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 력 검 사
청력검사란 청력손실의 유무, 정도, 형태 및 난청의 병변 부위, 질환의 상태, 치료판정 및 청력소실에 따른 재활교육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정확한 청력검사를 위해서는 귀의구조, 청각생리, 음의 물리적 성질을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하며, 보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 청력검사계기와 방음된 검사 장소 및 잘 훈련된 청각사가 필요하다.
환자의 상태, 협조, 검사자의 주관적인 해석이 필요한 주관적인 검사와 환자의 협조에 관계없이 결정되어 지는 객관적인 검사로 크게 구분되어진다.
*청력검사의 종류
순음청력검사(PTA)-기도청력검사(Air Conduction), 골도청력검사 (Bone Conduction)
MCL, UCL
어음청력검사(SA)-어음청취역치(SRT), 어음명료도검사(SDT)
중이청력검사(IA)-고막운동성계측검사(Tympanometry),
등골근반사검사(Stapedial or acoustic reflex)
이관기능검사(Eustachian tube function test)
등골근 반사 소실검사(Acoustic reflex decay test)
이음향방사(OAE)-SOAE, TEOAE, DPOAE
유발반응청력검사-ECoG, 뇌간유발반응(ABR) 등
1. 순음청력검사
순음을 전기적으로 발생시켜 각 주파수별로 가청역치를 측정하여 난청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서 기도 청력검사와 골도 청력검사로 구분할 수 있다.
*순음청력검사기의 구성
진동기(oscllator)-음을 발생시킴
증폭기(amplifier)-발생된 음을 증폭시킴
감쇄기(attenuator)-음의 크기를 조정
이어폰, 골전도 진동기-주어진 음을 귀로 전달
음차폐기(maskinib noise generator)-차폐음
* 음향물리
소리 : 연속적 공기 입자의 진동
<소리를 표현하는 방법>
물리학적 표현 |
심리음향학적인 표현 |
주파수(Frequency) - Hz |
고저(pitch) - Mel |
강도(Intensity) - dB |
강약(loudness) - sone |
지속시간(time) |
장단(duration) |
복합성(complexity) |
음색 또는 음질 (timber or quality) |
1) 물리적 기준
① Frequency : Hz - 초당 주기의 수
ex) 6kHz -> 1초당 6000번의 주기
- 인간의 가청 음역 : 20 - 20,000Hz
- 인간의 회화 음역 : 100 - 8,000Hz
② Intensity : dB - 음의 강도
dB SPL(sound pressure level) : 단위 면적에 가해지는 음압을 기준
0dB - 0.0002dyne/㎠ (압력을 기준)
dB HL(hearing level) : 정상 성인의 주파수별 가청 역치 평균으로 결정
audiometry zero (인간이 듣는 것 기준)
dB SL(sensation level) : 개인의 역치를 기준으로 역치상 소리의 크기를 표현
2) 심리 음향학적인 기준
① 고저 pitch - 음의 높고 낮음의 주관적인 표현 (mel)
② 강약 loudness - 음의 세기를 주관적으로 표현 (sone)
1)기도청력검사
a. 정의 : 기도수화기(헤드폰, insert phone)를 사용하여 외이도를 경유한 공기의 진동으로 들려온 음에 대한 피검자의 역치를 청력도로 나타낸 것이다.
b. 청력역치
청력역치란 같은 강도의 음을 주었을 때 피검자가 50%의 확률로 들을 때의 음의 강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검사시 음을 3번 들려주었을 때 2번 바르게 응답하는 음의 강도를 역치라고 한다.
c. 검사순서
1kHz부터 시작하여 고주파수대를 검사한 다음 다시 1kHz를 재검사하고 저주파수대로 하강하면서 검사한다.
저주파수 기본주파수 고주파수
125 250 500 1K 2K 4K 8K
하강(2) ←------┙┖-------→ 상승(1)
- 1kHz 재검사시 처음 반응과 10dB이상 차이나면 전체 주파수 재검사한다.
- 각주파수간의 강도 차이가 20dB이상 나면 중간 주파수 검사한다.
- 보통 잘 들리는 귀부터 검사를 한다.(양측이 비슷할 경우 우측부터 실시)
- 검사음은 비주기적으로 1~2초간 자극한다.
- 검사전 이명이나 다른 질병이 있는지 파악한다.
d. 검사법
하강법 : 음을 충분히 들을 수 있는 높은 강도부터 시작하여 낮추면서 측정
상승법 : 음이 들리지 않는 낮은 강도부터 높여가며 측정
수정상승법 : 상승법과 하강법을 혼합한 방법으 20dB HL에서 시작하여 20dB단위로 높여가며 최초 응답을 확인한 후 반응이 있으면 10dB 하강하고, 반응이 없으면 5dB상승하여 역치를 찾는다.
* 음 강도를 상승법으로 하였을 때 역치는 하강법보다 5~10dB정도 일반적으로 높게 나 타난다. 상승법과 하강법을 이용하여 위난청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e. 검사시 주의 사항
①방음실에서 검사하는 것이 원칙이며 피검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검사하여야 한다.
피검자가 검사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인지하도록 설명한다.
ex) 멘트 - 청력검사의 유무 “청력검사를 받아 보신적이 있습니까?”
좋은쪽귀 “어느쪽 귀가 더 잘 들리십니까?”
설명 “소리(삐,뽀,뿌)가 들리면 바로바로 버튼을 눌러주세요”
(소리가 작아도 즉시 반응하도록 함))
② Reciever의 출력공이 정확하게 외이도를 향하도록 하며, Receiver의 Headband를 환자의 머리에 맞게 조정한다.
③ 피검자의 거짓반응 여부를 정확하게 Check해야 한다.
2)골도청력검사 (Bone Conduction)
a. 정의 : 두개골에 주어진 소리 진동이 직접 내이로 전달되어 피검자가 청취하는 것으로 기도 청력과는 달리 고막이나 이소골의 상태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골도 청력은 내이 및 그 이상의 청신경 전달로의 기능을 반영하며, 중이가 비정상이라도 내이에 이상이 없으면 정상으로 나타난다.
b. 검사순서
잘 들리지 않는 쪽 귀부터 시작한다.
1000Hz부터 시작하여 2000, (3000), 4000Hz의 순으로 고음역을 검사한 후, 다시 1000Hz를 검사한 후 500Hz, 250Hz의 저음역을 검사한다. 검사방법은 기도청력검사와 동일하다.
(125Hz, 6000Hz, 8000Hz는 일반적으로 검사하지 않는다.)
c. 골도 수화기의 위치
두개골은 진동체에 의해 오른쪽이나 왼쪽이 분리 진동되지 않으며, 진동체의 부착 위치가 두개골의 어느 부위이던지 상관없이 양측내이가 동시에 반응한다. 골도 진동체의 위치에 상관없이 두개골 전체를 진동하므로 양쪽 달팽이관을 모두 자극하게 된다. 즉 양측의 기도 청력이 다르더라도 양측의 골도 청력은 좋은 쪽으로 일치하여 나타나게 된다.
골도 수화기는 외이도 입구 바로 뒤쪽 유양돌기에 위치시키며, 이개가 닿거나 머리카락이 진동면과 두피 사이에 끼이지 않아야 하며, 검사시 진동면이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유양동삭개술이나 피부 병변 등으로 유양돌기에 대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전두부에 대기도 한다.
3) 청력도의 기입
Audiogram
<청력도기호>
오른쪽 왼쪽
빨간색 파란색
기도청력검사 O X
차페 기도 △ □
골도청력검사 < >
차폐골도 [ ]
Best Bone ∧
* 각 기호에 화살표를 붙이면 ↙↘
반응없음을 나타냄
4) 청력도의 해석
(1)청력장애의 정도
청력손실은 주파수별 가청역치의 평균을 통해서 나타낸다. 평균은 일상적인 회화에서 가장 중요한 어음역대의 평균을 통해서 나타낸다. 주요한 언어대역은 500Hz부터 2000Hz까지이며 500Hz, 1000Hz, 2000Hz의 평균을 나타낸 것을 3분법이라고 하며 1000Hz를 두 배로 하여 500Hz, 2000Hz를 더한 것을 4분한 4분법이 있다. 소음등에 의한 난청정도를 표현하는 경우는 4000Hz의 청력 저하를 고려하는 6분법을 사용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4분법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1998년 보사부 시행령에 따라 500Hz, 1000Hz, 2000Hz, 3000Hz, 4000Hz, 6000Hz를 평균한 6분법이 장애진단에 사용되고 있다.
삼분법 : [(500)+(1000)+(2000)]/3
사분법 : [(500)+2(1000)+(2000)]/4
ASHA 사분법 : [(1000)+(2000)+(3000)+(4000)]/4
소음성, 노인성난청
육분법 : [(500)+2(1000)+2(2000)+(4000)]/6
산업재해보상법(보사부 시행령)
육분법 : [500+1000+2000+3000+4000+6000]/6
장애진단에 사용
청력소실(dB) |
장애표현정도 - ISO, ANSI(1996)기준 |
~26 |
정상역 (normal hearing) |
27~40 |
경도난청 (mild hearing loss) |
41~55 |
중등도난청 (moderate hearing loss) |
56~70 |
중등고도난청 (moderately severe hearing loss) |
71~90 |
고도난청 (severe hearing loss) |
91이상 |
농 (profound hearing loss) |
*500, 1000, 2000Hz의 평균치
ISO, ANSI(1996)기준
(2) 청력장애의 유형
청력손실의 정도는 기도청력검사와 골도 청력 검사의 결과를 통해서 청력장애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
공기전도역치 | ||
정 상 |
비 정 상 | ||
골전도역치 |
정 상 |
정 상 |
전음성난청 |
비 정 상 |
불 가 능 |
AB Gap × : 감각신경난청 AB Gap ○ : 혼합성난청 |
*AB Gap : 기도(Air)검사와 골도(Bone) 검사의 차이
전음성 난청 : 소리의 전도기관인 외이나 중이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골도 청력은 정상이나 기도청력이 낮아진 경우로 기골도차가 10~15dB 이상인 경우
감각신경성 난청 : 소리의 감음기관이 내이에 이상이 있는 경우
기도와 골도 청력이 모두 손실이 있으며 기골도차가 없는 경우
혼합성 난청 : 소리의 전도와 감음기관에 복합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
기도와 골도 모두 손실이 있으며, 기골도차가 10~15dB 이상인 경우
(감각신경성난청)
(혼합성난청)
(3) 청력도의 유형
a. 수평형(flat type) : 모든 주파수의 청력손실 정도가 20dB 이내로 비슷한 수평형
b. 상승형(ascending type) : 고음역으로 갈수록 청력이 좋아짐
c. 하강형(고음점경형 descending type) : 고음역으로 갈수록 청력이 나빠짐
d. 급하강형(고음급추형 ski slope type) : 고음역으로 갈수록 음계마다 20dB이상씩 나 빠지는 형태
e. notched type : 특정 주파수에서 20dB이상 급격하게 나빠졌다가 다시 회복되는 형 태
f. 곡형 : 중음부에 청력 손실이 큰 type
g. 산형(peak type) : 주음부에서 청력이 좋고 저∙고음역으로 갈수록 청력이 나빠짐
전음성난청은 대부분 상승형을 보이며, 감각 신경성 난청은 하강형, 혼합성 난청의 경우는 수평형 또는 하강형을 많이 보인다. 소음성 난청의 경우는 3~6kHz부분에서 청력이 나빠지는 notched type을 나타낸다.
5) Masking
Masking이란 두 귀의 청력에 차이가 있고, 청력 손실이 큰 쪽의 귀를 검사할 때 자극음이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검사하지 않는 좋은 쪽 귀로 누설되어 생기는 음영청취(Shadow Hearing or Cross-over)를 막아 나쁜 쪽 귀의 정확한 최소가청역치를 구하기 위하여 좋은 쪽 귀에 잡음을 들려주는 것이다.
차폐음은 순음 청력 검사시 narrowband noise가 사용되며 어음 청력 검사시는 broadband noise가 주로 사용된다.
IA (Interaural Attenuation 양이감쇄) - 한쪽 귀에 준 음자극이 두개골 진동을 통해서 반대쪽 귀로 가면서 음이 약해지는 현상
골전도에는 IA가 없다.
(표) 기도의 주파수별 최저 IA
pure tone |
125 |
250 |
500 |
1000 |
2000 |
4000 |
8000 |
Headphone |
35 |
40 |
40 |
40 |
45 |
50 |
50 |
Insertphone |
|
60 |
60 |
55 |
50 |
55 |
|
Bone |
|
0 |
0 |
0 |
0 |
0 |
|
OE (Occlusion Effect 폐쇄효과) - 골전도 검사시 검사하지 않는 귀를 mask할 때earphone 때문에 음압이 증가되어 더 잘 듣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표) 각 주파수별 OE.
|
250 |
500 |
1000 |
2000이상 |
Headphone |
15 |
15 |
10 |
0 |
*Masking 방법 설명시 용어
TE : Test Ear 나쁜 쪽 귀
NTE : Non test Ear 좋은 쪽 귀
NTE ABG : 좋은 쪽 귀의 기도 골도 차이
TE ABG : 나쁜 쪽 귀의 기도 골도 차이
(1) 기도검사시 Masking
차폐방법
①차폐시기 : 좋은 쪽과 나쁜 쪽 귀의 역치 차이가 IA값(40dB)이상 날 때 실시
같은 쪽의 공기전도와 골전도 역치 차이가 IA이상 날 때 실시
각 주파수별로 독립적으로 시행한다.
② Masking Range를 구한다. Masking Level이 너무작거나(Undermasking), 또는 Masking Level이 너무 과도하면(Overmasking) 정확한 Test Level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유효 Masking Range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Undermasking : 최소 Masking Level 보다 Masking Level을 적게 준 경우
최소 Masking Level = TE ACT - IA + NTE ABG
최대 Masking Level = TE BCT + IA
Overmasking : 최대 Masking Level 보다 Masking Level을 많이 준 경우
③ 최초 테스트 레벨(TL) = TE ACT 최초 매스킹 레벨(ML) = 최소 ML + 15 (safety value)
④ 반응 ○ : Masking Level 5 또는 10dB씩 상승. 반응 × : Test Level 5dB씩 상승
⑤ 동일 TestL에서 세 번 연속 반응(plateau)하면 masked ACT이다. *Masking Range는 TL과 함께 변화한다.
<예제> 1000Hz, Rt ACT = 30dBHL, Lt ACT = 70dBHL 최소 ML = 70(TEACT) - 40(IA) = 30 최대 ML = 70(TEBCT) + 40(IA) = 110 Acceptable MR = 30 ~ 110dBHL Effective MR = 45 ~ 95dBHL TL(Lt) = 70dBHL ML(Rt) = 30 + 15 = 45dBHL
예제 1) ML(Rt) TL(Lt) Response 45 70 Y 55 70 Y 65 70 Y Masking range : 45 ~ 65dBHL Masked ACT : 70 dBHL
예제 2) ML(Rt) TL(Lt) Response 45 70 Y 55 70 N 55 75 Y 65 75 Y 75 75 Y Masking range : 55 ~ 75dBHL Masked ACT : 75dBHL
예제 3) ML(Rt) TL(Lt) Response 45 70 N 45 75 N 45 80 N 45 85 N 45 90 Y (Undermasking) Undermasking일 경우 새로운 Masking Level을 구한다. *Test Level이 90일 경우 최소 Masking Level은 90(TL) - 40(IA) = 50인데 현재 Masking Level은 45이다. 따라서 새로운 ML은 50 + 15 = 65dBHL이다 65 80 Y 65 80 Y 75 80 Y Masking range : 55 ~ 75dBHL Masked ACT : 80dBHL
(2) 골도 검사시 Masking
① 차폐 시기 : TE BCT와 TE ACT가 10dB이상 차이나면 NTE를 Masking 한다.
② Masking Range 최소 Masking Level = TE BCT + OE 또는 NTE ABG 중 큰 값 최대 Masking Level = TE BCT + IA Acceptable MR : 최소 Masking Level ~ 최대 Masking Level 유효 Masking Range : 최소 ML + 15 ~ 최대 ML -15까지
③ 최초 Test Level = TE BCT 최초 Masking Level = TE BCT + OE 또는 NTE ABG중 큰값 + 15(safety value)
④ 반응 ○ : Masking Level 5 또는 10dB씩 상승. 반응 × : Test Level 5dB씩 상승
⑤ 동일 TL에서 세 번 연속 반응(plateau)하면 masked BCT이다. *Masking Range는 TL과 함께 변화한다.
<예제> 500Hz, Rt ACT = 25dBHL, Lt ACT = 50dBHL, Au BCT = 25dBHL 최소 ML = 25(TEBCT) + 15(OE) = 40 최대 ML = 25(TEBCT) + 40(IA) = 65 최초 TL(Lt) = 25dBHL 최초 ML(Rt) = 40(min) + 15(sv) = 55dBHL
예제1) ML(Rt) TL(Lt) Response 55 25 N | | | 55 45 Y(undermasking) *TL이 45일 때 최소 ML은 45 + 15(OE) = 60인데 현재 ML은 55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로운 Masking Level은 60 + 15(OE) = 75dBHL이다. 75 45 Y 80 45 Y 85 45 N Masking Range : 75 ~ 80dBHL Masked BCT = 45dBHL
(3) Masking Problems Undermasking : 차폐량이 부족하여 실제 역치보다 TE의 역치가 좋게 나타나는 경우 Overmasking : 잡음량이 과도하여 실제 역치보다 TE의 역치가 나쁘게 나타나는 경우 Masking Dilemma : 양측성 심한 전음성 난청의 경우 Bone masking시 ACT가 BCT보다 IA이 상 차이가 날 때 undermasking 이나 overmasking이 발생하여 Masking dilemma에 빠짐 Central Masking : Masking 과정에서 상올리브핵과 원심성신경의 상호작용으로 TE자극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심성 청신경 반응을 약화시킴으로써 검사 역치가 상승하는 현상 |
|
|
|
|
2. 어음 청력 검사 (Speech Audiometry)
어음은 비주기적인 복합음(전주파수를 합쳐서 소리를 내보냄)으로 일상적인 의사소통과정에서 사용된다. 어음청력검사는 이러한 어음을 사용하여 언어의 청취능력과 이해의 정도를 파악하여 다른 청력검사 결과와 함께 난청의 진단, 사회적응 능력의 평가, 보청기 착용의 지침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검사어음은 일반적으로 녹음된 Tape를 사용하거나 검사자의 육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육성을 사용할 경우 Volume unit meter(VU meter)를 통해 자극음의 강약을 조절한다.
1) 어음청취역취 (Speech reception threshold : SRT)
이음절 단어를 사용하여 검사어음에 대하여 50%바르게 응답하는 최소어음강도를 찾는 검사이다. 검사어음은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하는 단어를 이용하며 양음절 모두에 강도가 있는 양양격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표준음절표에 있는 단어를 사용한다.
검사방법
① ment
② 최초 Test Level : PTA + 20 ~ 30dB
③ 2음절 단어 제시
50%이상 반응 O : 10dB 하강
50%이상 반응 X : 5dB 상승
④ 50% 바르게 응답하는 최소가청역치를 구한다.
적용
PTA와 SRT는 같아야 하며 오차범위는 PTA ± 6dB (보통 10dB 내외)이다.
PTA와 SRT가 10dB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그 원인을 찾아본다.
2) 어음 명료도 검사 (Speech Discrimination Test : SDT, WRS)
어음명료도 검사는 단음절어(PB word)를 사용하여 어음의 청취 능력을 구하는 검사이다. 피검자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Level(MCL 또는 PTA + 35~40dB정도)에서 어음강도를 들려주고 이를 바르게 응답하는 비율을 구하는 것과 검사어음의 강도에 따른 어음명료도를 구하여 50%를 이해하는 50%명료도(PB50)과 가장 많이 이해하는 최대명료도(PBmax)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
검사어음
모든 단어 강도가 동일하게 발성되는 발성학적 동일음압단어(PB word)를 사용한다.
적용
병변의 판단과 보청기 상담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전음성 난청의 경우 강도가 세어질수록 80%이상(~100%)의 어음 명료도를 나타낸다. 감각신경성난청의 경우 0~100%까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청력손실이 심할수록 강도를 높여주어도 어음명료도가 더 이상 향상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청신경 종양과 같은 후미로성 난청의 경우 SDT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진다.
PTA에 비해서 SDT가 30%이하인 경우에는 speech process에 문제가 있는지 의심해 볼 수 있으며 acoustic reflex, ABR, CT를 통하여 후미로성 난청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SDT가 50%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보청기 효과가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3) MCL, UCL, DR
MCL(Most Comfortable Level 쾌적역치) : 피검자가 검사 어음에 대하여 편안하게 느 끼는 수준으로 일상대화나 검사어음을 들려주어 듣기에 편안한 수준을 구한다.
(어음청취역치+30~40dB)
UCL(Uncomfortable Level 불쾌역치) : 피검자가 검사어음에 대하여 불편하게 느끼는 수준으로 일상대화나 검사어음을 들려주어 불쾌감이나 압박감, 통증 등을 느끼는 수준을 구한다.
DR(Dynamic Range 가청범위) : 청력역동범위 UCL - SRT
3. 중이청력검사(Impedance Audiometry)
Admittance(Compliance, 들어갈려는 힘) - 중이에서 음향에너지를 계속 전달하려는 힘
Impedance(Resistance, 저항) - 음향에너지의 진행을 방해하는 모든 힘
immittance - admittance와 Impedance의 총칭
1) Tympanometry(고막운동성계측검사)
압력변화에 따른 고막 compliance변화를 연속적으로 그린 것
probe를 통하여 220~660Hz, 85dB SPL을 주고 고막에서 반사되는 음향에너지를
측정한다.
probe1 - 외이도의 압력조절 펌프와 연결
probe2 - 순음을 만들어 내는 신호 발생기와 연결
probe3 - 외이도의 음의 신호의 강도 측정)
*용어설명
ECV (Ear Canal Volume) : 외이도 용적
MEP (Middle Ear Presser) : 중이 압력
SC (Static Compliance) : peak치가 발생했을 때 고막의 운동에 의해 밀려 난 외이도 용적 (peak Y)
Grad(Gradiant) : 기울기
|
Peak Y(cc) |
ECV(cc) |
Tympanic Width(daPa) |
mean range(90%) |
mean range |
mean range | |
유소아 |
0.5 0.2~0.9 |
0.7 0.4~1.0 |
100 60~150 |
어른 |
0.8 0.3~1.4 |
1.1 0.6~1.5 |
80 50~110 |
A type - 정상 peak compliance 정점 : 압력이 -100 ~ 100 mmH2O사이에 위치
중이강 내의 상태가 정상임을 표시
Ad type - peak C : -100 ~ 100사이에 있으나 고막의 움직임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경우
이소골의 단절, 고막의 반흔성 천공
As type - peak C : -100 ~ 100사이
고막의 움직임이 감소(중이강의 mass, stiffness의 증가)
이소골의 유착, 고실 경화증 이경화증
B type - peak compliance가 보이지 않을 때 (수평 또는 궁형)
고막의 비후, 액체의 저류
C type - peak compliance 정점 : 압력이 -100mmH2O 이하
이관 폐쇄 등으로 중이강의 압력이 외이도의 압력 즉 대기압보다 낮을 때 관 찰
삼출성 중이염의 진행정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중이강 압력이 -100~-200daPa 범위에 있으면 C1형으로, -200daPa보다 낮으면 C2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D type - 굴곡이 최대 compliance를 중심으로 예리하게 표현
양 끝 정점간 압력차이가 적은 것
E type - 굴곡이 완만, 양 끝 정점간 압력차이가 크다.
이소골 불연속, Stape dectomy를 시술 받고 난 후 이소골 연쇄재건시 나타남
*주의사항
피검자의 귀에 꼭 맞는 probe 사용한다.
피검자의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피검자가 말하거나 침을 삼키지 말도록 해야 한다.
수평유지 - 방향유지
2) Reflex Test (acoustic reflex 등골근 반사 검사)
중이내로 강한음이 들어올 때 등골근이 달팽이관의 보호를 위해 반사 즉 수축하다는 원리를 이용한 검사방법으로 등골근의 수축의 결과를 고실 측정기로 측정한다.
검사방법
① 측정주파수 : 1000, 2000, 4000, 500Hz순서대로 검사 실시
70 ~ 90 dB HL정도 이상의 강한 소리를 연속 또는 단속 자극
* 반드시 Typanometry 검사를 한 후에 Reflex Test를 실시한다.
② 체적 감소가 관찰될 때까지 자극강도를 올려 주어 전체 체적의 1%(0.02cc)이상의 감소변화를 보이는 최소음 강도를 찾음
첫댓글 많은 공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