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9
1098
1214경 1225경
1266경 1273 1300경 1321
1353
1472 1483 1509 1511 1513 |
아벨라르두스 출생(∼1142)
안셀무스(캔터버리) 『왜 신은 사람이 되었는가』
베이컨(로저) 출생(∼1294) 토마스 아퀴나스 출생(∼1274)
둔스 스코투스 출생(∼1308)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오캄(윌리엄) 출생(∼1349?) 단테 「신곡」
보카치오 「데카메론」
토마스 아 켐피스 『그리스도를 본받아』 루터 출생(∼1546) 칼뱅 출생(∼1564) 에라스무스 「치우신 예찬」 마키아벨리 『군주론』 | 873경
950
1007 1017 1020 1032 1037 1060 1069 1084
1107
1130 1139
1198
1440
1469 1472
| 알 킨디 죽음(786경∼ )
알·파라비 죽음(872∼)
구양수 출생(∼1072) 주염계 출생(∼1073) 장재 출생(∼1077) 정호 출생(∼1085) 이븐 시나 죽음(980∼) 구양수 등 『신당서』제작 왕안석의 개혁 시작 사마광 『자치통감』
정이 죽음(1033∼)
주희 출생(∼1200) 육구연 출생(∼1192)
이븐 루시드 죽음(1126∼)
카빌 출생(∼1518)
나나쿠 출생(∼1538) 왕수인 출생(∼1528)
| 879
885
892 898 899 911
918 943 958 960
983
992 1055 1058 1083 1086
1090 1097
1127 1129 1131 1134 1145 1190 1196 1198 1200
1226 1234
1236 1237 1275 1286 1314
1335 1348 1356
1366 1367 1394
1395
1397 1398 1400 1401 1405 1412 1415 1417
1420 1429 1432 1446 1456 1497 | 최치원 「토황소격문」 승려 도헌, 희양산 선파를 개창 최치원, 당에서 귀국 『계원필경』 후삼국 시대( 892년-936년) 『법장화 상전』『난랑비 서문』 풍수지리설의 개조 도선 죽음 최치원 '시무10 여조' 상소, 아찬이 됨 승려 이엄, 당에서 귀국. 수미산파를 개설. 선종 9산의 성립 고려시대 (918년-1392년) 고려 태조 처음으로 '팔관회' 를 설함 태조, '훈요 10조' 광종 쌍기의 건으로 과거제 실시 승려 제관 송나라에 건너감. 『천태4교의』저술 성종, 송에서 가져온 「태묘당도」안치, 문묘 설치 성종, 국자감 설치 최충 사숙을 개설 『상한론』등 중국의 서(書) 8종 간행 송 대장경을 맞아 개국사에 안치 의천, 송에서 귀국. 불전 및 경서 1천권을 바침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두고 속장경을 간행 의천 『신편제종교장총록』3권 편수 의천 『대각국사문집』『원종문류』『원돈성불론』, 화폐주조를 건의 인종 '유신지교15조' 반포 묘청, 칭제건원을 청함 백수한 「천지인 삼정사의장」상소 묘청, 정지상, 백수한 등 서경천도론 이자겸의 난과 서경 천도 운동 김부식 『삼국사기』 지눌 『정혜결사문』발표 최충헌 '봉사 10조' 최충헌 사노 만적의 난 지눌 『간화 결의론』『목우자 수심결』 혜심 『선문염송집』출간 금속활자를 사용 『고금상정예문』50권 간행 이규보 『동국이상국집』『백운집』 태조(1335년 - 1408년)조선을 건국한 초대 국왕 충렬왕, 국자감을 국학으로 개칭 안향, 주자학 도입 충선왕, 연경에서 '만권당' 설치 태종(1367년 -1422년 )조선의 제3대 임금 이제현 『역옹패설』『익재집』 이색, 연경에서 성리학을 연구 공민왕, 보우를 왕사에 책봉, 원융부를 설치 세종( 1397년- 1450년)조선의 제4대 국왕 신돈, 전민변정도감 설치 조선 제3대 국왕 태종이 즉위함 조선 태종즉위, 신문고 설치 하윤, 무악신도설을 주장 태조, 음양산정도감을 설치 정도전 『불씨잡변』『조선경국전』 세조(1417년 -1468년)조선의 제7대 국왕 세종대왕이 집현전을 설치 정도전 등 『고려사』『경국6전』『경제문감』 성균관 설립, 태조 『향헌 41조』 권근 『예기천견록』, 한양 천도 권근 등 『동국사략』 김첨 『성수경』, 변계량 『춘정집』 세종 종학 설립. 정초 등 『농사직설』 정인지 등 『칠정산내편』 설순 등 『삼강행실도』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 조선 사육신사건 무오사화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