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yome, bhikkhave, āsavā — kāmāsavo, bhavāsavo, avijjāsavo.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번뇌가 있나니
감각적 욕망의 번뇌[慾漏], 존재의 번뇌[有漏], 무명의 번뇌[無明漏]이다.]
번뇌(āsavo)란 '새어 나오고', '흘러나오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漏로 번역되었다.
'~의 번뇌'라고 번역된 세 가지 번뇌 중에서 근본은 무명이라고 나온다.
그렇다면 감각적 욕망에 '의해서' 새어 나오고, 존재에 '의해서' 새어 나오고,
무명에 '의해서' 혹은 무명'으로부터' 새어 나온다고 이해할 수 있다.
bhavato sañjāto āsavo
12연기에서 生 이전, 取(5온取) 다음에 나오는 이른바 有
그 존재에 '의해서' 혹은 존재 '로부터' 새어 나온다. 혹은 흘러나온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na kho, āvuso visākha, taññeva upādānaṃ te pañcupādānakkhandhā,
nāpi aññatra pañcahupādānakkhandhehi upādānaṃ.
yo kho, āvuso visākha,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chandarāgo taṃ tattha upādānan”ti.
도반 위사카여, 取 그것이 바로 取된 다섯 蘊도 아니고
取(의 대상이 될) 다섯 蘊에 대한 取가 별도로 있는 것도 아닙니다.
도반 위사카여, 取(의 대상이 될) 다섯 蘊에 대한 欲貪이 取입니다.]
[“katamañca, bhikkhave,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nandi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 idaṃ vuccati, bhikkhave,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비구들이여, 고통의 발생의 성스러운 진리란 무엇인가?
그것은 재생을 일으키고, 기쁨과 탐욕을 동반하며, 여기저기서 즐거워하는 갈애이니, 즉 -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 존재에 대한 갈애, 비존재에 대한 갈애이다 -
이것이, 비구들이여, 고통의 발생의 성스러운 진리라고 불린다.]
*(거친 물질을) 원하는(icchāyaṃ) 갈애, 되고자 하는 갈애, 되지 않으려 하는 갈애.
[yathā bhūtassa anantarā āsavānaṃ khayo hoti, idaṃ bhavānaṃ aggan”ti.
존재할 때 바로 그에게 번뇌들이 다하는 그 존재가 존재 가운데 으뜸입니다.
antarāparinibbāyissa. Imassa kho, bhikkhave, puggalassa orambhāgiyāni saṃyojanāni pahīnāni,
upapattipaṭilābhiyāni saṃyojanāni pahīnāni, bhavapaṭilābhiyāni saṃyojanāni appahīnāni.]
9. nibbedhikasuttaṃ (AN 6.63) 꿰뚫음 경(A6:63) Nibbedhika-sutta
63. “nibbedhikapariyāyaṃ vo, bhikkhave, dhammapariyāyaṃ desessāmi.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1.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꿰뚫음의 방법에 대한 법문을 설할 것이다.
이제 그것을 들어라. 듣고 마음에 잘 새겨라. 나는 설할 것이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katamo ca so, bhikkhave, nibbedhikapariyāyo dhammapariyāyo?
2.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꿰뚫음의 방법에 대한 법문인가?
kāmā, bhikkhave, veditabbā, kāmānaṃ nidānasambhavo veditabbo, kāmānaṃ vemattatā veditabbā,
kāmānaṃ vipāko veditabbo, kāmanirodho veditabbo, kā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
비구들이여, 감각적 욕망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들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들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
“vedanā, bhikkhave, veditabbā, vedanānaṃ nidānasambhavo veditabbo,
vedanānaṃ vemattatā veditabbā, vedanānaṃ vipāko veditabbo,
vedanānirodho veditabbo,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
비구들이여, 느낌을 알아야 한다. 느낌들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느낌들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느낌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느낌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느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
“saññā, bhikkhave, veditabbā, saññānaṃ nidānasambhavo veditabbo,
saññānaṃ vemattatā veditabbā, saññānaṃ vipāko veditabbo,
saññānirodho veditabbo, saññ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
비구들이여, 인식을 알아야 한다. 인식들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인식들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인식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인식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인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
“āsavā, bhikkhave, veditabbā, āsavānaṃ nidānasambhavo veditabbo,
āsavānaṃ vemattatā veditabbā, āsavānaṃ vipāko veditabbo,
āsavanirodho veditabbo, ās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
비구들이여, 번뇌를 알아야 한다. 번뇌들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번뇌들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번뇌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번뇌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번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
“kammaṃ, bhikkhave, veditabbaṃ, kammānaṃ nidānasambhavo veditabbo,
kammānaṃ vemattatā veditabbā, kammānaṃ vipāko veditabbo,
kammanirodho veditabbo, kam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
비구들이여, 업을 알아야 한다. 업들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업들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업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업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업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
“dukkhaṃ, bhikkhave, veditabbaṃ, dukkhassa nidānasambhavo veditabbo,
dukkhassa vemattatā veditabbā, dukkhassa vipāko veditabbo,
dukkhanirodho veditabbo,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
비구들이여, 괴로움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
“‘kāmā, bhikkhave, veditabbā, kāmānaṃ nidānasambhavo veditabbo,
kāmānaṃ vemattatā veditabbā, kāmānaṃ vipāko veditabbo,
kāmanirodho veditabbo, kā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3. “'비구들이여, 감각적 욕망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들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들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감각적 욕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
라고 했다. 그러면 이것은 무엇을 반연하여 말한 것인가?
pañcime, bhikkhave, kāmaguṇā —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sotaviññeyyā saddā... ghānaviññeyyā gandhā... jivhāviññeyyā rasā...
kāyaviññeyyā phoṭṭhabb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api ca kho, bhikkhave, nete kāmā kāmaguṇā nāmete ariyassa vinaye vuccanti —
비구들이여, 다섯 가닥의 감각적 욕망이 있다.
눈으로 인식되는 형상들이 있으니,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달콤하고, 매혹적인 것들이다.
귀로 인식되는 소리들이 있으니, … 코로 인식되는 냄새들이 있으니,
… 혀로 인식되는 맛들이 있으니, … 몸으로 인식되는 감촉들이 있으니,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달콤하고 매혹적인 것들이다.
비구들이여, 비록 이들이 감각적 욕망은 아니지만
성스러운 율에서는 감각적 욕망의 가닥이라 부른다.203)
203) '감각적 욕망'은 kāma를 옮긴 것이고 '감각적 욕망의 가닥'은 kāma-guṇa를 옮긴 것이다. 본문은 다른 경들에서 '감각적 욕망의 가닥'의 정형구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이 설명은 '감각적 욕망의 가닥'에 대한 설명이지 '감각적 욕망'에 대한 설명은 아니라고 부연하고 있는 것이다.
“saṅkapparāgo purisassa kāmo,
nete kāmā yāni citrāni loke.
saṅkapparāgo purisassa kāmo,
tiṭṭhanti citrāni tatheva loke.
athettha dhīrā vinayanti chandan”ti.
생각을 통해서 생긴 애욕이 인간의 감각적 욕망이니
세상의 다채로운 대상들은 감각적 욕망이 아니로다.
생각을 통해서 생긴 애욕이 인간의 감각적 욕망이니
세상의 다채로운 대상들은 그냥 그렇게 머물 뿐이어라.
슬기로운 자들은 그것에 대한 의욕을 길들이노라.”
“katamo ca, bhikkhave, kāmānaṃ nidānasambhavo?
phasso, bhikkhave, kāmānaṃ nidānasambhav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감각적 욕망들의 원인과 근원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이 감각적 욕망들의 원인과 근원이다.
“katamā ca, bhikkhave, kāmānaṃ vemattatā?
añño, bhikkhave, kāmo rūpesu, añño kāmo saddesu, añño kāmo gandhesu,
añño kāmo rasesu, añño kāmo phoṭṭhabbesu. ayaṃ vuccati, bhikkhave, kāmānaṃ vemattatā.
4.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감각적 욕망들의 차이점인가?
비구들이여, 형상들에 대한 감각적 욕망이 다르고, 소리들에 대한 감각적 욕망이 다르고,
냄새에 대한 감각적 욕망이 다르고, 맛에 대한 감각적 욕망이 다르고
감촉에 대한 감각적 욕망이 다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감각적 욕망들의 차이점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kāmānaṃ vipāko?
yaṃ kho, bhikkhave, kāmayamāno tajjaṃ tajjaṃ attabhāvaṃ abhinibbatteti
puññabhāgiyaṃ vā apuññabhāgiyaṃ vā, ayaṃ vuccati, bhikkhave, kāmānaṃ vipāk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감각적 욕망의 과보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적 욕망이 있을 때는 늘 그것에 어울리는 [불변하는]
자기 존재가 있음을 만들게 된다.
그 존재가 공덕이 되건 악덕이 되건 말이다.204)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감각적 욕망의 과보라 한다.
204) “'공덕이 된다(puñña-bhāgiya)'는 것은 천상의 감각적 욕망을 바라서 선행을 성취하여 천상 세계에 태어난 자의 존재는 공덕이 된다고 한 것이고, 나쁜 행을 가득 채워 지옥에 태어난 자의 존재는 '악덕이 된다(apuñña-bhāgiya)'고 하였다.(AA.iii.407)
“katamo ca, bhikkhave, kāmanirodho?
phassanirodho, bhikkhave, kāmanirodh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감각적 욕망의 소멸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이 소멸하면 감각적 욕망이 소멸한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kā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八支聖道]가
감각적 욕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위[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淨進], 바른 마음챙김[正念], 바른 삼매[正定]다.
“yato kho VAR,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kāme pajānāti,
evaṃ kāmānaṃ nidānasambhavaṃ pajānāti, evaṃ kāmānaṃ vemattataṃ pajānāti,
evaṃ kāmānaṃ vipākaṃ pajānāti, evaṃ kām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kām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imaṃ nibbedhikaṃ brahmacariyaṃ pajānāti kāmanirodhaṃ.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와 같이 감각적 욕망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원인과 근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차이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과보를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 때
그는 이 꿰뚫는205) 청정범행이 감각적 욕망의 소멸이라고 꿰뚫어 안다.
205) “'꿰뚫음(nibbedhika)'이란 이러한 서른여섯 가지 경우(형상에 대한 감각적 욕망 등 여섯에다 감각적 욕망, 그들의 원인, 그들의 차이점 등 여섯을 곱하면 서른여섯이 됨)를 꿰뚫는 뛰어난 행위(seṭṭha-cariya)라고 알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는 청정범행이라 불리는 도(magga)를 감각적 욕망의 소멸이라고 설했다.”(Ibid)
kāmā, bhikkhave, veditabbā ... pe ... kā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감각적 욕망을 알아야 한다. …
감각적 욕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한 것은 이를 두고 말한 것이다.”
“vedanā, bhikkhave, veditabbā ... pe ...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5. “'비구들이여, 느낌을 알아야 한다. … 느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 이것은 무엇을 반연하여 말한 것인가?
tisso imā, bhikkhave, vedanā — sukhā vedanā, dukkhā vedanā, adukkhamasukhā vedanā.
비구들이여, 세 가지 느낌이 있나니
즐거운 느낌[樂受], 괴로움 느낌[苦受],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非苦非樂受]이다.”
“katamo ca, bhikkhave, vedanānaṃ nidānasambhavo?
phasso, bhikkhave, vedanānaṃ nidānasambhavo.
6.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느낌들의 원인과 근원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觸]이 느낌들의 원인과 근원이다.
“katamā ca, bhikkhave, vedanānaṃ vemattatā?
atthi, bhikkhave, sāmisā sukhā vedanā, atthi nirāmisā sukhā vedanā, atthi sāmisā dukkhā vedanā,
atthi nirāmisā dukkhā vedanā, atthi sāmisā adukkhamasukhā vedanā,
atthi nirāmisā adukkhamasukhā vedanā. ayaṃ vuccati, bhikkhave, vedanānaṃ vemattatā.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느낌들의 차이점인가?
비구들이여, 세속적인 즐거운 느낌이 있고 비세속적206)인 즐거운 느낌이 있다.
세속적인 괴로운 느낌이 있고 비세속적인 괴로운 느낌이 있다.
세속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 있고 비세속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느낌들의 차이점이라 한다.
206) “비세속적(nirāmisā)이란 것은 출가 생활에 바탕을 둔 것을 말한다.”(DA.iii.775)
“katamo ca, bhikkhave, vedanānaṃ vipāko ?
yaṃ kho, bhikkhave, vediyamāno tajjaṃ tajjaṃ attabhāvaṃ abhinibbatteti
puññabhāgiyaṃ vā apuññabhāgiyaṃ vā, ayaṃ vuccati, bhikkhave, vedanānaṃ vipāk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느낌의 과보인가?
비구들이여, 느낌이 있을 때는 늘 그것에 어울리는 [불변하는] 자기 존재가 있음을 만들게 된다.
그 존재가 공덕이 되건 악덕이 되건 말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느낌의 과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vedanānirodho?
phassanirodho , bhikkhave, vedanānirodh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느낌의 소멸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이 소멸하면 느낌이 소멸한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느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챙김, 바른 삼매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vedan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aṃ nidānasambhav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aṃ vemattat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aṃ vipāk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irodh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imaṃ nibbedhikaṃ brahmacariyaṃ pajānāti vedanānirodhaṃ.
vedanā, bhikkhave, veditabbā ... pe ...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와 같이 느낌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원인과 근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차이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과보를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 때
그는 이 꿰뚫는 청정범행이 느낌의 소멸이라고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느낌을 알아야 한다. …
느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두고 말한 것이다.”
“saññā, bhikkhave, veditabbā ... pe ... saññ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7. “비구들이여, 인식을 알아야 한다. …
인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 이것은 무엇을 반연하여 말한 것인가?
chayimā, bhikkhave, saññā —
rūpasaññā, saddasaññā, gandhasaññā, rasasaññā, phoṭṭhabbasaññā, dhammasaññā.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인식이 있나니
형상의 인식, 소리의 인식, 냄새의 인식, 맛의 인식, 감촉의 인식, 법의 인식이다.”
“katamo ca, bhikkhave, saññānaṃ nidānasambhavo?
phasso, bhikkhave, saññānaṃ nidānasambhavo.
8.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인식들의 원인과 근원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觸]이 인식들의 원인과 근원이다.
“katamā ca, bhikkhave, saññānaṃ vemattatā?
aññā, bhikkhave, saññā rūpesu, aññā saññā saddesu , aññā saññā gandhesu, aññā saññā rasesu,
aññā saññā phoṭṭhabbesu, aññā saññā dhammesu .
ayaṃ vuccati, bhikkhave, saññānaṃ vemattatā.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인식들의 차이점인가?
비구들이여, 형상들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소리들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냄새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맛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감촉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법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인식들의 차이점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saññānaṃ vipāko?
vohāravepakkaṃ , bhikkhave, saññaṃ vadāmi.
yathā yathā naṃ sañjānāti tathā tathā voharati, evaṃ saññī ahosinti .
ayaṃ vuccati, bhikkhave, saññānaṃ vipāk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인식의 과보인가?
비구들이여, 인식이 있을 때는 늘 그것에 어울리는 인습적 표현이라는 과보가 생긴다고 나는 말한다.
인식할 때마다 항상 인습적인 표현을 하나니, 인식하는 자는 항상 이와 같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인식의 과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saññānirodho?
phassanirodho, bhikkhave, saññānirodh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인식의 소멸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이 소멸하면 인식이 소멸한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aññ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느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챙김, 바른 삼매이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saññaṃ pajānāti,
evaṃ saññānaṃ nidānasambhavaṃ pajānāti, evaṃ saññānaṃ vemattataṃ pajānāti,
evaṃ saññānaṃ vipākaṃ pajānāti, evaṃ saññānirodhaṃ pajānāti,
evaṃ saññ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imaṃ nibbedhikaṃ brahmacariyaṃ pajānāti saññānirodhaṃ.
saññā, bhikkhave, veditabbā ... pe ... saññ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와 같이 인식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원인과 근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차이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과보를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 때
그는 이 꿰뚫는 청정범행이 인식의 소멸이라고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인식을 알아야 한다. …
인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두고 말한 것이다.”
“āsavā, bhikkhave, veditabbā ... pe ... ās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9. “비구들이여, 번뇌를 알아야 한다. …
번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 이것은 무엇을 반연하여 말한 것인가?
tayome, bhikkhave, āsavā — kāmāsavo, bhavāsavo, avijjāsavo.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번뇌가 있나니
감각적 욕망의 번뇌[慾漏], 존재의 번뇌[有漏], 무명의 번뇌[無明漏]이다.”
“katamo ca, bhikkhave, āsavānaṃ nidānasambhavo?
avijjā, bhikkhave, āsavānaṃ nidānasambhavo.
10.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번뇌들의 원인과 근원인가?
비구들이여, 무명이 번뇌들의 원인과 근원이다.
“katamā ca, bhikkhave, āsavānaṃ vemattatā?
atthi, bhikkhave, āsavā nirayagamanīyā , atthi āsavā tiracchānayonigamanīyā,
atthi āsavā pettivisayagamanīyā, atthi āsavā manussalokagamanīyā, atthi āsavā devalokagamanīyā.
ayaṃ vuccati, bhikkhave, āsavānaṃ vemattatā.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번뇌들의 차이점인가?
비구들이여, 지옥으로 인도하는 번뇌가 있다. 축생의 모태로 인도하는 번뇌가 있다.
아귀계로 인도하는 번뇌가 있다. 인간 세계로 인도하는 번뇌가 있다.
천상 세계로 인도하는 번뇌가 있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번뇌들의 차이점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āsavānaṃ vipāko?
yaṃ kho, bhikkhave, avijjāgato tajjaṃ tajjaṃ attabhāvaṃ abhinibbatteti
puññabhāgiyaṃ vā apuññabhāgiyaṃ vā, ayaṃ vuccati, bhikkhave, āsavānaṃ vipāk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번뇌의 과보인가?
비구들이여, 번뇌가 있을 때는 늘 그것에 어울리는 [불변하는] 자기 존재가 있음을 만들게 된다.
그 존재가 공덕이 되건 악덕이 되건 말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번뇌의 과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āsavanirodho?
avijjānirodho, bhikkhave, āsavanirodh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번뇌의 소멸인가?
비구들이여, 무명이 소멸하면 번뇌가 소멸한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ās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느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챙김, 바른 삼매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āsave pajānāti,
evaṃ āsavānaṃ nidānasambhavaṃ pajānāti, evaṃ āsavānaṃ vemattataṃ pajānāti,
evaṃ āsavānaṃ vipākaṃ pajānāti, evaṃ āsavānaṃ nirodhaṃ pajānāti,
evaṃ āsavānaṃ 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imaṃ nibbedhikaṃ brahmacariyaṃ pajānāti āsavanirodhaṃ.
āsavā, bhikkhave, veditabbā ... pe ... ās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와 같이 번뇌를 꿰뚫어 알고, 그들의 원인과 근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차이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과보를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 때
그는 이 꿰뚫는 청정범행이 번뇌의 소멸이라고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번뇌를 알아야 한다. …
번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두고 말한 것이다.”
“kammaṃ, bhikkhave, veditabbaṃ ... pe ... kam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11. “'비구들이여, 업을 알아야 한다.
… 업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 이것은 무엇을 반연하여 말한 것인가?
cetanāhaṃ, bhikkhave, kammaṃ vadāmi. cetayitvā kammaṃ karoti — kāyena vācāya manasā.
비구들이여, 의도가 업이라고 나는 말하노니 의도한 뒤 몸과 말과 마음으로 업을 짓는다.”
“katamo ca, bhikkhave, kammānaṃ nidānasambhavo?
phasso, bhikkhave, kammānaṃ nidānasambhavo.
12.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업들의 원인과 근원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觸]이 업들의 원인과 근원이다.
“katamā ca, bhikkhave, kammānaṃ vemattatā?
atthi, bhikkhave, kammaṃ nirayavedanīyaṃ, atthi kammaṃ tiracchānayonivedanīyaṃ,
atthi kammaṃ pettivisayavedanīyaṃ, atthi kammaṃ manussalokavedanīyaṃ,
atthi kammaṃ devalokavedanīyaṃ . ayaṃ vuccati, bhikkhave, kammānaṃ vemattatā.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업들의 차이점인가?
비구들이여, 지옥에서 [과보를] 겪어야 하는207) 업이 있다.
축생의 모태에서 [과보를] 겪어야 하는 업이 있다. 아귀계에서 [과보를] 겪어야 하는 업이 있다.
인간 세계에서 [과보를] 겪어야 하는 업이 있다. 천상 세계에서 [과보를] 겪어야 하는 업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업들의 차이점이라 한다.
207) '지옥에서 [과보를] 겪어야 하는'은 niraya-vedanīya(지옥에서 겪어야 하는)인데 주석서에서 “지옥에서 과보(vipāka)를 겪어야 하는”(AA.iii.408)으로 설명하고 있다.
“katamo ca, bhikkhave, kammānaṃ vipāko?
tividhāhaṃ , bhikkhave, kammānaṃ vipākaṃ vadāmi —
diṭṭheva dhamme, upapajje vā , apare vā pariyāye. ayaṃ vuccati, bhikkhave, kammānaṃ vipāk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업의 과보인가?
비구들이여, 업의 과보는 세 가지라고 나는 말하나니 그것은 금생에 일어나거나
혹은 다음 생에 일어나거나 혹은 일어나는 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것이다. 208)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업의 과보라 한다.
208) “그 과보를 금생에 경험하는 것을 diṭṭheva dhamme라 표현했고, 바로 다음 생에서 그 과보를 경험하는 것을 upapajja라 표현했고, 세 번째 생부터 시각해서 윤회하는 과정에서 어떤 생에 그 과보를 경험하는 것을 apare vā pariyāye라 표현했다.”(AA.v.77)
그래서 역자는 이 셋을 각각 '금생에 일어나는 것', '다음 생에 일어나는 것', '일어나는 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옮겼다.
“katamo ca, bhikkhave, kammanirodho?
phassanirodho, bhikkhave, kammanirodh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업의 소멸인가?
비구들이여, 감각접촉이 소멸하면 업이 소멸한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kam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느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챙김, 바른 삼매이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kammaṃ pajānāti,
evaṃ kammānaṃ nidānasambhavaṃ pajānāti, evaṃ kammānaṃ vemattataṃ pajānāti,
evaṃ kammānaṃ vipākaṃ pajānāti, evaṃ kamm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kamm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imaṃ nibbedhikaṃ brahmacariyaṃ pajānāti kammanirodhaṃ.
kammaṃ, bhikkhave, veditabbaṃ ... pe ... kam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와 같이 업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원인과 근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차이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과보를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 때
그는 이 꿰뚫는 청정범행이 업의 소멸이라고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업을 알아야 한다.
… 업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한 것은 이를 두고 말한 것이다.”
“dukkhaṃ, bhikkhave, veditabbaṃ, dukkhassa nidānasambhavo veditabbo,
dukkhassa vemattatā veditabbā, dukkhassa vipāko veditabbo, dukkhanirodho veditabbo,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13. “'비구들이여, 괴로움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 이것은 무엇을 반연하여 말한 것인가?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byādhipi dukkho , maraṇampi dukkh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pi dukkhā,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dukkhā.
비구들이여, 태어남도 괴로움이다. 늙음도 괴로움이다. 병듦도 괴로움이다. 죽음도 괴로움이다.
근심 · 탄식 ·육체적 고통 · 정신적 고통 · 절망도 괴로움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요컨대 [나 등으로] 취착하는 다섯 가지 무더기[五取蘊] 자체가 괴로움이다.”
“katamo ca, bhikkhave, dukkhassa nidānasambhavo?
taṇhā, bhikkhave, dukkhassa nidānasambhavo .
14.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괴로움의 원인과 근원인가?
비구들이여, 갈애가 괴로움의 원인과 근원이다.
“katamā ca, bhikkhave, dukkhassa vemattatā?
atthi, bhikkhave, dukkhaṃ adhimattaṃ, atthi parittaṃ, atthi dandhavirāgi, atthi khippavirāgi.
ayaṃ vuccati, bhikkhave, dukkhassa vemattatā.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괴로움의 차이점인가?
비구들이여, 괴로움에는 아주 강한 것이 있고, 미미한 것이 있고, 천천히 빛바래는 것이 있고,
빨리 빛바래는 것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차이점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dukkhassa vipāko?
idha, bhikkhave, ekacco yena dukkhena abhibhūto pariyādinnacitto socati kilamati paridevati,
urattāḷiṃ kandati, sammohaṃ āpajjati,
yena vā pana dukkhena abhibhūto pariyādinnacitto bahiddhā pariyeṭṭhiṃ āpajjati —
‘ko ekapadaṃ dvipadaṃ jānāti imassa dukkhassa nirodhāyā’ti?
sammohavepakkaṃ vāhaṃ, bhikkhave, dukkhaṃ vadāmi pariyeṭṭhivepakkaṃ vā.
ayaṃ vuccati, bhikkhave, dukkhassa vipāk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괴로움의 과보인가?
비구들이여, 괴로움에 사로잡히고 그것에 얼이 빠진 어떤 사람은 근심하고 상심하고
슬퍼하고 가슴 치며 울부짖고 광란한다.
그는 이런저런 괴로움에 사로잡히고 얼이 빠져
'누가 이 괴로움을 소멸하는 한 구절로 된 주문이나 두 구절로 된 주문209)을 아는 자는 없는가?'
라고 밖에서 애써 구하게 된다.
비구들이여, 괴로움은 어리석음이라는 과보를 가져오는 것이요,
애써 구하는 과보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과보라 한다.
209) '한 구절로 된 주문과' '두 구절로 된 주문'은 각각 eka-pada(하나의 구절로 된 것)와 dvi-pada(두 개의 구절로 된 것)를 옮긴 것이다. 주석서에서 이것은 만뜨라(manta)라고 설명하고 있어서(Ibid) 주문이라 옮겼다.
“katamo ca, bhikkhave, dukkhanirodho?
taṇhānirodho, bhikkhave, dukkhanirodho.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괴로움의 소멸인가?
비구들이여, 갈애가 소멸하면 괴로움이 소멸한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dukkhassa 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八支聖道]가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위[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精進], 바른 마음챙김[正念], 바른 삼매[正定]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dukkhaṃ pajānāti,
evaṃ dukkhassa nidānasambhavaṃ pajānāti, evaṃ dukkhassa vemattataṃ pajānāti,
evaṃ dukkhassa vipākaṃ pajānāti, evaṃ dukkh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dukkh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imaṃ nibbedhikaṃ brahmacariyaṃ pajānāti dukkhanirodhaṃ.
dukkhaṃ, bhikkhave, veditabbaṃ, dukkhassa nidānasambhavo veditabbo,
dukkhassa vemattatā veditabbā, dukkhassa vipāko veditabbo, dukkhanirodho veditabbo,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itabb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와 같이 괴로움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원인과 근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차이점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과보를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그들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 때
그는 이 꿰뚫는 청정범행이 괴로움의 소멸이라고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괴로움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원인과 근원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과보를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소멸을 알아야 한다.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음을 알아야 한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두고 말한 것이다.
“ayaṃ kho so, bhikkhave, nibbedhikapariyāyo dhammapariyāyo”ti.
비구들이여, 이것이 꿰뚫음의 방법에 대한 법문이다.”
navamaṃ.
첫댓글
jāyati ----- jīyati -- mīyati -- cavati --upapajjati
태어나다-늙는다-죽는다-이동한다-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