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禧元年 천희 원년(1017년) 불상에 기록된 '위세현'에 대한 해석 관련 제보가 있어서...
2023년 12월초에 장흥위씨도문회가 주최한 제5차 선조 묘소 답사중에 만나 뵈었던 다존 위성 방촌유물전시관 명예관장님과 대화중에 송광사 고경스님이 제보해 주신 불상에 새겨진 '위세현'이라는 명문에 대해서 조사했었습니다...
天禧元年佛ㅇ丁 張成順 魏世賢 敬造 觀世音菩薩倚像 永供奉養/ 천희 원년(1017년) 장성순과 위세현이 관세음보살 대좌상을 공경되게 조성하여 영구히 받들어 공양하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천희(天禧)는 중국 북송 진종 때의 연호(1017~1021)로 원년이면 1017년입니다.
하지만 자료조사중에 유사한 '금동관세음보살기상' 불상을 발견했습니다...
*延嘉七年歲在己未高麗國樂良
張成順 魏世賢 敬造 觀世音菩薩倚像 永供奉養/ 연가 7년 기미년에 고려국 낙랑 장성순과 위세현이 관세음보살 대좌상을 공경되게 조성하여 영구히 받들어 공양하다.
*延嘉는 고구려의 연호입니다. 연가7년은 539년이며 고려국은 고구려, 낙랑은 평양입니다...
제보된 불상과 새롭게 조사한 불상의 글씨는 비슷한듯 다릅니다.
특이하게 延嘉七年이 새겨진 또다른 불상이 있습니다.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으로 1963년 경남 의령에서 출토되어 현재 국보 119호로 지정된 국내에서 연대를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불상입니다.여기에는 '위세현'이라는 명문은 없습니다.
우선 연대표시(539년과 1017년)가 다른 '위세현'이라는 명문이 나오는 두 점의 불상은 의문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더이상의 자료나 한계를 극복할만한 능력이 없어서 진품인지 아니면 최근에 제작된 가품인지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저의 관심은 '위세현'이라는 사람입니다.
혹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판독자문 : 야운 위이환
탁마재 재치 위현동...
=================================================
이런글을 써서 밴드에 올리고 저의 블러그 '위현동의 개판이야기'(https://wi3000.tistory.com/)에 올렸놓고 다른 분들의 지혜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며칠전에 저의 글에 대해 흥미로워하면서 댓글로써 의사를 표현하신 분이 계셨습니다... 댓글의 전문을 옮깁니다...
'위'라고 파악하신 글자는 절이나 불제자를 지원하는 단체나 무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며, '세'로 파악하신 글자는 40을 뜻하는 것으로 보이고, '현'은 현인(또는 사도)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요약하면 '장성순과 위라 지칭되는 단체의 현인 40명'이라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연가7년명의 '제자 승연과 사도 40명'이라 표현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 보입니다. 따라서 연가7년 금동관세음보살상은 고구려 불상일 가능성이 있을 것이나 천희원년 불상은 송대의 것일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천희원년에도 위라 지칭되는 단체에 현인 40)은 동일하게 존재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결론적으로 魏世賢은 제가 판단한 사람의 이름이 아니라 '절이나 스님을 지원하는 40여명 무리의 사도(제자)'쯤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로써는 전혀 모르는 분야이기 때문에 원문 그대로 도문회 밴드에 올리면서 혹시 이런 내용에 대해서 아시는 분들은 의사를 댓글로 표현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탁마재 재치 위현동...
◇ 야운처사 반박
世=40일?
世는 이 十자 3개가 나란하게 연결된 형상으로 30일로 알고 있습니다. 30일을 중국에서는 十(10)이 세 개가 겹쳐있다고 하여 卅(서른 삽)로 표기하죠. 卅이 30일이며 卅의 이체자가 바로 世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