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 Royal inscriptions
c) 왕실 비문
Royal inscriptions of different kinds (building inscriptions, votive inscriptions, annals, etc.) from the Assyrian and Babylonian eras themselves have been found in great numbers. 앗시리아와 바빌로니아 시대의 다양한 종류의 왕실 비문(건축 비문, 봉헌 비문, 실록 등)이 많이 발견되었다. In 1912 a German translation of the then-known Neo- Babylonian inscriptions was published by Stephen Langdon, but since then many new ones from the period in question have been unearthed. 37 A new translation of all the Neo-Babylonian royal inscriptions is therefore being prepared.38 1912년에 스테판 랭던에 의해 알려진 당시의 신바빌로니아 비문이 독일어로 번역 출판되었으며, 그 이후에, 더 많은 당대의 새로운 비문이 발굴되었다.37 따라서 모든 신바빌로니아 왕실 비문에 대한 새로운 번역이 준비되고 있는 중이다.38 This is an enormous task. Paul-Richard Berger estimates that about 1,300 royal inscriptions, one third of which are undamaged, have been found from the Neo-Babylonian period, most of them from the reigns of Nabopolassar and Nebuchadnezzar.39 이것은 엄청난 작업이다. 폴-리챠드 베르그는 약 1,300개의 왕실의 비문 중 1/3이 훼손되지 않은 채, 신 바빌로니아 시대의 것으로 추정하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나보폴라사르와 네부카드네자르(느부갓네살)의 통치 기간의 것임이 밝혀졌다.39 For the chronology that we are concerned with, three of the inscriptions are especially valuable. All of them are original documents from the reign of Nabonidus.40 How do they aid in establishing the critical date for Jerusalem’s destruction?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연대기에 가운데, 특히 중요한 세 가지 비문이 있다. 이 세 가지 모두 나보니더스의 통치에서 나온 원본 문서들이다.40 그것들이 예루살렘의 멸망시기를 확정하는 데 어떻게 결정적 도움이 되는가? We have seen that in advocating a 607 B.C.E. date, the Watch Tower Society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the duration of the NeoBabylonian period as presented by both Berossus and the Royal Canon (often called Ptolemy’s Canon), finding the total 20 years too short. The first of the royal inscriptions to be discussed, called Nabonidus No. 18, confirms the length of reign for that king as found in those ancient sources. 기원전 607년의 연대를 옹호하려는 면에서, 워치타워 협회는 베로수스와 왕실의 명부가 제시한 신바빌로니아 시대의 통치 기간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결과적으로 총 20년이 모자른다는 주장을 하였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논의하고자 하는 첫 번째 왕실비문인 나보니더스 18호는 다른 고고학 자료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왕의 통치 기간을 확인시켜준다. The second cuneiform tablet, Nabonidus No. 8, clearly establishes the total length of the reigns of the Neo-Babylonian kings up to Nabonidus, and enables us to know both the beginning year of Nebuchadnezzar’s reign and the crucial year in which he desolated Jerusalem. 두 번째 설형 점토판인 나보니더스 8호는 나보니더스까지 신바빌로니아 왕들의 통치 기간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느부갓네살의 통치 시작연도와 그가 예루살렘을 멸망시킨 중요한 해 모두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The third, Nabonidus No. 24, provides the length of the reign of each Neo-Babylonian king from the first ruler, Nabopolassar, onward and down to the ninth year of the last ruler, Nabonidus (Belshazzar was evidently a coregent with his father Nabonidus at the time of Babylon’s fall).41 세 번째, 나보니더스 24호는 첫 번째 통치자인 나보폴라사르로부터 마지막 통치자인 나보니더스 9년까지 각각의 신 바빌로니아 왕의 통치 기간을 제공한다(벨사샬은 바빌론이 함락될 무렵의 아버지인 나보니더스의 대리 통치자였을 것이다. ).41 Following are the details for each of these cuneiform tablets: 다음은 각 설형문자의 점토판에 대한 세부 사항이다. (1) Nabon. No.18 is a cylinder inscription from an unnamed year of Nabonidus. Fulfilling the desire of Sin, the moon-god, Nabonidus dedicated a daughter of his (named En-nigaldi-Nanna) to this god as priestess at the Sin temple of Ur. (1) 나본. 18호는 나보니더스의 통치 특정 기간에 쓴 원통형 비문이다. 달의 신인 씬의 소원을 성취한 나보니더스는 그의 딸 엔니갈디나(En-nigaldi-Nanna)를 우르(Ur) 신전에 여사제로서 이 신에게 바쳤다. The important fact here is that an eclipse of the moon, dated in the text to Ulûlu 13 and observed in the morning watch, led to this dedication. Ulûlu, the sixth month in the Babylonian calendar, corresponded to parts of August and September (or, sometimes, parts of September and October) in our calendar. The inscription explicitly states that the moon “set while eclipsed,” that is, the eclipse began before and ended after sunrise.42 Its end, therefore, was invisible at Babylon.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울룰루월 13일에 아침 시간에 관찰되는 월식에서 이러한 의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바빌로니아력으로 6번째 달인 울룰루 월은 현재의 달력에서 8월과 9월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이 비문은 "월식이 일어나는 동안 달이 졌다."고 되어 있다. 즉, 월식은 일출 전에 시작되었고 일출 후에 끝났다고 기록되어 있다.42 그러므로 월식이 끝나는 시점은 바빌론에서는 관찰될 수 없었다. Of what significance is all this? 이 모든 것이 어떤 중요한 의미를 던져주는가? When sufficient details about a lunar eclipse are available and it is known that the eclipse occurred within a certain limited time period in the past, astronomical movements are so precise that the date of a specific eclipse in a particular area can be determined accurately. Since the details here meet the requirement, when during Nabonidus’ reign did the eclipse described on the ancient tablet take place? 월식에 대한 충분한 세부 정보가 확보되고 과거 특정 기간 내에 월식이 일어났다는 사실이 확정되면, 천문학적인 움직임이 매우 정확해서 특정 지역의 특정 월식이 일어난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이 점토판에 기록된 세부 사항들은 그러한 시기를 알 수 있는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므로, 나보니더스의 통치 기간 중 점토판에 묘사된 월식은 언제 일어났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In 1949 Hildegard Lewy examined the eclipse and found that only once during Nabonidus’ reign did such an eclipse take place at this time of the year, that is, on September 26, 554 B.C.E. (Julian calendar).43 The eclipse began about 3:00 am. and lasted for about three hours. If Nabonidus ruled for seventeen years and his first year was 555/54 B.C.E., as is generally held, the eclipse and the dedication of Nabonidus’ daughter took place in his second regnal year (554/53 B.C.E.). 1949년에 힐데가드 루이가 월식을 조사했더니 나보니더스의 통치 기간 중 단 한번, 즉 기원전 554년 9월 26일에 이러한 월식이 일어났다는 것을 발견했다.43 월식은 새벽 3시에 시작되었고 약 3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일반적인 견해에 따라, 나보니더스가 17년 동안 통치하고 그의 첫 해가 기원전 555/54년이라면, 나보니두스의 딸의 헌신이 있었던 월식은 그의 통치 두 번째 해(기원전 554/53년)에 일어났다. A remarkable confirmation of this dating was brought to light twenty years later, when W. G. Lambert published his translation of four fragments of an inscription from Nabonidus’s reign which he named the Royal Chronicle. The inscription establishes that the dedication of Nabonidus’ daughter took place shortly before his third year, and obviously in his second, precisely as Lewy had concluded.44 이 연대가 20년 후 W. G. 램버트가 그가 왕립 연대기라고 이름 지은 나보니더스의 통치에서 나온 비문의 네 조각을 번역한 내용을 출판했을 때 확인되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만 하다. 이 비문은 나보니더스의 딸을 여사제로 바친 일이, 루이가 결론 내린 대로, 그의 통치 3년 바로 직전에, 즉 그의 통치 2년 때 이루어졌음이 분명히 입증된다.44 The lunar eclipse of Ulûlu 13, then, definitely fixes the second year of Nabonidus to 554/53 B.C.E. and his first year to 555/54, thus giving a very strong confirmation to the figures for Nabonidus’ reign set forth by Berossus and the Royal Canon.45 울룰루 월 13일의 월식은 확실히 나보니더스의 통치 2년째를 기원전 554/53년으로, 그의 첫해를 555/54년이 되게 확정함으로써 베로수스와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에 기록된 나보니더스의 통치 연도에 대해 매우 강력한 확증을 세웠다.45 (2) Nabon. No. 8, or the Hillah stele, was discover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the neighborhood of Hillah, about four miles southeast of the ruins of Babylon.46 (2) 나본 8호, 즉 힐라 비석은 19세기 말에 바빌론 폐허에서 남동쪽으로 약 4마일 떨어진 힐라 근처에서 발견되었다.46 The inscription “consists of a report on the accession year and the beginning of the first regnal year of Nabonidus” and may be shown, on the basis of internal evidence, to have been written toward the middle of his first regnal year (in the autumn of 555 B.C.E.)47 거기 새겨진 비문은 "나보니더스의 즉위년과 첫 번째 통치 연도의 시작에 대한 보고"로 구성되며, 내부 증거에 기초하여, 그의 첫 번째 통치 연도(기원전 555년 가을)의 중간쯤에 쓰여진 것으로 볼 수 있다.47 The information given on this stele alone helps us to establish the total length of the period from Nabopolassar to the beginning of the reign of Nabonidus. How does it do this? 이 비석의 정보만으로도 나보폴라사르부터 나보니더스 통치 초기까지의 전체 기간을 알 수 있다. 어떻게 가능한가? In several of his royal inscriptions (No. 1, 8, 24, and 25 in Tadmor’s list) Nabonidus says that in a dream in his accession year, he was commanded by the gods Marduk and Sin to rebuild Éhulhul, the temple of the moon god Sin in Harran. In connection with this, the text under discussion (Nabon. No. 8) provides a very interesting piece of information: 나보니더스는 즉위년에 꿈에서 마르두크 신과 씬으로부터 하란에 있는 달 신전에 에훌훌을 재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금 논의 중인 텍스트(나본 8호)은 매우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해 준다: (Concerning) Harran (and) the Éhulhul, which had been lying in ruins for 54 years because of its devastation by the Medes (who) destroyed the sanctuaries, with the consent of the gods the time for reconciliation approached, 54 years, when Sin should return to his place. When he returned to his place, Sin, the lord of the tiara, remembered his lofty seat, and (as to) all the gods who left his chapel with him, it is Marduk, the king of the gods, who ordered their gathering.48 메데스에 의해 성지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54년 동안 폐허가 되어 있었던 하란 (그리고) 에훌훌은 신들의 동의 하에 화해의 시간이 다가왔고, 그 기간이 씬이 자기의 곳으로서 돌아가야 할 54년 간이었다. 그가 그의 집으로 돌아왔을 때, 티아라 영주인 씬은 그의 높은 위상과 그와 함께 그의 예배당을 떠난 모든 신들에 (대해) 기억했으며, 그들의 모임을 명령한 사람은 신들의 왕 마르둨이었다.48 The date when the temple Éhulhul in Harran was ruined by the Medes is known to us from two different reliable sources: 하란의 에훌훌 신전이 메데스에 의해 폐허가 된 시점은 믿을 만한 두 가지 사료에서 알 수 있다: The Babylonian Chronicle 3 (B.M. 21901) and the Harran inscription Nabon. H 1,B, also known as the Adad-guppi’ stele (Nabon. No. 24 in Tadmor’s list). The chronicle states that in the “sixteenth year” of Nabopolassar, in the month Marheshwan (parts of October and November), “the Umman-manda (the Medes), [who] had come [to help the king of Akkad, put their armies together and marched to Harran [against Ashur-uball]it (II) who had ascended the throne in Assyria. . . . The king of Akkad reached Harran and [. ..] he captured the city. He carried off the vast booty of the city and the temple.”49 The Adad-guppi’ stele gives the same information: 바빌로니아 연대기 3 (B.M. 21901)과 아닷-구피' 비석(나본, 태드모어의 목록 24번))으로도 알려진 하란 비문인 나본.H1,B. 가 그것이다. 연대기에는 나보폴라사르 "16년", 마르세완 월(10월과 11월에 걸침)에 "아카드의 왕을 돕기 위해 온 움만-만다가 앗시리아 보좌에 오른. . . [아쉬르-우볼]릿 (II)세에 대항하여 하란으로 진군했다고 나와 있다. 아카드의 왕이 하란에 이르러[. . . ] 도시를 점령했다. 그는 도시와 사원에서 전리품을 획득했다."49 아닷-구피' 비석도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Whereas in the 16th year of Nabopolassar, king of Babylon, Sin, king of the gods, with his city and his temple was angry and went up to heaven—the city and the people that (were) in it went to ruin.50 바빌론의 왕 나보폴라사르의 16년에, 신들의 왕인 씬과 그의 도시와 신전에 화가 나서 하늘로 올라 가버렸다. 도시와 그 안에 있던 사람들은 파멸에 이르렀다.50 Thus it is obvious that Nabonidus reckons the “fifty-four years” from the sixteenth year of Nabopolassar to the beginning of his own reign when the gods commanded him to rebuild the temple.51 따라서 나보니더스는 나보폴라사르의 16번째 해부터 신들이 그에게 사원을 재건하라고 명령한 그 자신의 통치 시작까지의 기간을 "54년"으로 추정한 것이 분명하다.51 This is in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figures for the NeoBabylonian reigns given by Berossus and the Royal Canon Nabopolassar reigned for twenty-one years, five years remained from his sixteenth year to the end of his reign. After that Nebuchadnezzar ruled for forty-three years, Awel-Marduk for two, and Neriglissar for four years before Nabonidus came to power (Labashi- Marduk’s few months may be disregarded). 이것은 베로수스와 왕실 명부가 제시한 신 바빌로니아 통치 기간에 대한 수치와 거의 일치하며, 나보폴라사르는 그의 통치 16년부터 그의 통치 말기까지 5년이 남았다. 이후 느부갓네살은 43년, 아웰-마르두크는 2년, 네리글리사르는 4년 동안 통치한 뒤 나보니더스가 집권했다. Summing up these regnal years (5+43+2+4) we get fifty-four years-exactly as Nabonidus states on his stele. 이 왕의 통치 기간을 더하면 우리는 54년을 얻게 된다. 나보니더스가 그의 기념비에 기록한 것과 정확히 같다. If, as has been established, Nabonidus’ first year was 555/554 B.C.E., Nabopolassar’s sixteenth year must have been 610/609, his first year 625/624 and his twenty-first and last year 605/604 B.C.E. Nebuchadnezzar’s first year, then, was 604/603, and his eighteenth year, when he desolated Jerusalem, was 587/586 B.C.E.―not 607 B.C.E. These dates agree completely with the dates arrived at from Berossus’ figures and the Royal Canon. 나보니더스의 통치 첫 해가 기원전 555/554년으로 확정되었다면, 나보폴라사르의 16번째 해는 기원전 610/609년이고, 그의 첫해는 기원전 625/24년이었고 21번째 해이자 마지막 해는 기원전 605/604년 이었다. 따라서 네부카드네자르의 통치 첫해는 기원전 604/603년 이었으며 그가 예루살렘을 멸망시킨 18번째 해는 기원전 607년이 아니라 기원전 587/586년이었다. 이 연대들은 베로수스가 제시한 통치 연대 수치와 왕실 명부에 기록된 시기들과 완전히 일치한다. Consequently, this stele adds its testimony in establishing the total length of the reigns of all the Neo-Babylonian kings prior to Nabonidus. The strength of this evidence―produced right during the Neo-Babylonian era itself―cannot be insisted upon too strongly. 그 결과, 이 비석은 나보니더스 이전의 모든 신 바빌로니아 왕들의 전체 통치 기간을 확립하는데에 그 증거를 더하고 있다. 신 바빌로니아 시대에 발생한 이 증거의 강점은 아무리 강하게 주장해도 지나치지 않다. (3) Nabon. No. 24, also known as the Adad-guppi’ inscription, exists in two copies. The first was discovered in 1906 by H. Pognon at Eski Harran in south-eastern Turkey, in the ruins of the ancient city of Harran (known as Haran in Abraham’s time). The stele, now in the Archaeological Museum at Ankara, is a grave inscription, evidently composed by Nabonidus for his mother, Adad-guppi’. (3) 아닷-구피' 비문으로도 알려진 나본 24호는 두개로 되어 있다. 첫 번째 것은 1906년 터키 남동부의 에스키 하란(아브라함 시대의 하란)에서 H. 퐁논에 의해 발견되었다. 현재 앙카라 고고학 박물관에 있는 이 비석은 나보니더스가 어머니 아닷-구피'를 위해 지은 것으로 보이는 무덤 비문이다. The text not only includes a biographical sketch of Nabonidus’ mother from the time of Assyrian king Ashurbanipal and on to the ninth year of Nabonidus (when she died), but also gives the length of reign of each of the Neo-Babylonian kings except, of course, of Nabonidus himself, who was still living. Unfortunately, in the first copy the portion of the text setting out the reigns is damaged, and the only readable figures are the forty-three years of Nebuchadnezzar’s reign and the four years of Neriglissar’s reign.52 여기 새겨진 글은 아시리아 왕 아슈르바니팔 때부터 나보니더스 9년(어머니가 죽을 때까지의 기간)까지의 그의 어머니에 대해 요약된 전기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물론 아직 살아 있는 나보니더스 자신은 제외하고, 신 바빌로니아 왕들의 각 통치 기간을 제시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첫 번째 사본에서 통치의 시작을 묘사한 부분은 손상되었고, 읽을 수 있는 유일한 수치는 네부카드네자르 통치 기간 43년과 네리글리사르 통치 기간 4년이다.52 아닷 구피' 비문(나본 24호) 1956년 하란에서 발견된 HI,B, 비석. 사진에서 1,2 기둥의 양각 부분이 깨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ㅡ C.J. 갓, "나보니더스 하란 비문," 아나톨리아 연구 8권, 1958년 However, in 1956 Dr. D. S. Rice discovered three other stelae at Harran from the reign of Nabonidus, one of which bore a duplicate inscription of the one discovered in 1906! Fortunately, the sections of the new stele containing the chronological information were not damaged. The first of these sections reads as follows: 하지만 1956년 D.S. 라이스 박사는 하란에서 나보니더스 통치 시절의 세 개의 다른 비석을 발견했는데, 그 중 하나는 1906년에 발견된 비석의 중복된 비문이었다! 다행히 연대 정보를 담고 있는 새 비석의 부분은 손상되지 않았다. 이러한 부분 중 첫 번째 부분은 다음과 같다: From the 20th year of Ashurbanipal, king of Assyria, when I was born, until the 42nd year of Ashurbanipal, the 3rd year of his son Ashur-etil-ili, the 21st year of Nabopolassar, the 43rd year of Nebuchadnezzar, the 2nd year of Awel-Merodach, the 4th year of Neriglissar, during (all) these 95 years in which I visited the temple of the great godhead Sin, king of all the gods in heaven and in the nether world, he looked with favor upon my pious good works and listened to my prayers, accepted my vows.53 내가 태어났을 때인 아시리아의 왕 아슈르바니팔 20년부터 아슈르바니팔 42년까지, 그의 아들 아슈르-에틸-일리 3년, 나보 폴라사르 21년, 네부카드네자르 43년, 아웰 므로닼의 2년, 네리글리사르 4년 이 95년 기간 동안 나는 위대한 우두머리 신인 씬을 섬겼다. 하늘과 저승의 모든 신들의 왕인 그는 나의 경건한 선행을 우러러보고 나의 기도를 들으시고 나의 맹세를 받아주셨다.53 It should be observed that the first two kings, Ashurbanipal and his son Ashur-etil-ili, were Assyrian kings, while the following kings were Neo-Babylonian kings. This indicates that Adad-guppi’ first lived under Assyrian rule but then, in connection with Nabopolassar’s revolt and liberation of Babylonia from the Assyrian yoke, was brought under Babylonian rule.54 Nabonidus’ mother lived to be a centenarian, and further on in the text a complete summary of her long life is given: 최초의 두 왕인 아슈르바니팔과 그의 아들 아슈르- 에틸-일리는 아시리아의 왕들이었고, 다음 왕들은 신 바빌로니아의 왕이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아닷-구피가 처음에는 아시리아의 통치 하에 살았지만 나보폴라사르의 반란과 앗시리아의 지배로부터 바빌로니아의 해방과 관련하여, 바빌로니아의 통치 하에 있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54 나보니더스의 어머니는 백세가 넘도록 살았으며, 그녀의 긴 삶에 대한 전체적 요약이 이 비문에 제시되어 있다: He [the moon god Sin] added (to my life) many days (and) years of happiness and kept me alive from the time of Ashurbanipal, king of Assyria, to the 9th year of Nabonidus, king of Babylon, the son whom I bore, (i.e.) one hundred and four happy years (spent) in that piety which Sin, the king of all gods, has planted in my heart’.55 그[달의 신인 씬]는 아시리아의 왕 아슈르바니팔 때부터, 내가 낳은 아들, 바빌론의 왕, 나보니더스의 통치 9년까지 (내 인생에) 수많은 행복한 날들을 보내게 해주었다. 즉, 모든 신들의 왕인 씬이 내 마음에 심어준 경건한 삶으로 104년을 살았다.55 This queen died in the ninth year of Nabonidus, and the mourning for the deceased mother is described in the last column of the inscription. Interestingly, the same information is also given in the Nabonidus Chronicle (B.M. 35382): 이 여왕은 나보니더스 9년에 죽었고, 죽은 어머니를 애도하는 내용이 비문의 마지막 칸에 설명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나보니더스 연대기(B.M. 35382)에도 동일한 정보가 제공된다: The ninth year: . . . On the fifth day of the month Nisan the queen mother died in Dur-karashu which (is on) the bank of the Euphrates upstream from Sippar.56 아홉째 해: . . . 니산 월 다섯째 날에 왕비 모친은 시파르에서 유프라테스 상류 강둑에 있는 두라슈에서 죽었다.56 All the reigns of the Neo-Babylonian kings are given in this royal inscription, from Nabopolassar and on to the ninth year of Nabonidus, and the lengths of reign are in complete accordance with the Royal Canon—a very significant fact, because the corroboration comes from a witness contemporary with all these Neo-Babylonian kings and intimately connected with all of them!57 More so than the individual testimony of any one source, it is the harmony of all these sources which is most telling. 신 바빌로니아 왕들의 모든 통치는 나보폴라사르로부터 나보니더스 9년까지 이 왕실 비문에 기록되어 있으며, 통치 기간은 왕실 명부와 완전히 일치한다. 왜냐하면 그것을 보강하는 증거물이 모든 신 바빌로니아 왕들과 동시대의 사료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그들 모두와 연결되어 있다!57 어떤 한 출처의 개별적인 증거물보다, 이 모든 사료들의 조화가 확실히 말해준다. |
37 Stephen Langdon, Die neubabylonischen Königsinschriften (=Vorderasiatische Bibliothek, Vol. IV) (Leipzig: J. C. Hinrichs’sche Buchhandlung, 1912).
37 Stephen Langdon의 <신 바빌로니아 왕에 대한 연구> (=Vorderasiatische Bibliothek, IV권) (라이프찌히: J.C. Hinrichs’sche Buchhandlung, 1912년 )
38 The first of the three planned volumes was published in 1973 as Paul-Richard Berger, Die neubabylonischen Königsinschriften (=Alter Orient und Altes Testament, Vol. 4/1)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1973).
38 계획된 세 권 중 첫 권은 1973년에 <폴-리차드 베르게>로 출판되었다. 신바빌론의 왕들의 비문(=구동양과 고대 유언장, Vol. 4/1) (뉴kirchen-Vluyn: 뉴kirchen 출판부, 1973년)
39 About 75 percent of these documents were found in Babylon during the detailed excavations of R. Koldewey in 1899–1917. (Berger, ibid., pp. 1–3) As explained by Dr. Ronald Sack, “a virtual mountain” of royal inscriptions have survived from the reign of Nebuchadnezzar alone. (Images of Nebuchadnezzar [Selinsgrove: Susquehanna University Press; London and Toronto: Associated University Press, 1991],p. 26.) Six of the inscriptions are from the reign of Awel-Marduk, eight from the reign of Neriglissar, and about thirty from the reign of Nabonidus. (Berger, op. cit., pp. 325388.)
39 이 문서들 중 약 75퍼센트가 1899~1917년에 R. 코르데바이에 의해 상세한 발굴 과정에서 바빌로니아에서 발견되었다(베르그, 같은 책, 1-3면). 로날드 색 박사가 설명한 바와 같이, 왕실 비문들이 묻혀 있던 "산"이 네부카다네자르의 통치로부터 유일하게 보존되었다. [Selinsgrove: 서스케하나 대학 출판부; 런던과 토론토: 연합 대학 출판부, 1991년]. 26) 기록 중 6개는 아웰-마르둨 통치에서, 8개는 네리글리사르 통치에서, 그리고 약 30개는 나보니더스 통치에서 가져온 것이다. (베르거의 동일 저서에서 인용, 325-388면.)
40 In 1989 Paul-Alain Beaulieu, in his doctoral thesis The Reign of Nabonidus, included a new catalogue with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royal inscriptions
from the reign of Nabonidus. —Paul-Alain Beaulieu, The Reign of Nabonidus, King of Babylon 556–539 B.C.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9), pp. 1–42. decision.” (Beaulieu, op. cit., p. 127) The conclusion that this lunar eclipse indicated that Sin requested a priestess was evidently based on the astrological tablet series Enurna Anu Enlil, the “Holy Writ” of the Assyrian and Babylonian astrologers, who regularly based their interpretations of astronomical events on this old omina collection. A lunar eclipse seen in the morning-watch of Ulûlu 13 is expressly interpreted in these tablets as an indication that Sin desires a priestess.—See H. Lewy, “The Babylonian Background of the Kay Kaus Legend,” Archiv Orientální Vol. XVII (ed. by B. Hrozny, Prague, 1949), pp. 50, 51.
40 1989년, 폴-알랜 보울루는 그의 박사 논문인 "나보니더스의 통치"에 왕실의 비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된 새로운 카탈로그를 포함시켰다.
바빌론의 왕, 나보니더스의 통치, 556-539 B.C. (뉴 해븐과 런던: 예일 대학 출판부, 1989년), 1-42면" (Beaulie, op. 인용, 페이지 127) 달의 월식이 씬이 여사제를 요구했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결론으로 분명히 알 수 있었던 것은 아세리아와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의 "성서"인 엔루나 아누 엔릴의 일련의 천문학 점토판을 근거로 한 것인데, 그는 이 오래된 설형문자 점토판들에서 천문학적 사건의 해석을 근거로 한 것이다. 울루루 월 13일 아침의 관찰에서 나타난 달의 월식은 씬이 여사제를 원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 점토판에 명시적으로 해석된다.—H. Lewy,의<"Kay Kaus Legend의 바빌로니아 배경>, <동방 아카이브> XVII권을 참조. (ed. B. Hrozny, Pragh, 1949년), 50, 51면.
41 Unfortunately, scholars have arranged or numbered the inscriptions differently, which may cause some confusion. In the systems of Tadmor, Berger, and Beaulieu the three inscriptions are listed as follows:
41 불행히도 학자들은 비문의 배열이나 번호의 순서가 다르게 되어 있어서 약간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세개의 비문인 타드모르, 베르그 및 보울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나열된다:
Tadmor 1965: | Berger 1973: | Beaulieu 1989: | |
(1) | Nabon. No. 18 | Nbd Zyl. II, 7 | No. 2 |
(2) | Nabon. No. 8 | Nbd Stl. Frgm. XI | No. 1 |
(3) | Nabon. No. 24 | (missing)없음 | (Adad-guppi stele)(아닷-구피' 비석) |
Beaulieu’s arrangement is chronological: No. 1 was written in Nabonidus’ first year, No. 2 in his second year, and No. 13 after year 13, possibly in year 14 or 15. (Beaulieu, op. cit., p.42.) In Tadmor’ s list Nabonidus’ inscriptions are numbered in the order of their publication, starting with the fifteen texts published by Langdon in 1912. (Hayim Tadmor, “The Inscriptions of Nabunaid: Historical Arrangement,” in Studies in Honor of Benno Landsberger on his Seventy-Fifth Birthday [= Assyriological Studies, No. 16], ed. H. Güterbock & T. Jacobsen, Chicago, The Chicago University Press, 1965, pp. 351–363.) The systems of Tadmor, Berger, and Beaulieu, in turn, differ from that of H. Lewy in Archiv Orientální, Vol. XVII, Prague, 1949, pp. 34, 35, note 32. In the discussion here presented Tadmor’s numbers will be used.
보울루의 배열은 연대순으로 되어 있다: 1호는 나보니더스의 첫 해에, 2위는 그의 두 번째 해에, 13호는 13년 후에, 아마도 14년 혹은 15년만에 쓰여졌을 수도 있다. (보울루의, 같은 저서, 42면) 타드모르의 목록에는 1912년 랑돈에 의해 출판된 15개의 본문을 시작으로 나보니더스의 비문이 그 출판 순서에 따라 번호가 매겨져 있다. (하임 타드모르, 나부나이다의 비문: 역사적 정리(History Array of Benno Landsberger)의 일흔다섯 번째 생일[= Assriological Studies, No. 16]을 기념하는 연구에서. H. Güterbock & T. Jacobsen, 시카고 대학 출판부, 1965년, 351–363면). 태드모어, 베르거, 그리고 보울루의 시스템은 차례로 H. 루이가 쓴, <아카이브 동방>의 17권 1949년, 34, 35면 (32면 특히 유의하라)에서 말하는 방식과 다르다. 여기 제시된 논의에서 타드모르의 방식이 사용될 것이다.
42 This part of the text says, according to Beaulieu’s translation: “On account of the wish for an entu priestess, in the month Ulûlu, the month (whose Sumerian name means) ‘work of the goddesses,’ on the thirteenth day the moon was eclipsed and set while eclipsed. Sin requested an entu priestess. Thus (were) his sign and his
42 본문의 이 부분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여사제를 위한 소원으로 인해, 울룰루 월(수메르식 명칭이 '여신들의 업적'을 의미하는 달) 13일에 달이 월식이 되고 월식중에 달이 졌다. 씬은 여사제를 원했다. 이것이 그의 존재와 그의 소유물이라는 것을 상징한다.
43 H. Lewy, op. cit., pp. 50, 51.
43 H. 루이스의 같은 저서 50, 51면
44 W. G. Lambert, “A New Source for the Reign of Nabonidus, “Archiv für Orientforschung, Vol. 22 (ed. by Ernst Weidner, Graz, 1968/69), pp. 1–8. Lewy’s conclusion has been confirmed by other scholars. (See for example Beaulieu, op.cit., pp. 127–128.) The eclipse of September 26, 554 BCE, was examined in 1999 by Professor F. Richard Stephenson at Durham, England, who is a leading expert on ancient eclipses. He says:
44 W. G. 람베르트의 <나보니더스 통치에 대한 새로운 사료>, <> 22 (Ernst Weidner, Graz 의 1968/69년판),1–8면. 루이의 결론은 다른 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보울루의 같은 저서 127–128면 참조) 기원전 554년 9월 26일 일식은 1999년, 고대 월식에 대한 선도적 전문가인 영국 더럼의 F. 리챠드 스티븐슨 교수에 의해 조사되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My computed details are as follows (times to the nearest tenth of an hour): (i) Beginning at3.0 h[our] local time, lunar altitude 34deg[rees] in the SW. (ii) End at 6.1 h[our] local time, lunar altitude -3 deg[rees] in the W. The eclipse would thus end about 15 minutes after moonset. A deep penumbral eclipse may possibly be visible for a very few minutes and them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anomalous refraction at the horizon. However, I would judge that the Moon indeed set eclipsed on this occasion.”—Letter Stephenson-Jonsson, dated March 5, 1999.
"내가 계산한 세부 사항은 (i) 현지 시간 3시부터 달의 고도가 서남 방향으로 34도로 시작하여 (ii) 현지 시간 6.1시간에 종료하고, 서쪽 방향으로 에서는 -3도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월식은 달이 진 후 약 15분 후에 끝날 것이다. 깊은 반월식은 아주 몇 분간 볼 수 있으며 항상 수평선에서 비정상적으로 굴절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달이 완전히 월이 식됐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1999년 3월 5일자 스티븐슨-죤슨의 편지에서.
45 Someone might claim it is possible to find another lunar eclipse setting heliacally on UMW 13 a number of years earlier that fits the description given by Nabonidus, perhaps about twenty years earlier, in order to adapt the observation to the chronology of the Watch Tower Society. However, modern astronomical calculations show that no such lunar eclipse, visible in Babylonia, took place at this time of the year within twenty years, or even within fifty years before the reign of Nabonidus! The closest lunar eclipse of this kind occurred fifty-four years earlier, on August 24, 608 B.C.E. The lunar eclipse of Nabon. No. 18, therefore, can only be that of September 26, 554 B.C.E. For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ancient lunar eclipses, see the Appendix for Chapter 4: “Some comments on ancient lunar eclipses “
45 누군가 이 천문 관측을 워치타워 협회의 연대기에 맞추기 위해, 나보니더스 연대기가 제시한 설명에 어울리는 월식 세트를 울룰루 월 13일에서 20년 전에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대의 천문학적인 계산에 따르면, 바빌로니아에서 볼 수 있는 그러한 월식은 일년 중 이맘 때에, 나보니더스의 통치 전 20년 내에 일어날 수 없으며, 심지어 나보니더스 통치 이전 50년 내에도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와 같은 종류의 가장 가까운 월식은 54년 전인 기원전 608년 8월 24일에 일어났다. 그러므로 나본 18호의 월식은 기원전 554년 9월 26일만이 될 수 있다. 고대 월식의 식별에 대한 추가 정보는 4장 부록 "고대 월식에 대한 일부 논평"을 참조하라.
46 A translation of the text was published by S. Langdon in 1912, op. cit. (note 37 above), pp.53–57, 270–289. For an English translation, see Ancient Near Eastern Texts (hereafter referred to as ANET), ed. James B. Pritchard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0), pp. 308–311.
46 본문의 번역본은 1912년 S. 랑돈의 같은 저서에 나와 있다. (위의 각주 37 참고), 53–57면, 270–289면. 영어 번역은 제임스 B. 프리챠드의 고대 근동 텍스트(이하 약어로 ANET라 칭함), (프린스턴, 뉴저지 주: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50), 308–311면을 참조하라.
47 Col. IX mentions Nabonidus’ visit to southern Babylonia soon after a New Years’ festival. This visit is also documented in archival texts from Larsa dated to the first two months of Nabonidus’ first year. — Beaulieu, op. cit., pp. 21, 22, 117–127.
47 9번째 컬럼은 새해 축제가 끝난 직후 나보니더스의 남부 바빌로니아 방문을 언급했다. 이 방문은 나보니더스의 첫 번째 통치년의 첫 두 달로 날짜가 기입된 Larsa의 아키발 텍스트에도 기록되어 있다. — 보울루의 같은 저서, 21, 22, 117–127면
48 Translated by Beaulieu, op. cit., p. 107.
48 보울루의 같은 책, 107면에서 번역됨.
49 Grayson, ABC (1975), p. 95. The exact month for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is not given, but as the chronicle further states that the king of Akkad went home in the month of Adar (the twelfth month, corresponding to February/March), the destruction must have occurred some time between October, 610 and March, 609 B.C.E., probably towards the end of this period.
49 그레이슨, ABC (1975년), 95면. 신전의 파괴가 있었던 정확한 달은 알려주지는 않았지만, 연대기에 아카드 왕이 아달 월 (현재의 2월/3월에 해당하는 12월)에 고향으로 갔기 때문에, 신전 파괴는 아마도 기원전 610년 10월에서 609년 3월 사이의 어느 시점에 일어났을 것이며, 아마도 이 기간이 끝날 무렵에 일어났을 것이다.
50 C. J. Gadd, “The Harran Inscriptions of Nabonidus,” in Anatolian Studies, Vol. VIII, 1958, p. 47. That the temple Éhulhul was laid in ruins at this time is confirmed by other inscriptions, including the Sippar Cylinder (No.1 in Tadmor’s list) which says: “(Sin) became angry with that city [Harran] and temple [Éhulhul]. He aroused the Medes ,who destroyed that temple and turned it into ruins”—Gadd, ibid., pp. 72, 73; Beaulieu, op. cit., p.58.
50 C. J. Gadd의 저서 <아나톨리아 연구> VIII권, 1958년 "나보니더스의 하란 비문" 47면에서 에훌훌 신전이 이 시기에 폐허로 묻히게 되었다는 사실은 다음과 같은 시파르 원통(타드모르의 목록 1호)을 포함한 다른 비문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그는 메데스를 자극했고, 메데스는 그 신전을 파괴하고 폐허로 만들었다."—Gadd의 같은 저서 72, 73면; 보울루의 같은 저서, 58면.
51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Ehulhul is referred to in a number of texts which are not easily harmonized. Owing to some vagueness in the inscription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Harran temple was completed early in Nabonidus’ reign or after his ten year stay at Teima in Arabia. The problem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by a number of scholars. Most probably, the project was started in the early years of Nabonidus’ reign, but could not be completely finished until after his return from Teima, perhaps in his thirteenth regnal year or later. (Beaulieu, op. cit., pp. 137, 205–210, 239–241.) “The different texts surely refer to different stages of the work,” says Professor Henry Saggs in his review of the problem. (H. W. F. Saggs, Peoples of the Past: Babylonians, London: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1995, p. 170) Anyway, all scholars agree that Nabonidus reckons the fifty-four years from the sixteenth year of Nabopolassar unt1 his own accession-year when the “wrath” of the gods “did (eventually) calm down,” according to the Hillah stele (col. vii), and Nabonidus “was commanded” to rebuild the temple. For additiona1 comments on the Hillah stele, see the Appendix.
51 에훌훌 사원을 재건하는 것에 대해 쉽게 조화되지 않는 많은 문헌에 언급된다. 비문 내용의 모호함 때문에 하란사원이 나보니더스의 통치 초기에 완공됐는지, 아니면 아라비아의 테이마에서 10년 동안 머무른 후에 완공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 문제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논의되어 왔다. 대부분의 경우, 이 프로젝트는 나보니더스의 통치 초기에 시작되었지만 아마도 그의 13번째 통치년도 혹은 그 이후에야 완공될 수 있었을 것이라 본다. (보울루의 앞서 인용한 같은 저서 137, 205–210, 239–241면.) 헨리 사그스 교수는 여러 문서들이 그 점에 서로 다르게 말한다 고 한다. (H. W. F. Saggs의 저서< 과거의 사람들: 바빌로니아인>, 런던: 대영 박물관 이사들, 1995년 170면)어쨋든, 힐라 비석에 따르면 나보니더스 연대기는 나보폴라사르의 16번째 해로부터 신들의 분노가 "결국 잠잠해지고" 나보니더스가 "재건" 명령을 받은 때인 자신의 즉위년까지 54년으로 추정한다는 데 모든 학자들이 동의한다. 힐라 기념비에 대한 추가 논평은 부록을 참조하라.
52 For an extensive discussion of the inscription, see B. Landsberger, “Die Basaltstele Nabonids von Eski-Harran,” in Halil-Edhem Hâtira Kitabi, Kilt I (Ankara: Turk Tarih Kurumu Basimevi, 1947), pp. 115–152. An English translation is included in Pritchard’s ANET, pp. 311, 312. In ANET the translation of stele H 1, A, col. II says “6th” year of Nabonidus, which is an error for “9th”. The original text clearly has “9th” year’.
52 비문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위해 B. 랜스베르그의 저서 에서 “Die Basaltstele Nabonids von Eski-Harran” 115-152면을 참조하라. 영어 번역본은 프리차드의 ANET, 311, 312면에 나와 있다. ANET에서 비석 H 1, A, 칼럼 2의 번역은 나보니더스의 6번째 해를 언급하는데, 이것은 9번째 해에 대한 오류이다. 원문에는 분명히 "9년"으로 되어 있다.
53 C. J. Gadd, op. cit., pp. 46–56. Gadd translated the inscription in 1958 and titled the new stele Nabon. H 1, B, as distinguished from Pognon’s stele which he titled Nabon. H 1, A. The quotation here is from the translation of A. Leo Oppenheim in James B . Pritchard (ed.), The Ancient Near East. A New Anthology of Texts and Pictures, Vol. II (Princeton and Lond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5), pp. 105, 106, col. I:29–33. As this passage is used as the basis for the calculation of Adadguppi’s age in col. II:26–29, the number of kings and their reigns are evidently meant to be complete. In a second portion the chronological information is repeated (col. II:40–46), but the reign of Awel-Marduk is left out, evidently because the purpose of this section is different, viz., to explain which of the Neo-Babylonian kings Adad-guppi’ had served as an obedient subject. This is clearly indicated in the beginning of the section, which says: “I have obeyed with all my heart and have done my duty (as a subject) during ... ,” etc. As suggested by Gadd “she was banished, or absented herself,” from the court of Awel-Marduk, “no doubt for reasons, whatever they were, which earned that king an evil repute in the official tradition.” (Gadd, op. cit., p. 70)
53 C. J. 개드의 앞서 인용한 책 46–56면. 개드는 1958년에 이 비문을 번역하여 새 비석의 제목을 나본 H1, B라고 지었다. 그가 나본 H1, A이라고 이름지었던 포그논의 비석과는 구별된다. 여기 인용구는 A의 번역본에서 나온 것이다. 고대 근동의 레오 오펜하임 새로운 문자와 그림집, II권. (프린스턴과 런던: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75), 105, 106면, 칼럼1: 29-33. 이 구절은 대장 아닷-구피'의 나이를 계산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칼럼II:26~29, 왕의 수와 그들의 통치 기간은 분명히 완성되어야 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시간순 정보가 반복된다(칼럼 II:40–46), 하지만 아웰-마르둨의 통치는 생략되었다. 아웰-마르둨의 통치는 본 섹션의 목적이 명백히 다르기 때문이다. 아닷-구피'는 신 바빌로니아 왕들 중 어느 왕에게 복종적인 신하였는지 설명하는데. 이것은 섹션 앞부분에 "나는 (백성으로서) 마음을 다해 복종했고" 등으로 나타내고 있다. 개드가 제시한 바와 같이 아웰마르둨 궁정에서는, "그녀가 추방당했거나 스스로 불참했다" "이유가 무엇이든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그것 때문에 공식 전통에서 그 왕이 사악한 평판을 얻게 했다." (개드의 앞서 인용한 책 70면)
54 Nabonidus and his mother descended from the northern branch of the Aramaeans, who earlier had been so thoroughly assimilated into the Assyrian society that even their moon-god Sin “came to be honored among the Assyrians on an equal plane with their native god Assur.” (M. A. Dandamaev, Slavery in Babylonia, DeKalb, Illinoi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4, pp. 36–39.) In one of his inscriptions (Nabon. No. 9 in Tadmor’ s arrangement), Nabonidus explicitly speaks of the Assyrian kings as “my royal ancestors.” — H. Lewy, op. cit. (cf. note 42 above), pp. 35, 36.
54 나보니더스와 그의 어머니(아닷-구피')는 앗시리아인의 북부 분파 출신인데, 그는 일찍이 그들의 달신인 씬조차도 그들의 고향 신 앗서와 동등한 위상으로 아시리아인들 사이에서 존경을 받게 되었다. (M. A. 단다메프의, 노예, 바빌로니아, 데칼브: 일리노이즈:북부 일리노이즈 대학 출판부, 1984년, 36-39면) 그의 비문 중 하나 (타드모르의 배열에서 나본 9호), 나보니더스 연대기는 아시리아 왕들을 "나의 왕족 조상"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 H. 루이의 앞서 인용한 저서, (위의 각주 42와 비교), 35, 36면.
55 Oppenheim in Pritchard, op. cit. (1975), p. 107, col. II:26–29. For additional comments on the Adad-guppi’ inscription, see the Appendix for Chapter 3.
55 프리차드의 앞서 인용한 저서 (1975년), 107면 칼럼 II:26–29의 오펜하임. 아닷-구피' 비문에 대한 추가 논평은 3장을 참조하라.
56 Grayson, ABC, p. 107. Until the last column (III 5ff.), the Adad-guppi’ stele is written in the first person. But it is evident that the inscription was chiselled out after her death, undoubtedly by order of Nabonidus. That is why Dr. T. Longman III would like to classify it as a “fictional autobiography” (a 1iterary method known also from other Akkadian texts), although he adds: “This, however, does not mean that the events and even the opinions associated with Adad-guppi’ are unauthentic.” (Tremper Longman III, Fictional Akkadian Autobiography,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1991, pp. 41, 101, 102, 209, 210; cf. Beaulieu, op. cit., p. 209.) But it is questionable if the Adad-guppi’ inscription, even in this sense, can be classified as a “fictional autobiography” In his review of Longman’s work Dr. W. Schramm points out that the text “essentially is a genuine autobiography. The fact that there is an addition in col. III 5ff. composed by Nabonidus (so already Gadd, AnSt 8, 55, on III 5), does not give anyone the right to regard the whole text as fictional. The inscription, of course, was chiselled out after the death of Adad-guppi’. But it cannot be doubted that an authentic Vorlage on the story of Adad-guppi’s life was used “—Bibliotheca Orientalis, Vol. LII, No. 1/2 (Leiden, 1995), p.94.
56 그레이슨의< ABC>, 107면. 마지막 칼럼 (III 5ff.)까지, 아닷-구피'의 비석에 1인칭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그 비문은 그녀가 죽은 후 분명히 나보니더스의 명령에 의해 만들어졌음이 분명하다. 그래서 T. 롱만 3세 박사는 비록 그가 "아닷-구피'와 관련된 사건들의 내용이 진실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다고 덧붙이기는 하지만, 이것을 "소설적 자서전"으로 분류하고 싶어한다.(Tremper Longman III, Fictional Akkadian Autobiography,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1991년, 41, 101, 102, 209, 210면; cf. 보울루의 앞서 인용한 책, 209면.) 그러나 롱먼의 작품에 대한 재검토에서 아닷-구피'의 글이 "본질적으로 진정한 자서전"이라고 지적하면서, 이런 의미에서라도 "허구적 자서전"으로 분류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나보니더스가 칼럼 III 5ff를 추가하였다는 사실(그래서 이미 Gadd, AnSt 8, 55, III 5)이 어느 누구에게도 전체 텍스트를 허구로 간주할 권리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 비문은, 물론, 아닷-구피'의 죽음 이후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아닷-구피'의 삶에 관한 이야기에 관한 진실한 자세를 엿볼 수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비블리오테카 오리엔탈리스, LII권, No. 1/2 (Leiden, 1995년) 94면.
57 The Royal Canon, of course, does not give the reigns of the Assyrian kings Ashurbanipal and Ashur-etil-ili. For the earliest period (747–539 B.C.E.) the Canon gives a kinglist for Babylon, not for contemporary Assyria. The reigns of Assyrian kings are given only in so far as they also ruled directly over Babylon, which was true, for example, of Sennacherib, who ruled over Babylon twice (in 704/03–703/02 and 688/87–681/80 B.C.E.), and of Esarhaddon, who ruled over Babylon for thirteen years (680/79–668/ 67 B.C.E.). For the period of Ashurbanipal’s reign in Assyria, the Canon gives the reigns of the contemporary vassal kings in Babylon, Shamash-shum-ukin (20 years) and Kandalanu (22 years).—Compare Gadd, op. cit., pp. 70, 71.
57 물론, 왕실 명부(프톨레마이오스 명부)는 아시리아 왕 아슈르바니팔과 아슈르 에틸리가 통치했다는 사실을 제공해 주지 않는다. 초기 (기원전 747–539년)에 대해 이 정전은 동시대의 아시리아가 아닌 바빌론의 왕들의 목록을 제공한다. 아시리아 왕들의 통치는 바빌론을 직접적으로 통치하는 것으로도 주어지는데, 예를 들어, 바빌론을 두 번 통치한 세나케리브(산헤립)와 13년(기원전 680/79–668/ 67) 동안 통치한 에살하돈이 그렇다. 아시리아에서의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기간 동안, 정전은 바빌론, 샤마슈슈무킨(20년간) 그리고 칸달라누(22년간)에서 동시대의 속국 왕들을 지배하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개드의 앞서 인용한 저서 70, 71면을 비교하라.
|
첫댓글 오늘 본문에 핵심적인 증거 자료들이 나옵니다. 자세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나보니더스 연대기(나본 8, 18, 24호)가 그것입니다. 워치타워가 베로수스의 기록과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의 연대를 신뢰하지 않고 20년 간의 빠진 부분을 주장하여 예루살렘 멸망을 기원전 587년이 아니라 607년으로 주장합니다. 하지만 나보니더스 연대기는 이 두 기록이 맞아들어간다는 확정적 증거를 제시합니다 특히 나본 8호의 월식은 나보니더스 통치 2년이 기원전 554년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데 독자들이 자세히 읽고 산술적으로 증명해보기 바랍니다 번역이 끝난 다음 간단 명료한 논증을 올리겠습니다.
1 나본 18호
나보니더스가 그의 딸을 우르신전에 여사제로 헌신하게 하는 의식이 울룰루 월 13일에 있었다. 이때 월식에 관한 기록이 있고 이 월식의 때를 천문학적으로 계산한 결과 기원전 554년 9월 26일이라는 것을 밝혀 내었다. 이때는 다른 사료(본문에 나옴)에 의해서 나보니더스 통치 2년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베로수스나 왕실명부의 내용의 신빙성을 더해준다.
2 나본 8호
나보니더스는 즉위년에 에훌훌 신전을 재건하라는 신의 명령을 받는 꿈을 꾸는데 그 기록이 나타나는 비문에 보면 54년간의 폐허를 말하고 있다. 그런데 폐허의 시점은 나보폴사르 통치 16년이다. 여기서부터 54년간을 계산하면 나보니더스 즉위년이 된다. 그러므로 왕실명부의 통치기간은 정확하다.
3 나본 24호
이 비문은 나보니더스의 어머니 아닷구피에 관한 비문이다. 그녀가 달의 여신 씬을 섬긴 기간이 95년이며 104세까지 장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녀의 출생시기와 관련된 비문의 내용은 95년이 되는 시기를 왕의 통치년으로 합산한 기록이 나온다. 또한 그녀의 죽은 연대가 나보니더스 9년까지 104세임을 밝히고 있으므로 두 비문은 연대가 일치하며 신바빌로니아 통치기간을
분명하게 밝혀준다.
앞서 말한 세가지 증거만 보더라도 예루살렘의 멸망은 기원전 587/56년임을 확정시킨다.
그러나 앞으로 훨씬 많은 증거를 고려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