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바이어들의 관심 집중, K-뷰티 -
- 새롭고 신선한 제품 끝이 없어 지속적인 수요 예측 -
□ K-CON 2017 성황리 개최
ㅇ 미국 최대 한국 문화 전시회인 KCON 2017은 미국을 포함한 유럽, 아시아, 중남미 지역에서 약 8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참가해 다양한 한국 문화 제품 및 혁신기술을 보고 체험할 수 있음.
- 한류의 중심이 되는 가수 및 스타들과 한국 인플루언서들을 박람회에 초대해 콘서트와 팬 미팅 방식으로 한국 문화를 알리며 전시회와 더불어 한류 문화와 관련된 뷰티·라이프 스타일 제품들을 취급하는 한국 중소기업과 미국 유명 바이어 및 유통회사들과의 비즈니스 매칭을 진행. 미국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우리 기업 제품의 미국 시장 경쟁력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전시회임.
- KOTRA는 50개 한국 중소기업으로 비즈니스미팅을 진행함.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 2017년 미국 KCON(KCON 2017 LA) |
개최기간 | 2017년 8월 18(금)~20일(일), 3일간 |
개최연혁 | 2012년부터 매년 개최, 6회 째 |
개최장소 | 미국 로스앤젤레스 컨벤션센터, 인터콘티넨탈 호텔 |
개최규모 | 참가 중소기업 50여 개사, 관람객 8만5000명 |
주요 전시품목 | 한국의 화장품과 같은 뷰티 제품 |
홈페이지 | http://www.kconusa.com/ |
2017 KCON LA 비즈니스 매칭 현장
자료원: KOTRA 로스앤젤레스 자료 종합
□ KCON 비즈니스매칭의 중심 한국 화장품
ㅇ 미국 화장품 시장 현황
- 조사기관 IBIS에 따르면 미국의 화장품 시장은 2017년까지 5.1% 성장률을 보여주며 약 224억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함.
- 해당 기관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지속적으로 울타(Ulta)와 세포라(Sephora)와 같은 대형 화장품 전문 매장들을 방문하고 있으며,편의를 위해 인터넷으로 구입하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고 전함.
- 울타는 전체 화장품 매장 시장점유율 1위 기업임. 이들은 약 23.1%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세포라는 15.8%를 차지하고 있음.
ㅇ 미국 시장에서 가능성이 높은 한국 화장품
- 한국 화장품의 전체 수출은 2016년에 전년 대비 43.75% 증가해 약 41억 달러를 기록함.
- 한국 관세청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2014년을 시작으로 한국 화장품의 3대 수출국으로 등록됨.
- 2016년 미국으로 수출된 한국 화장품의 규모는 약 3억469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중국과 홍콩에 뒤를 잇는 규모임. 미국은 한국 화장품 수출의 약 8.3%의 점유율을 기록함.
한국 화장품 미국 수출 기록
연도 | 화장품 산업 수출(천 달러) | 증감률(%) |
2014 | 1,873,534 | 52.00 |
2015 | 2,910,100 | 55.33 |
2016 | 4,183,303 | 43.75 |
국명 | 2015년 | 점유율 | 2016년 | 점유율 | 증감률 |
미국 | 238,084 | 8.2 | 346,963 | 8.3 | 45.73 |
자료원: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ㅇ 한국 화장품 성공 요인
- 미국의 대표 미용 관련 미디어 Fashion Network의 기사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의 성장은 약 3가지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함.
- 첫째는 품질의 우수성임. K-뷰티 시장은 엄청난 경쟁이 있는 시장으로 대부분 업체는 항상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출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전함.
- 미국 내 K-뷰티 화장품 전문 웹사이트 창업자 Christine Chang 씨에 따르면 한국 소비자들은 특히나 까다롭기 때문에 화장품 제조업체들은 항상 가장 높은 수준과 좋은 가격의 화장품을 시장에 내놓을 수밖에 없다고 함.
- 이러한 품질은 미국 소비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해 한국제품을 구매할 때 발생하는 배송비 등의 다양한 부가적인 비용을 감수 하고도 한국 제품을 구매하려는 욕구가 높다고 전함.
- 또 다른 성공 요인은 정부와 기업의 협업으로 보임.
- 뉴욕 매거진은 한국 화장품의 성장의 원동력으로 가장 중요하며 상징적인 요소로 한국 정부의 중소기업 수출장려정책을 뽑음.
- 한국 정부는 한국 화장품이야 말로 미국 주류시장으로 가장 빠르며 영향력 있게 진출할 수 있는 품목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수출 기업에는 세금 혜택 및 장려금 지원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음.
- 박람회와 같은 다양한 통로를 활용해 한국 화장품의 지원이 다양하며 그 결과, 2015년에는 한국에서 미국으로의 화장품 수출이 약 52억 달러를 기록하며 약 60%의 증가율을 보여줌.
□ KCON 2017 현장 트렌드 전문가 인터뷰 및 시사점
ㅇ 비즈니스 매칭 요약
- 국내 업체는 약 45개가 참여했으며, 바이어 수는 총 85개사의 142명으로 집계됨.
- 총 상담건수는 355건으로 전년 250건 대비 40% 증가함.
- 상담금액은 1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계약 가능금액은 300만 달러로 추정됨.
주요 상담바이어 사업 현황
회사명 | 분야 | 특이사항 |
TJX Companies Inc | 생활소비재, 패션, 뷰티 | 수입·리테일, 매출액 330억 달러(2016년) |
Newegg | 생활소비재, 패션, 뷰티 | 온라인 유통, 매출액 25억 달러(2016년) |
Northgate Market | 식품, 생활소비재 | 수입·리테일, 매출액 4억 달러(2016년) |
Sarah Zone | 뷰티, 패션 | 수입·리테일, 매출액 2억 달러(2016년) |
The Creme Shop | 뷰티 | 수입·유통, 매출액 4000만 달러(2016년) |
자료원: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현장 바이어 상담 모습
자료원: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ㅇ 한국 제품의 신비성 뛰어나 성공 가능성 높음.
- 한국 제품이 미국에서 성공할 수 있는 이유는 신비성으로 분석됨. 한국화장품의 경우 한국인들에게는 익숙하지만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신비할 수 있는 재료들로 화장품을 제조해 미국 소비자들에게 혁신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음.
- 특히나 한국 제품들 중 마스크 팩들에 이러한 요소들이 첨부돼 있는데, 당나귀 우유 스킨 크림과 같은 제품들은 뜨거운 인기를 받고 있음.
ㅇ 바이어 C사 K대표
- 미국 시장의 소비자들은 보기에 눈에 띄고 재밌는 것을 좋아함. 한번 써보고 싶다는 욕구가 들게끔 하는 패키징과 디자인이 중요함.
- 가격이 저렴할 경우 성공할 가능성 높음. 이유는 소비자들이 가격을 보고 한번 써보자 하는 욕구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임.
ㅇ 바이어 P사 C담당자
- 한방으로 만든 제품을 찾고 있음. 이유는 기능성 화장품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아토피나 피부 트러블에 좋은 화장품은 미국에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측됨.
- 또한 화장품이 아이들부터 어른(50대, 60대)까지 활용 가능한 성분으로 만들어진 것을 선호하며, 얼굴과 몸에 다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도 추후에 인기가 높을 것으로 예측함.
ㅇ 바이어 H사의 J 담당자
- 해당 바이어는 한국의 기업들이 현재 사용하는 마케팅 기법 중 한국 연예인 혹은 유명인을 활용한 K-Pop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봄.
- 연예인이나 유명인이 쓰는 화장품이라고 광고가 될 경우 해외시장에서 성공률이 높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을 이야기함.
ㅇ 바이어 S사와 C사 유통기업
- 현재는 K-뷰티 제품으로 화장품이 인기가 있지만, 100% 천연제품과 한방제품으로 된 비누를 찾는 미국 바이어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함.
- 비누의 경우 향기가 굉장히 중요하며 FDA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제품과 프리미엄급의 비누도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함.
ㅇ FDA 승인과 현지화 중요
- 이번 KCON 2017 전시회에 참가한 바이어들은 한국 화장품과 뷰티 기업들과 상담하는 도중 가장 많이 질문한 것이 FDA 승인 여부였으며, 또한 패키징과 글씨체 등을 현지에 맡게 바꿀 의향이 있냐는 질문도 상당히 많이함.
- 이는 미국 바이어들이 현지화와 수입 시에 문제가 없이 깔끔한 진행을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한국에서 미국 수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할 사항임.
자료원: FashionNetworkd, IBIS World, 화장품협회,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