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여성시대 어쩌다마주친그대윤영
1, 일단 얘네는 동양하루살이라고 해충아님 감염병도 없고 물지도 않음
그냥 빛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어서 빛에 모이는..
수명은 4~5일로 알아서 죽음 해충이 아니면서 다른 종들의 먹이가 됨
2. 2급수 이상의 물에서만 사는 나름 청정벌레로 한강 수질 개선의 증거물..
한강물이 1급수가 되든지 아니면 3급수 이하로 떨어져야 한강에 안살아
(1급수여도 살수 있지만 1급수되면 또 다른것들이 생겨서 개체는 줄어들듯)
아니면 한강에 있는 모래를 죄다 메워버리든가 둘다 불가능하다는 점..
3. 유충의 서식지인 한강 상류는 상수원 보호구역이라 살충제 못뿌림
여기에 살충제 뿌리면 서울시민들 다 살충제 뿌린물 마셔야
4. 이렇게 왕성하게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이유는 기후변화 때문
일단은 유충에서는, 물속에 사는 하루살이의 유충인데요. 이게 서식 환경이 좋아졌습니다. 첫 번째로는 수온이 온난화 때문에 상승되니까, 아까 말씀드린 대로 온도가 올라가면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 있고요. 그 다음에 이제 발생되는 장소의 강이라든가 하천의 유속이 늦어졌거나 정체가 되는 곳이 좀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고요. 그 다음에 물속에 있는 포식자, 어류가 감소했거나 또 성충의 천적이 조류들인데 새들도 역시 좀 잡아먹는 새들이 좀 줄어들지 않았나, 그래서 서식 환경이 좋아졌기 때문에 발생된 것으로 보고 있어요.
https://www.google.com/amp/s/m.ytn.co.kr/news_view.amp.php%3fparam=0103_201706051153489120
결론 : 존나 징그럽지만 박멸할 이유도 없고 박멸할 수도 없다..
그냥..함께 살아야...앞으로 기후변화로 다양한 벌레들 많아질텐데
해충이라면 박멸이 우선이지만 해충 아닌 벌레를 죄다 박멸하면 그게 인간에게 더 해로움
그냥 우리가 익숙해져야함....출몰시기에 강 근처에 있는 곳을 피하고 성충 방제를 하고 이게 최선임
나쁜애들 아니네 오히려 한강이 깨끗해서 생긴거면 뭐.. 오히려 ㄱㅊ
크헉헉 너무약해서 무서워ㅠㅠ
ㅠㅠㅠ물뿌리면 힘없어서 떨어진다니ㅠ....
입이 퇴화해서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랭
생각보다 크더라고..떨어질때 진심 뚝! 떨어짐 ㅠ 그래서 어느순간보면 두둑두둑 떨어지기도하고.. ㅠㅠ 해충아니니깐 ㅠㅠㅠ
사람이 징그럽다고 죽여야 하는건 아니잖아 나도 벌레 무섭긴 하지만
그럼… 상위포식자의ㅡ맘마가 되기위해 태어나는 애들인거여? ㅠㅠㅠㅠㅠ 빛을 좋아한다니 짠해 ㅣㅠㅠㅠㅠ
근데 쟤네 진짜 떨어지지도 않아.. 저번에 차 앞 유리에 붙었는데 개빨리 달리는데도 유리 딱 붙들고 버티고 있더라 끔찍했어
한강을 1급수로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