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 명료도, 텍스쳐 그리고 안개 현상 제거 설명
사진 보정을 위한 포토샵 김 찰리
대비(Contrasr): 디지털 이미지의 밝기 단계는 0 ~ 255 까지로 256단계로 되어있습니다. 대비는 이 단계의 중간값인 128을 기준으로 128 보다 높은 단계들(밝은 부분)은 밝게 또는 어둡게 조정하고 128 보다 낮은 단계(어두운 부분)는 어둡게 또는 밝게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비를 올려주면서 히스토그램을 보면 양쪽으로 벌려주는 것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밝은 곳은 더 밝아지고 어두운 곳은 더 어두워지는 것 입니다. 히스토그램에서 왼쪽은 검은색 부분이고, 오른쪽은 흰색 부분입니다.
대비를 올려주게 되면 어두운 부분이 더 어둡게 되면서 진하게 되지만, 낮추게 되면 밝아지면서 무언가 잘못 찍은 사진처럼 흐릿한 사진이 됩니다.
명료도(Clarity): 대비 조정과는 다르게 128이라는 기준이 없으며 인접해 있는 단계 중 상대적으로 밝은 단계는 밝게 조정, 상대적으로 어두운 단계는 어둡게 조정합니다.
명료도를 조절하면 선명해지는 느낌, 세부 묘사에서 선명해지는 느낌이 됩니다.
질감을 강조하는 풍경이나 스포츠 사진에는 명료도 수치를 ➕20~➕50으로 조절합니다. HDR 이미지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 20 ~ ➕25 정도의 설정으로 충분합니다.
인물 사진의 경우 수치를 낮추어 부드럽게 만드는 것 더 좋습니다.
명료도 슬라이더는 이미지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얼굴이나 꽃 등 특정한 부분만 부드럽게 보정 하려면 조정 브러시 도구를 사용합니다. 조정 브러시로 보정할 부분에 칠을 한 다음에 슬라이더로 조정을 하면 됩니다.
꽃 사진의 경우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왼쪽으로 드레그를 하고 조정 브러시 도구를 선택하고 재설정을 클릭한뒤 브러시로 꽃 부분만 칠을 하고 명료도를 약간 올려주게 되면 배경은 흐릿하게 되고 꽃 부분만 약간 선명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인상 깊은 느낌을 주고 싶은 사진에 사용하는 편이고 흐믈흐믈(?)한 사진보단 쨍한 느낌이 좋을 때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텍스쳐(Texture): 직역하면 질감이라는 뜻으로 이미지의 질감을 높여주는 조정입니다.
세부(Detail) 패널의 선명 효과(Shrpening)와 비슷한 결과를 내지만 선명 효과와 다른점은 어두운 부분에 노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그리고 선명효과는 이미지 전체보다는 이미지의 선 즉, 경계의 명암 대비를 올려서 선명하게 만들지만 텍스쳐는 이미지의 밝고 어두운 부분의 인접한 모든 부분의 명암대비를 올려서 선명하게 만듭니다.
명료도와 텍스쳐가 비슷해 보이지만 명료도와 텍스쳐의 가장 큰 차이는 선명도를 조정하면서 밝기와 색(채도)에 영향을 주느냐 주지 않느냐의 차이입니다.
명료도를 올리면 선명도가 올라가면서, 이미지의 밝기는 어두워지고 채도는 올라갑니다.
그러나 텍스쳐는 그렇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텍스쳐는 명료도와 비교하면 밝기와 색(채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대적 명암대비를 올려주며, 세부 패널의 선명 효과와 비교하면 어두운 부분의 노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텍스쳐의 다른(원래) 사용법: 텍스쳐를 마이너스 쪽으로 사용하면 인물의 피부를 부드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용법이라고 소개했지만 개발자의 말에 의하면 텍스쳐의 개발 목적은 텍스쳐를 감소시켜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름도 Smoothing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플러스 쪽으로 사용해 보니 기존의 명료도 보다 좋은 결과를 내서 플러스 마이너스 다 쓸 수 있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텍스쳐가 개발되기 전에 인물 리터칭을 하는 작업자들은 명료도를 마이너스로 사용하여 인물 피부를 부드럽게 만들곤 했습니다. 그러나 명료도를 나이너스로 사용하면 초점이 맞지 않은 부분도 뿌옇게 됩니다.
이제 텍스쳐가 있으니 인물 피부 보정에 텍스쳐를 써 보세요.
안개 현상 제거(Dehaze): 안개 현상 제거 조정을 하면 밝은 부분의 명암대비가 강해지면서 세부묘사(Detail)가 살아납니다. 예를 들어 하늘의 구름 세부묘사를 더 좋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면 아주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주의할 점이 있는데 안개 현상 제거를 하면 밝은 부분의 명암 대비가 강해지면서 동시에 어두운 부분을 더 어둡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안개현상제거를 조정하고 나면 어두운 부분을 잘 관찰하여 보정을 해 주어야 합니다.
어두운 영역 보정은 앞에서 배운 어두운 영역과 검정 계열을 밝게 조정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