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장인정신으로 높은 퀄리티의 한식을 만든다면, 소비자들은 한식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할 것입니다. 더 맛있고 많은 대중에게 인정받는 한식이 되는 길은 '장인정신'에서 시작됩니다."
미슐랭 2스타 스와니예의 이준 셰프가 한식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입을 열었다. 정확히는 일반 대중이 가장 많이 접하는 1만원~5만원 이하 중간 가격대 한식 외식업계를 꼬집었다. 장인정신으로 중간 가격대 한식 퀄리티가 높아진다면, 소비자들은 더 많은 가치를 한식에 부여하고 결론적으로 다양성도 제고될 것으로 이 셰프는 기대하고 있다.
"한식은 저렴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왜 생긴걸까"
지난 11일 서울 성동구 오프컬리에서 만난 이준 셰프는 세계적으로 대중화가 더딘 한식이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소신을 밝혔다. 미쉐린가이드가 이준 셰프의 요리 철학을 전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에서였다.
이 셰프는 우선 '한식은 저렴해야만 한다'는 우리 사회의 고정관념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똑같은 밀가루로 만들지만, 칼국수와 파스타의 가격 차이는 3배 이상입니다. 한식은 저렴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작용한 것이 여러 요인 중 하나입니다. 칼국수 가격을 올려야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이런 고정관념이 때로는 한식이 더 높은 퀄리티로 나아가는 데 발목을 잡는다는 말입니다."
한식에 대한 고정관념은 '가격'뿐만이 아니다. 된장·고추장 등 우리가 소위 '한국적'이라고 생각하는 재료를 이용한 음식만을 '한식'이라고 고집하는 것도 문제다. 다양한 식재료와 문화를 접목해 한국식으로 재해석하고 많은 한국인들이 즐기는 음식도 한식으로 보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고(古)조리서를 보면, 이름은 다르지만 '치즈'나 '버터', '햄' 등을 만드는 방법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유럽처럼 체계화돼 전승되지 못했을 뿐이죠. 그런데 이런 재료를 이용해 요리를 만들면, 한국인들은 한식이 아니라고 합니다. 된장과 고추장 등 한국적으로 보이는 재료를 사용해야만 한식이라고 부르죠. 그러다보니 한식의 범위가 좁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이제 치킨, 핫도그도 한식의 범위에 들어갔다고 봅니다. 한국인이 자연스럽게 먹고 이국적으로 느끼지 않는다면, 한식이 되는 것 아닐까요."
"선행돼야 할 것은 '맛'을 찾으려는 장인정신"
현재의 퀄리티에서 단순히 가격만을 올리자는 말이 아니다. 선행돼야 할 것은 요식업계가 '장인정신'을 가지고 한식의 퀄리티를 끌어올리려 노력해야 한다. 중간 가격대 한식이 맛이 있어진다면, 소비자들도 자연스레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찾게될 것이라는 게 이 셰프의 생각이다.
"일본에서는 아주 쉽게 자가제면 우동집을 찾을 수 있습니다. '면집이면 당연히 면을 만들어야지'라는 생각이 깔려 있습니다. 저렴한 가게도 마찬가지입니다. 또는 전통과 문화가 있는 제면소에서 받아옵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공장에서 만들어진)제품을 씁니다. 맛의 변별력이 없어집니다.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라면, 더 낮은 질의 제품을 찾아 쓸 것입니다. 맛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소비자들도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지 않게 되는 겁니다."
낮은 가격대·중간 가격대·높은 가격대 한식이 각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소비자들로부터 사랑받게 된다면, 그만큼 한식의 다양성도 제고될 것으로 전망된다. 맛있고 가격은 비싸지 않은 가장 많은 대중이 사랑하는 한식업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아쉽게도 지금은 이 중간 가격대 한식이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그 자리를 비슷한 가격대의 일식과 서양식이 차지하고 있다. 젊은 층이 많이 찾는 번화가를 중심으로 그런 경향은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시간이 갈수록 상황은 더 극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식은 우리가 기대하는 방향으로 가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한식집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고가의 '한식 다이닝'은 외국에서도 높게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캐쥬얼 한식'입니다. 당장 잘 되는 집만 봐도 최근 인기를 끈 유명한 식당들만 봐도 텐동·돈까스 등 일식 등이 대부분입니다."
22 공감.. 한식도 어떤 류냐에 따라, 식당 종류에 따라서 가격이 다른거같고 자국 음식이라 집밥의 연장선상에서 보게되는 거도 있는거같음.
예를들어 파스타도 집에서 해먹을 수 있고 나도 파스타 좋아하지만 그게 주식이 아니다보니까.. 걍 어쩌다 가끔 비싼돈 주더라도 사 먹었었는데 파스타 요리 다양하게 할 줄 알게되고 나서는 특별한 재료 안들어가고, 집에서 해먹어도 맛 차이가 안나는 파스타는 밖에서 안사먹게됨. 이탈리아에서도 그냥 동네 밥집 느낌인데서 먹는 파스타는 물가 대비 저렴한 편이고 반대로 한식당이나 오히려 일식당 같은데가 겁나 비싼거처럼
난 스페인 살았었는데 이 동네도 관광지 주변만 비싸지 빠에야, 타파스 이런거 다 동네 밥집 가면 저렴하기도 하고
첫댓글 개공감하는거 평양냉면만해도 비싸긴한데 손 많이가거든 근데 대부분 파스타는 평양냉면보다 더 비싼게 보통인데 별말 안하고 평양냉면은 가격 오르면 욕하더라 평냉 손 진짜 많이가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 나듀 공감~~~
내 나라 음식이라서 싼 것도 있고
내 나라 음식이라서 굳이 분위기까지 찾는 사람보다는 편히 한 끼 먹으려는 사람이 더 많으니 그런 부대비용 빠져서 그런 거지
한국에서도 분위기 있는 한식집이나 심지어는 잘 꾸며둔 한식 주점만 가도 그 값대로 다 비쌈
22 공감.. 한식도 어떤 류냐에 따라, 식당 종류에 따라서 가격이 다른거같고 자국 음식이라 집밥의 연장선상에서 보게되는 거도 있는거같음.
예를들어 파스타도 집에서 해먹을 수 있고 나도 파스타 좋아하지만 그게 주식이 아니다보니까.. 걍 어쩌다 가끔 비싼돈 주더라도 사 먹었었는데 파스타 요리 다양하게 할 줄 알게되고 나서는 특별한 재료 안들어가고, 집에서 해먹어도 맛 차이가 안나는 파스타는 밖에서 안사먹게됨.
이탈리아에서도 그냥 동네 밥집 느낌인데서 먹는 파스타는 물가 대비 저렴한 편이고 반대로 한식당이나 오히려 일식당 같은데가 겁나 비싼거처럼
난 스페인 살았었는데 이 동네도 관광지 주변만 비싸지 빠에야, 타파스 이런거 다 동네 밥집 가면 저렴하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