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회의 고향에서 성 이냐시오 따라 회심의 기도를
예수회를 설립한 스페인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1491~1556년, 그림)는 그보다 3세기 앞서 탁발수도회를 세운 성 프란치스코(1181~1226년)와 참으로 많이 닮았다.
신분은 달랐으나 어릴 적부터 유복하게 자라 호기로운 생활을 했다. 둘은 기사가 되겠다는 꿈을 안고 전투에 참가했다가 부상을 입고 포로가 되어 감옥생활을 하다 풀려나 요양을 하면서 성경과 성인전을 읽고 회심을 했다.
또 둘은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는 삶의 방식으로 자발적 가난을 선택했고 기도와 관상을 통해 탁월한 신비가가 됐다.
아울러 둘은 세상 모든 이방인에게 복음을 선포하기 위해 수도회를 설립했고, 깊은 성체 신심과 교회 가르침에 대한 충실한 순명으로 교회 쇄신을 이끌었다.
물질만능주의와 반생명의 문화가 맘몬으로 자리한 오늘날 예수회 출신 프란치스코 교황이 쇄신과 개혁의 십자가를 진 것은 분명 예사롭지 않다.
예수님의 벗들은 이곳에서 성 이냐시오의 ‘영신수련’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을 도모한다.
이 영적 성장을 바탕으로 그들은 가난과 순명, 정결의 전통적 수도생활 양식과 함께 그리스도의 지상 대리자인 교황과 결속해 신앙의 증거자로 파견되고 있다.
또 “한 번에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이곳 영성센터는 연중 예약이 꽉 차 있다”며 “이곳에서 양성된 예수님의 벗들은 그리스도와 일치하여 세상을 위해 특히 사회적 약자들을 위해 봉사하고 있다”고 자랑스러워 했다.
특히 성인이 회심했던 방에는 아기 예수를 안은 성모 마리아의 환시를 보는 이냐시오 성상이 있는데 그 강렬한 눈빛이 순례자들의 회개를 이끌고 있다.
총고해를 한 그는 입고 있던 화려하고 값비싼 옷을 가난한 이들에게 모두 벗어주고 거친 감자포대로 만든 넝마자루를 걸쳤다.
그리고 명예와 권위를 상징하는 장검과 단검을 ‘몬세라트의 검은 성모’ 제단에 봉헌하고 그리스도의 충실한 종이 될 것임을 서약했다.
이냐시오 영성의 두 기둥인 ‘가난’과 ‘겸손’은 만레사 동굴에서 완성되지만 아마도 그 시작은 죽음의 순례길을 체험하고 총고해를 한 몬세라트 수도원에서의 단련 시기일 것이다.
전설에 따르면, 이 검은 성모상은 성 루카가 조각한 것으로 베드로 사도가 스페인에 가져왔다고 한다. 검은 성모상은 무어인 지배 때 동굴 속에 감춰져 있다가 880년경에 우연히 발견됐다.
이후 12세기 들어 이 수도원에서 성모 발현과 기적이 있다는 소식이 퍼져 모여들기 시작해 오늘날까지 끊이지 않는 순례자들이 이냐시오 성인처럼 검은 성모상 앞에서 ‘성모의 기사’가 되길 간구하고 있다.
이 시기 그는 관상과 내적 쇄신을 통해 은총의 지배를 받는 속량된 몸으로 그리스도의 새로운 인간(로마 6장 참조)으로 태어났다.
때때로 나무를 깎은 탁발 그릇을 들고 문전걸식으로 생명의 끈을 유지한 채 추위를 견디며 어둡고 습한 동굴 안에서 하느님과의 만남에 전념했다.
한때는 어두운 밤에 갇힌 자신의 영에서 벗어나지 못해 자살을 생각할 만큼 우울증에 빠지기도 했다. 그래서 그의 영신수련에는 기도방법뿐 아니라 삶의 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지력과 의지의 수련법도 어우러져 있다.
이냐시오 성인이 1년간 은수했던 동굴 경당 입구에는 그가 사용했던 500년 가까이 된 나무 탁발 그릇이 전시돼 있다.
경당 안에는 청동으로 만든 작은 원형 제대와 성체조배를 위한 감실이 있다. 제단 벽에는 몬세라트 산을 바라보면서 「영신수련」의 초안이 되는 수기를 적고 있는 이냐시오 부조상이 꾸며져 있다. |
출처: 평화와 착함 원문보기 글쓴이: 착한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