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 글입니다)
2~3년생 이하의 어린나무라면
뿌리 째 캐서 4~5월즈음에 옮겨심으면 됩니다. (남부지역은 2월~3월이 좋다고 함) 식목일이전까지
특별히 주의할 점은
옮겨심고나서 물을 꼭 주시고, 밑거름을 주셔야합니다. (봄에 식제시는 물을 충분하게 줄 것이며. 가을에 심는 것은 물을 주면 안된다고 함, 밑거름은 구덩이에 미리 주어서는 안되고 2일 후에 주라는 말도 있음) (화확비료를 주어서는 안됨)
좀 큰 감나무라면
옮겨심는 방법이 따로 있습니다. (욕심 같아선 좀 큰 감나무를 이식하고 싶음)
4~5월에 주로 옮겨심습니다. 이때가 생장이 가장 좋기 때문입니다.
나무 아랫부분의 지름x3배정도 크기로 뿌리를 파 내려가고
굵은 뿌리가 없다 싶을 정도만큼에 자르셔서
뿌리에 아이스크림 달린듯한 모양으로 만들어줍니다. (= 뿌리분)
캐낸 뿌리는 새끼줄이나 굵은 노끈으로 감고
옮겨심을 자리로 이동합니다.
뿌리분보다 1.5배 크고 깊게 판다음에
바닥에 밑거름을 깔아주고
뿌리분의 노끈을 풀어줍니다.
그리고 흙을 덮고 물을 줍니다.
바람에 나무가 쓰러질듯하면 지지대를 세워주고 뿌리가 내릴때까지 기다립니다.
이때 비료는 절대 주지마시길 바랍니다.

=좋은 감나무 묘목 선별법=
1-접목대목은 감나무접목 묘목보다 먹감나무 접목 묘목을 구입한다
2-접목 2년생으로 키는 1.5m 내외 밑둥은 어른 엄지손가락 정도의 튼튼한 묘목이 좋다
3-한묘목장에서 자라고 크기나 두께가 고른 것을 선별하여 구입한다
감나무 식재와 재배법



1-대봉감나무의 식재시기는 남부지방 기준으로 2월말에서 3월말 까지가 적절하다
2-2년생 감나무 묘목을 구입하여 줄기가 시작되는 부분부터 70cm~1m 정도에서
전정가위로 자른후 구덩이는 너무 깊게 파지 않는다
3-구덩이에 식재할때는 접목한 부분이 반드시 지상부에 드러나도록 묻어준다
4-물을 줄때는 뿌리부분까지 구멍을 뚫어 흠뻑 많이 주고 어느정도 물이
흡수되고 난뒤에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다독거려준다) 접목부분의
비닐을 풀러 준다. 접목부분이 땅에 묻히거나 물기가 많을시는
묘목 폐사의 주원인이 되므로 주의하고 식재이후에는 물을 주지 말아야 한다
5-식재간격은 30% 정도의 폐사율을 감안하여 최소 1.5m이상의 간격은 유지해 주어야 한다
6-전정과 관리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람
아래 내용은 종묘상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의견이니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대봉감나무 식재시기는 2월말에서 3월하순까지가 가장 적절합니다
10여년전만해도 4월5일경을 식목일로 정해서 나무식재의 최적기로 생각했지만
근래들어 지구온난화의 여파로인해 3월말경이면 감나무의 촉이트고 순이나는게
현실적인 실정입니다 촉이나고 물이오른 감나무 묘목을 이식할경우 생존활률은
50%도 되지않습니다 그러므로 땅이 해동되는 2월말에서 3월 중순경이 감나무묘목
식재시기로 최적기라 하겠습니다
남부,중부지방의 기온차를 감안하면 중부지방에선 3월 말일까지는 식재가
끝나야만 할것같습니다 /감나무묘목은 매우 민감한 묘목중에 한가지 품목입니다
심으시기 이전에 자세한 기술적인 문제부터 관리요령을 숙지하신후에
나무식재를 시작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또한 대봉감나무를 식재할 경우 수분수로 적합한 선사환감나무를
꼭 같이 심으시길 권장합니다 대봉감나무 접목은 보통 고염나무 실생묘목에
접목하는게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먹감나무묘목에 접목한 묘목이 유전학적으로
우성의 형질을 지니며 과실의 크기나 형질이 우수한편입니다
대봉감나무묘목 10주당 1그루정도는 수분수로 선사환감나무 묘목을
같이 심어 주셔야 과실의 크기가 우수해지고 착과율이 좋습니다
선사환감나무 묘목에 대한 자세한 자료는 아래 링크 참조바랍니다
http://kr.blog.yahoo.com/ssalisup/1
기타 자세한 기술적인 자료나 가격에 대한 정보는 아래 링크로 방문하십시요
참고로 현재 판매중인 대봉감나무 접목2년생 판매가격은 2,500원입니다
http://www.sjtree.com/감나무판매.htm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
|
감나무 묘목은 봄또는가을에 심으면 잘 살아요...
특별히 땅을 가리지도 않고요...
근데 나무가 빨리 자라라고 밑거름을 주시는분이 계신데 절대 거름을 주시면 안돼요...
열매가 결실을 못하고 다 떨어져 버려요...
감나무는 좀 메마른땅에 심는것이 좋아요...
결실기에는 절대 거름 주지 마시고 그냥 기다리세요...
그럼 심으신후 2~3년이면 결실을 보게 ?거예요...
그럼 감나무 잘 기르시길...
|

사진과 같이 떫은감사이에 사과 1개를 두고 밀폐 보관하면 홍시가 빨리 됩니다. 그래서 홍시가 된것 부터 골라드시면 됩니다
Q. 감나무를 기르고 싶은 분들을 위해 감나무의 종류와 재배 적지에 대해서..... 감은 크게 떫은 감과 단감으로 나눔니다. 우리가 기억하는 대부분의 감이 떫은 감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일본이 원산지로 고려시대부터 재배, 단감은 1900년 무렵에 일본을 통해 들어왔습니다 둥근 모양을 한 둥시나 납작한 반시는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나 대봉이라고 큰 감은 동해에 약하므로 경기도나 강원도, 그리고 충북과 경북의 산간지역은 재배할 수 없습니다 단감은 남부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합니다
Q. 좋은 감나무 묘목 고르기 묘목은 줄기와 뿌리부분을 잘 살펴보아 줄기에 탄저병이나 뿌리에 혹병이 생기지 않은 건강한 묘목을 구입하는데 묘목길이는 1.2m~1.5m 정도가 적당하며 굵기는 접목부위 30cm지점이 1cm정도가 알맞으며 잔 뿌리가 많은 것이 좋다
Q. 심는 시기 감 나무를 심는 시기는 가을심기와 봄심기가 있는데 낙엽후 땅이 얼기 전인 가을 심기가 활착률이 높고 생육도 양호하나 추운 지방 즉 경기북부나 강원도, 산간지대에서는 동해피해가 우려되므로 이른봄 얼음이 풀림과 동시에 일찍 심는것이 유리하다
Q. 나무 심는 거리와 방법 나무 심는 거리는 골간 6m와 열간 3m가 좋으며 구덩이를 크게 파서 뿌리를 묻은 다음 물을 10ℓ이상주고 물이 스며든 다음 나머지를 덮어주는데 접목 부위 아래까지만 흙을 덮어준다. 이때에 발로 밟으면 안되며 심으며 가볍게 두드려주면 된다. 그리고 검은 비닐이나 볏짚으로 나무주위를 덮어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Q. 나무 심은 후에 특별히 해야 할 일과 키우다가 옮기는 것은 가능한지요 감나무는 묘?을 심으면 지상 약 1m되는 곳에 지주를 세워 바람에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키우다가 다시 옮겨 심으면 가는 뿌리가 적어서 잘 살지 못하므로 주의해야 요한다.
Q. 감나무는 옛적부터 우리와 친한 과일나무로 최근에는 관상수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땅이 없는 분들을 위해 아파트 베란다나 실내에서 재배할수 있는 방법은
실내에서 화분을 이용하면 비교적 키가 작은 단감의 재배가 가능하다 대형 건물 로비나 아파트 베란다에 60 ℓ용량의 화분에 산흙과 퇴비를 1:2의 비율로 알맞게 섞어 넣은 다음 접목한 1~2년생 단감나무를 심어서 생육기간에는 7~10일 간격으로 1.5ℓ 정도의 물을 주면 가을이면 고향의 정취를 좁은 공간에서도 느낄수 있을 것입니다. |
[판매중] 매실 대봉 단감 석류 봄식수 주문받습니더,,, |
안녕하세요, 감낭골농원에 예덕나무니더,
2009년도 벌써 2월이네요,
올해는 작년보다 봄이 일찌기 온것 같습니다.
여기는 땅이 녹아서 나무 심기에 아주 좋습니다


 유실수 매실 대봉감 심는 방법,,,
 두뼘 위치에 전정가위로 자름니다,

 자른뒤 접붙인부위의 비닐을 떼어냅니다.

 맨 마지막 뿌리는 잘라줍니다. 그리고 지나치게 긴뿌리도 조금 잘라주는게 좋습니다.


땅에 심을때는 비닐을 떼어낸 자리만큼 묻어줍니다.
| 여기 회원모두들 가을에 감나무 매실등을 심으시는데 가을에 심으면 동해입지않나요? 전 봄에 심을가 했는데 가을에 심는 이유가 있으십니까?? 초보라 아무것도 알지 못해서 그러니 자세한 정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
우리 대경횐님들중 감나무 도사님들이 많은것 같아요
제가 대봉감 묘목2년생 15주 주문해놓은 상태입니다.
어떻게 지금날씨에 심으면 잘자랄까요?
제작년엔 10주를 봄에 심었는데 1주만 살고 나머진 모두 사망..
지금 좀 추운데 심고 짚으로 감싸주면 안얼어 죽을까요?
가을에 심는건 처음이라서
경험담이나 여러 의견 부탁합니다.
이번엔 성공하고 싶네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