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기관차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영어판으로 읽다가 AC type과 DC type 종류가 있다는 걸 알게 됐는데요.
이 책에 따르면 DC형 디젤기관차는 transition (전이) 문제가 있어서 운전이 복잡한 데 반하여, AC형 디젤기관차는 이 문제가 없어서 조작이 간편하다더군요.
AC형 디젤기관차의 예로 소개된 것이 GE의 Genesis 디젤기관차입니다. 80년대 중반 이후 도입되고 있는 semi-aerodynamic 신형기관차인데, 이 놈은 장폐단 운전이 불가하다는군요.
제 기억에 준표님께서 우리나라 특대형 기관차들은 전이 문제가 있다고 하셨던 거 같은데.. 그럼 이놈들은 DC형인 모양이죠?
DC형과 AC형의 차이를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질문이 하나 더 있는데...
7000호대가 한국에서 유일한 FT형 기관차라고 하는데 이 FT의 의미가 뭡니까? (추측하건대 특대형과는 달리 외부에 난간이 달려있지 않은 매끈한 외관을 지칭하는 게 아닌가 싶은데요)
그리고 FT형의 반대개념은 뭐라고 부르나요?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하군요.
p.s. 7000호대 기관차를 이참에 호남선과 장항선 새마을호 견인 전용으로 변경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원래 (경부선) 새마을호 전용이었다가 PP가 도입되면서 무궁화호 견인으로 밀린 걸로 아는데.. 화려한 복귀를 시켜주면 어떨까요? :)
물론 7000호대 검수기지를 가야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야 가능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