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 속에서 강한 자는 성장하지만, 나약한 사람은 시들어버린다.”
- 칼릴 지브랄
고독하니까 리더이다. 조직에서 지위가 높아갈수록 고독해진다.
홀로 지내는 시간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강한 리더가 될 수 없다.
리더의 고독은 자신과 만나는 시간, 책임감의 무게를 느끼는 순간이다.
고독의 시간은 사유의 시간, 성찰의 시간, 재충전의 시간이다.
리더의 고독감은 홀로 있는 시간을 즐기는 마음의 여유이다.
홀로 지내는 고독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에 따라서 더불어
지내는 만남의 가치도 달라진다.
'천상천하 유야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은 내가 있음에 네가 있고
네가 있음에 내가 있으므로 우리 모두 존귀한 존재라는 뜻이다.
깨달음은 오랜 고독 속 마음의 근육살을 키우는 수행의 산물이다.
리더는 언제 고독감을 느끼는가? 리더는 조직의 운명을 책임진다.
의사결정에 최종적으로 책임을 진 자로서 미래의 불확실과 직면한다.
오늘날처럼 변화가 격심한 시대에는 리더는 고독을 즐겨야만 한다.
평소에 별일 없이 지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수시로 결단의 순간에
내몰리게 된다. 국내 최고의 벤처기업인 미래산업을 일군 정문술 사장은
“결실은 모든 사원들과 나누지만, 어려움은 사장이 혼자 짊어진다”고 했다.
‘결단’이라는 말의 바탕에는 ‘불확실’이 깔려 있다.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결단을 내리는 것이다. 누가 보기에도 확실해 보이는 일이라면 굳이 리더의
결단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구성원들이 반대해도 가야할 길이 있다.
모호하고 불명확한 상태를 분명하게 규명하는 게 리더가 해야 할 중요한 일
중 하나다. 리더의 결단은 때로는 상당히 불합리해 보이기도 한다. 회사가 망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결단을 내려야 할 땐 해야만 한다,
그렇기 때문에 때로는 리더의 결정이 주위 사람들로부터 신랄한 비판의 대상의
되기도 하고, 비웃음거리가 되기도 한다. 그래도 리더가 자신의 결단을 고수하는
것은, ‘인기 유지’보다는 조직이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옳다는 결단이 내려지면, 반대가 거세다 하더라도 밀어부쳐야 한다.
성공하는 리더의 가장 큰 특징은 조직이 어려운 순간, 아무도 나서지 않을 때에
결과에 대한 책임을 나홀로 진다는 각오로 사생결단력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소니의 창업자 모리타 아키오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오디오를 만들고자 했을 때,
결단의 순간에 직면했다. 어디서든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워크맨’을 만들자고
하자 ‘그런 제품은 팔릴 리가 없다’는 직원들의 거센 반대에 직면하였다.
직원만이 아니라 외부에 있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최종 순간에 결단을
내리며 단언했다. “만약 3만 개 이상 팔리지 않으면 회장을 그만둔다.” 워크맨은
지금까지 무려 2억 개가 넘게 팔리며 소니의 위치를 확고하게 만들어주었다.
그렇게 잘 나가던 소니의 위치도 시대의 변화를 선도하지 못하고 삼성전자는
물론 애플과는 엄청나게 뒤쳐지게 되었다. 왜 이러한 결과를 초래했을까?
어느 CEO가 말했다. '자기자만에 빠져있지 않느냐는 두려움에 잠 이루지 못한다
The fear of self-complaceny keeps me awake at night)."
리더 고독의 정체 중 하나는 바로 자기자만과 나홀로 싸우는 것이다. 조직은
한 사람의 그림자다. 어느 누구에게 잘못의 탓을 돌리거나 원망하여서는 리더의
자격이 없다. 책임감이 무거울수록 고독은 깊어진다. 바로 리더의 운명인 것이다.
<신기독(愼其獨)>
그 홀로 있음을 삼가는 것이라는 의미. ‘신독(愼獨)’이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대학》
6장에 나온다. 《대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른바 그 뜻을 성실히 한다는 것은
스스로 속이지 않는 것이니, 악을 미워하기를 악취 미워하는 것과 같이 하며, 선을 좋아하기를
색(色)을 좋아하는 것과 같이 하여야 하나니, 이것을 자겸(自慊)이라 이른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를 삼가는 것(愼其獨)이다.” 따라서 신기독은 자신 내면의
충실을 강조한 수양 덕목이라 볼 수 있다. 《중용》에서도 신독의 원리가 잘 드러나 있다.
이를테면 가장 작은 것이 가장 잘 드러나고 깊이 숨은 것이 가장 잘 나타나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를 삼가라는 것이다. 이처럼 신독은 홀로 있을 때 경외심으로 수신(修身)에 정성을
다하여 내면적으로 수양의 기반을 확립하는 것을 말한다.
신독(愼獨)은 개인 윤리이면서 동시에 “안으로 성실하면 밖으로 드러난다”고 하는 형태로
대타적 실천과 연관되어 사회윤리의 출발점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송대의 주자는 신독에서
‘독(獨)은 다른 사람들이 미처 알지 못하고 자기만이 홀로 아는 것’이라 하여, 독을 은미한
상태에서 드러나는 자각(自覺)의 발단처(發端處)로 보고 있다.
이에 신독은 자각의 단계에서 인욕(人慾)의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도리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는 수양법이라 할 수 있다. 명대의 왕양명도 사욕으로 부정한 마음을 회복하는 정심(正心)
으로서의 격물(格物)이 다름 아닌 신독이라 주장하고 있다.
정산종사는 “혼자 있는 때에 방심하고 몸을 함부로 가지면 남이 있는 때에도 그 습관이 나오게
되나니, 옛 성현의 말씀에 ‘그 혼자 있을 때를 삼가라’ 하신 것은 숨은 것과 나타난 것이 곧 둘
아닌 까닭이니, 예를 행하는 이의 먼저 주의할 바이니라(정산종사법어 예도편 16).”고 했다.
* 출처 : 신기독(愼其獨), 원불교대사전(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첫댓글 조지양익(鳥之兩翼) 거지양륜(車之兩輪)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喜公五年. 왕양명(王陽明) 만물일체론】
새는 양 날개가 있어야 날 수 있고, 수레는 두 바퀴가 있어야 굴러갈 수 있다.
다시 등장하니 힘이 납니다.
경계에 흔들리다가 마음의 중심을 다시금 잡았습니다. 시초와 근본으로 돌아갑니다.
@마당바위 물유본말(物有本末) 사유종시(事有終始)【태학(大學) 경(經)제1장】
만물은 근본이 있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다.
.
知止而後有定 定而後能靜 靜而後能安 安而後能慮 慮而後能得
머물러야 할 목적지를 안 뒤에 정함이 있다.
정한 뒤에 고요할 수 있고 고요해진 후에 평안할 수 있다.
평안해진 뒤에 생각할 수 있고 생각한 후에 (道를) 얻을 수 있다.
.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則近道矣.
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에는 마침과 시작이 있으니
먼저 하고 뒤에 할 바를 알면 도(道)에 가까워질 것이다.
.
태학 경 제1장을 한 번 더 복습하기시 바랍니다.
수대초다풍(樹大招多風)【금병매(金甁梅) 第48回】
나무가 높으면 바람을 많이 탄다.(High place, great danger.)
수대초풍풍손수(樹大招風風損樹) : 나무가 높으면 바람을 불러 나무를 해치고
인위명고상상신(人爲名高傷喪身) : 사람이 명성이 높으면 음해가 몸을 해친다.
위존신위 재다명태(位尊身危 財多命殆)【후한서(後漢書) 풍연전(馮衍傳)】
지위가 높을수록 몸이 위태롭고, 재물이 많을수록 생명이 위험해진다.
지위가 높아지면 적도 많아진다.
↔ 도고익안(道高益安)【사기(史記) 일자열전(日者列傳)】
(그러나) 덕망은 높을수록 안전하다.
위조자위(位尊身危)... 리더가 새겨야 할 할 잠언입니다.
등태산이소천하(登太山而小天下)【맹자(孟子) 진심(盡心)上 24-1】
태산에 오르면 천하가 작게 보인다.
-높이 올라가야 시야가 넓어진다. 아는 만큼 보인다.
-사람은 처한 위치에 따라 시야(視野)와 안목(眼目) 달라진다.
-큰 도리를 익힌 사람은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다.
↔ 개구리 올챙이 적 초심을 잃을 수도 있다.
-Danger past, God forgotten.
-Even the big stars were once novices. 인기배우도 처음엔 무명 신인.
-It is old cow´s notion that she never was a calf. 황소 송아지 적 생각 안 한다.
-The parish priest forgets that ever he has been holy water clerk.
주교가 성수 수발 시절이 없었던 것처럼 행세하다.
등태산이소천하(登太山而小天下) 영심해이협천하(泳深海而狹天下)
관해(觀海)【맹자(孟子) 진심(盡心)上 24-1】
관어해자 난위수(觀於海者 難爲水) : 바다를 본 사람은 내(川)가 되기 어렵고
遊於聖人之門者 難爲言 : 성인 문하에서 배운 사람은 말이 마음에 차기 어렵다.
태평양 바다 멸치가 동해바다 고래보다 안목이 넓습니다.
사람도 큰 물에 놀아야 하는데 리더의 마음깊이에 달려있지요.
<단어 교정>
"자기자만에 빠져있지 않느냐는 두려움에 잠 이루지 못한다.
The fear of self-<complacency> keeps me awake at night)."
챙기지 못한 걸 일러주시어 감사합니다. 바로 수정했습니다.
수행으로 시야와 안목이 커지고, 홀로 있를 때에 자신를 속이지 쉽게 되니, 삼가하는 마음을 놓치지 말라는 말씀, 잘 새겨 둡니다..
조선중기 김집 선생은 이율곡과 아버지인 김장생의 학문을 이어받아 송시열을 수제자로 키운 이로, 그의 호가 신독재 (愼獨齋)였다고 합니다.
愼獨이 가장 어려운 수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장원 선생님...
덕산님과 정타원 사랑초님
잘 모시고 지내시오니 복 받으소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