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중학교 때부터 나름 아주 열심히 불교를 믿어 왔다. 고등학생, 대학생이 되면서는 더 좋은 불자가 되기 위해서, 더 훌륭한 수행자의 대열에 끼기 위해서 무진 노력을 다해 왔다.
언젠가 대학교 때 써놓은 낡은 일기장을 열어보고는 피식 웃었던 기억이 있다. 완전히 용맹정진하며 곧 깨달을 기세로 투쟁하고 분투하듯이 수행일기가 쓰여 있는 것이다. 하루에 얼마만큼 수행을 해야 한다고 월간계획까지 잡아 놓고 그것을 다 못한 날의 좌절감과 패배감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가만 생각해보면 나에게 있어 수행이란 아무리 투쟁하고 노력해도 도달할 수 없을 것 같은 먼 산이었다. 나처럼 하열한 근기의 수행자는 도저히 불법에는 안 맞는 듯 느껴졌다.
언젠가는 결가부좌로 오래 앉아 있는 것이 너무 힘이 들었고, 이것을 이겨내지 못하면 수행자로써의 기본 자질이 없는 사람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몇 번이고 앉아있기 위한 도전을 용맹스레 감내해 냈고, 몇 번은 몇 시간을 버티고 버티며 심지어 몸살이 올 정도까지 후들후들 떨리는 싸움을 해 내야 했다.
또 한 가지는 방학 때 수행센터를 갔었는데, 수행 중에 다른 사람들은 온갖 경계를 체험하고, 신비체험이며, 수행 중 일어난 놀라운 경계를 이야기 하면서 스님들께 수행점검을 하곤 했다. 정말 신기했다. 도대체 왜 나에게는 저런 신비체험이 일어나지 않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런 체험을 한 번 해 보겠노라고 무진 애를 써 보았지만, 나는 도저히 안 되는 사람인가보다 라는 실망감만 느낄 뿐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 때는 그런 신비체험 같은 것들이 수행이 얼마나 잘 되고 있는가를 가늠하는 잣대 쯤 되는 것으로 여겼던 것 같다.
정말 그럴까? 수행자는 저렇게 노력하고 분투하며 용맹한 기세로 나태함과 싸워 이기는 전쟁터의 투사 같아야만 하는 것일까? 그래서 오래 앉아 있는데 성공하고, 신비체험하는데 성공하면 나의 수행력은 나날이 높아져 가는 것일까?
부처님의 경우는 어떠셨을까? 어느날 부처님의 생애를 강의하다가 부처님께서도 6년이라는 고행의 과정을 겪으셨고, 결국 고행은 참된 수행이 아님을 깨닫고 고행주의를 떠나셨음이 직접적으로 와 닿은 적이 있다.
과연 그랬다. 고행주의는 이미 2,500년 전에 부처님께서 중도가 아님을 깨닫고 패기처분한 것이었다.
중국 선불교의 황금기에도 마찬가지였다. 오래 앉아 있는 것을 수행으로 여기고, 마음을 닦고 닦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던 북종선이 아닌 혜능의 남종선이 한국 불교의 원류가 아닌가. 좌선 수행 중이던 마조에게 돌을 갈아 거울을 만들 수 없다는 회양의 일갈에서도 알 수 있다.
이처럼 용맹정진하고 고군분투하는 수행자의 자세는 그동안 미덕처럼 여겨졌지만 사실 수행은 싸워이기거나 분투노력의 결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분투가 우리를 진리와 가깝게 하지는 못한다. 고난을 극복한 수행자의 영웅담을 숭배할 필요는 없다.
물론 그렇다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진리가 확인되는 것도 아니다. 말 그대로 중도적인 수행 아닌 수행이 필요한 것이다.
수행 영웅담을 들으며 좌절감을 느끼지는 말라. 신비체험 같은 하나의 경계를 수행의 진척으로 여기지도 말라.
수행은 특정 목표를 향해 질주하는 운동 경기 같은 것이 아니다. 운동과는 달리 수행이란 이미 도착해 있는 이들이 도착해 있음을 마음으로 깨닫고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도착한 사람에게 도착을 위한 고군분투나 도착을 위한 과정에서의 다양한 신비체험 같은 것은 필요 없는 것이다.
첫댓글 가도 가도 본래 그자리
도착 도착해도 떠난 그자리
바로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_()_
있는 그대로 받아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수행센터에 대한 부분이 공감됩니다.
몇 년 전에 해마다 여름휴가를 반납하고 명상수련을 4박5일씩 다녀오곤 했습니다.
호흡집중은 커녕 몸에 느껴지는 통증과의 싸움이 전부였던 것 같습니다.
좌선할 때 아무리 고통스러워도 끝까지 자세를 풀지 않았기에
삶에서 고통스런 순간이 올 때면
그 죽을 것 같은 고통도 견뎠는데 이 정도쯤이야.. 하고 가볍게 여겨지는 효과는 있었습니다.
가끔씩 드는 생각이 신비체험이 있었다면 거기에 목매지 않았을까..
그러지 않아서 정말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수련원에서 본 글귀 '다만, 지켜보기만 하라'는
가슴에 콕 박혀 삶에서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올해는 수련원 대신 4박5일 홀로 여행을 떠나볼까 생각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