달여서 아무 때나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생맥산(生脈散)]
|
첫댓글 감사해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