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마라도에서 서남쪽으로 149km에 위치한 수중 암초로, 파랑도라고도 불림. 우리나라는 2003년 이어도에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함
외국어 표기離於島(한자)
Ieodo(한글 로마자표기)


마라도 서남쪽 81해리(149km), 중국 서산다오(余山島)에서 287km, 일본 나가사키(長崎)현 도리시마(鳥島) 서쪽으로 276km(160마일)가량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 평균 수심 50m, 길이는 남북으로 1800m, 동서로 1400m이다. 또 면적은 11만 3000평 규모이며, 4개의 봉우리를 가진 수중 암초다. 국내 해양학계에서의 공식 명칭은
파랑도이어도는 최고봉이 수중 4.6m 아래로 잠겨 있어 10m 이상의 파도가 치지 않는 이상 육안으로는 좀처럼 보기 힘들다. 이 때문에 제주도 전설에서는 이어도가 어부들이 죽으면 가는 환상의 섬, 즉 상상 속의 섬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문학작품 속에서도 자주 등장했다. 1900년 영국 상선 소코트라호가 처음 수중 암초임을 확인한 후 국제 해도에 소코트라 록(Socotra Rock)으로 표기된 바 있다. 이후 1984년 제주대학 팀의 조사에 의해 바닷속 암초섬의 실체가 확인됐다. 인근 수역은 조기ㆍ민어ㆍ갈치 등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는 '황금어장'이며, 중국ㆍ동남아 및 유럽으로 항해하는 주 항로가 인근을 통과하는 등 지정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연구ㆍ기상관측ㆍ어업활동 등을 위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설치를 목표로 1995년부터 해저지형 파악과 조류 관측 등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이후 2001년 공사가 착수되었으며 2003년 6월 완공되었다. 이어도의 해양과학기지는 최첨단 관측 장비를 통해 해양ㆍ기상 관련 자료를 수집하며, 해경의 수색 및 구난 기지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 출처: 시사상식사전
한편, 중국은 이어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시키기 위한 영유권 주장을 해오면서 우리나라와 마찰을 빚고 있다. 우리나라는 1951년 국토규명사업의 일환으로 이어도 탐사를 진행했고 이후 '대한민국 영토, 이어도'라고 새긴 동판 표지를 가라앉힘으로써 이 섬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970년에는 이어도 해역을 제7광구로 지정한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을 제정하였다.
1987년에는 해운항만청이 이어도 최초의 구조물인 이어도 부표를 띄우고 국제적으로 공표하였다. 그러나 1994년부터 발효된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른 배타적경제수역(EEZ)을 둘러싼 중국과의 견해차로 1990년대부터 해상경계획정 협상에도 불구하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아직까지도 이어도를 둘러싼 한ㆍ중의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또한 2001년 한중어업협정 당시 이어도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한국 정부는 이어도를 공동수역으로 설정하였고, 이어 2006년에는 한ㆍ중 양국이 이어도는 수중 암초로 섬이 아닌 만큼 영토분쟁의 대상이 아니라는 데 합의함으로써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 그 사이 한국 정부는 2003년 이어도에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하면서 논란을 가중시켰다.
모바일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블로그앱에서 보기
블로그앱 설치 URL을
네이버앱 알림으로 전송했습니다.
알림이 오지 않는다면,
네이버앱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거나,
로그아웃상태인지 확인해주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