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돗개와 관련이 있거나 비슷한 외모를 가진 개들의 성격과 기질을 알아보았다.
주인에게 충성하고 가족에게는 온순하며 타인에게는 관심이 없거나 위협적인 성격은
티벳, 몽골, 일본, 베트남개와 진돗개가 모두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리하면서 한편으로는 사나운 것도 비슷한 것 같다.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자주성이 언급된 견종은 방카르가 유일하지만, 진돗개의 성품이
자주성이 있다고 하는 설도 있으므로 흥미로운 일이다.
아키타가 애교가 없고 노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과 시바견이 화가 나면 돌진하는 것이
특이하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진돗개와 티베탄 마스티프 계열, 이스트 라이카 그리고 일본개와
베트남개의 성격이 모두 비슷하다는 것이다.
다만, 진돗개의 경우 일본개의 표준을 차용한 사실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일본개의 기질을
좋은 것으로 생각하고 차용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모리 다메조 교수가 '진돗개는 순하다'라고 언급한 것에서 유추할 수 있다
일본개 보다는 베트남 박하개의 기질이 더 나아 보인다.
박하개의 기질에 방카르의 자주성을 갖춘 개라면 매우 바람직한 개인 것 같다.
(박하개의 기질)
주인에게 매우 충성스럽고 가족과 아이들에게 아주 친근하고 다정다감하며 애정 어린 개이다.
이 개는 차분한 기질을 가지고 있으며, 영리하고 지능적이어서 훈련하기가 쉽고, 주인의 지시를
매우 잘 따른다. 또한 자기 영역에 대한 세력권 주장이 대단히 강한 개이기 때문에 수상쩍거나
낯선 사람들을 대할 때, 위협적으로 짖으면서 경고하고, 훌륭한 경비견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견종 | 성격 및 기질 | |
티베탄 마스티프 | 티베탄 마스티프(Tibetan Mastiff, 藏獒)는 사납고 방어적이나 가족에게는 온순하다. 영리하고 독립적이며 자신의 구역에 대한 방어본능이 뛰어나 경비견, 번견으로 적합하다. 또한 죽을 때까지 한 명의 주인만 섬기는 것도 특징이다. 수명은 10~14년 정도이며 성장기가 긴 편이다. 보통 낮에 자는 시간이 많으며 밤이 되면 활동하기 시작한다. 운동량이 많아 실외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그들의 사납고 방어적인 본능에도 불구하고, 이 개들은 그들 자신의 가족에게는 온순한다. 그들의 고향에서는 아주 작은 어린애일지라도 이 개를 쉽게 부릴 수 있다. 티벳탄 마스티프들은 그들의 자연적인 산악지역의 혹독한 기온에도 저항할 수 있도록 사육되어졌다. 2011년에는 국제애견협회 컨넬클럽(Kennel Club)에서 '지구상 가장 비싼 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출처] 티베탄 마스티프(Tibetan Mastiff, 藏獒)|작성자 버들이아빠 | |
방카르 | 기질(Temperament, 氣質) 방카르(Bankhar)는 대부분의 가축 보호견(Livestock Guardian dog, 家畜 保護犬)들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해서 결정하는 자주성이 있는 경향이 있다. 이 개들은 주인에게 매우 충성하며 가족들의 생명과 삶을 함께 하며 주위의 위험(Hazard, 危險)으로부터 강력하게 보호한다. 삭막하고 광활한 지역에서 맹수와 같은 포식동물(Predator, 捕食動物)들을 쫒는 개처럼 보이지는 않지만, 맹수들이 물러서지 않거나 자기 영역을 떠나지 않으면 주저하지 않고 포식동물(Predator, 捕食動物)들을 공격할 것이다. 방카르(Bankhar)는 매우 큰 체격(Build, 體格)과 풍기는 외모(Appearance, 外貌) 로 다소 위협(Intimidation, 威脅)을 느낄 수 있지만, 일단 접촉하면서 스스럼없는 사이가 되면 보기와는 달리 사람들에게는 온화(Gentle, 溫和)하고 다정(Kind, 多情)하며 공격(Attack, 攻擊)을 하지 않는다. 방카르(Bankhar)는 주인이나 가족들처럼 신뢰하는 사람과 함께 동반하지 않으면 낯선 사람들에게 접근하지 않으려 한다. 어릴 때부터 사람들과 사교성이 길러진 개들은 다른 애완견들과 마찬가지로 거리낌없이 따르고 신뢰할 수 있다. [출처] 방카르 도그(Bankhar Dog)|작성자 버들이아빠 | |
박하개 | 박하 셰퍼드 도그(Bac Ha Shepherd Dog)는 주인에게 매우 충성(Loyal, 忠誠)스럽고 가족(Family, 家族)과 아이들에게 아주 친근(Friendly, 親近)하고 다정다감(Kindheartedness, 多情多感)하며 애정(Affectionate, 愛情) 어린 개이다. 이 개는 차분(Calm, 沈着)한 기질(Temperament, 氣質)을 가지고 있으며, 영리하고 지능적(Intelligent, 知能的)이어서 훈련(Train, 訓練)하기가 쉽고, 주인(Owner, 主人)의 지시를 매우 잘 따른다. 또한 자기 영역에 대한 세력권 주장(Territorial, 勢力圈主張)이 대단히 강한 개이기 때문에 수상(Suspicious, 殊常)쩍거나 낯선 사람들(Strangers, 外部人)을 대할 때, 위협적(Threatening, 威脅的)으로 짖으면서 경고하고, 훌륭한 경비견(Guard Dog, 警備犬)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어린 강아지 때부터 조기 사회화(Early Socialization, 早期社會化)를 시켜주면, 어린 아이들이나 애완동물(Pets, 愛玩動物)들과 시간을 보낼 때 안전(Safety, 安全)하고 감독(Supervise, 監督)을 덜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출처] 박하 셰퍼드 도그(Bac Ha Shepherd Dog)|작성자 버들이아빠 | |
인도차이나 딩고 | 인도차이나 딩고(Indochina Dingos)는 주인(Owner, 主人)에게 매우 충성(Loyal, 忠誠)스럽고 또한 가족(Family, 家族)에게는 다정(Affectionate, 多情)하고 친근(Friendly, 親近)하다. 이 개들은 아주 영리하고 지혜(Wise, 智慧)로우며, 그 성격(Personality, 性格)이 난폭(Vicious, 亂暴)하고 잔혹(Cruel, 殘酷)하다. 이 개들은 베트남(Vietnam)의 소수 민족집단(Ethnic Minority, 少數民族集團)의 사람들에 의해 길러졌으며, 주택(House, 住宅)을 감시(Watch, 監視)하거나 또는 사냥(Hunting, 獸獵)을 한다. 이 품종은 자기 영역에 대한 세력권 주장(Territorial, 勢力圈主張)이 대단히 강한 개이기 때문에 수상(Suspicious, 殊常)쩍거나 낯선 사람들(Strangers, 外部人)을 대할 때, 위협적(Threatening, 威脅的)으로 짖으면서 경고(Warning, 警告)하고, 훌륭한 경비견(Guard Dog, 警備犬)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출처] 인도차이나 딩고(Indochina Dingo)|작성자 버들이아빠 | |
흐몽개 | 흐몽 숏테일 도그(H'mong Short-tail Dog)는 주인(Owners, 主人)에게 매우 충성(Loyal, 忠誠)스럽고 가족(Family, 家族)과 아이들에게 아주 친근(Friendly, 親近)하고 다정다감(Kindheartedness, 多情多感)하다. 자기 영역에 대한 세력권 주장(Territorial, 勢力圈主張)이 대단히 강한 개이기 때문에 수상(Suspicious, 殊常)쩍거나 낯선 사람들(Strangers, 外部人)을 대할 때, 위협적(Threatening, 威脅的)으로 짖으면서 경고하고, 훌륭한 경비견(Guard Dog, 警備犬)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어린 강아지 때부터 조기 사회화(Early Socialization, 早期社會化)를 시켜야 한다. 한편, 이 개들은 고양이(Cats, 猫)에 대해 깊은 증오심(Hatred, 憎惡心)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이 마주치는 모든 것을 죽일 것이라고 경고(Warning, 警告)한다. 흐몽 도그(H'mong Dog)를 애완동물(Pets, 愛玩動物)로 키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명심해야 할 점이다. [출처] 흐몽 숏테일 도그(H'mong Short-tail Dog)|작성자 버들이아빠 | |
아키타 | 아키타(Akita, 秋田犬)는 모든 동물에게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고, 사람이나 그 밖의 모든 침입자들로부터 그의 영역을 지킨다. 그러나, 가족들에게는 무척 친절하다. 일본인들은 말하기를, “아키타(Akita, 秋田犬)는 매우 부드럽고 동시에 강인한 면도 지니고 있다.”고 얘기한다. 아키타(Akita, 秋田犬)는 권태감과 실수를 하지 않도록 충분한 운동을 시켜주어 남아있는 에너지를 소비시켜 주어야 한다. 아키타(Akita, 秋田犬)는 고통스럽고 또한 가혹한 기후환경에도 곧잘 견뎌낸다. 또한 아키타(Akita, 秋田犬)는 의 기질은 고대 일본인의 기질을 나타낸다. 즉 용감하고 충실하며 부드러운 본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주인에게 친절하고 호의적이다. 아키타(Akita, 秋田犬)는 두려움이 없고 사냥에 능숙하며,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 사람에게 호의적이며 기억력이 좋고 협동심이 강한 반면, 애교가 없고 노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사냥개의 본성이 나타나기 전에 어려서부터 엄격한 훈련을 시키면 성견이 된 뒤에 훈련 효과가 나타난다. 하루 평균 30~40분 정도 운동을 시켜야 하고, 물을 많이 주면 몸매가 풀어져 좋지 않다. 일본인들은 아키타(Akita, 秋田犬)에 대하여 황구보다는 백구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아키타(Akita, 秋田犬)는 대형견이므로 수렵용·경비용으로 많이 사육하며, 평균 수명은 10~14년이다. [출처] 아키타(Akita, 秋田犬)|작성자 버들이아빠 | |
카이견 | 카이 켄(Kai Ken)의 성격은 주인에게 충실하며 독립심이 강한 개로 주인에게 평생을 바칠 만큼 충성심이 깊지만, 그 이외의 사람에게는 관심이 없다. 움직임이 매우 빨라서 거친 산길도 가볍게 뚫고 달리는 뛰어난 운동능력을 지녔다. 다른 어떤 견종보다도 경계심이 강해서 일반 가정에서 집을 지키는 개로도 믿음직스러운 파트너가 된다. 원래는 일본 아키타현 지방의 사냥꾼들이 사냥에 이용하던 토종견으로 곰 또는 사슴 사냥에서 활약하던 사냥개이다. 한사람에게만 복종하는 개로 고집이 세고, 제멋대로인 이 개는 일본견 중에서 가장 사람의 말을 안 듣는 개이다. [출처] 카이 켄(Kai Ken) |작성자 버들이아빠 | |
기주견 | 기슈 켄(Kishu Ken)의 성격은 온순하고 소박하지만 품위가 느껴진다. 주인에게 순종적이며 대단히 지구력이 강하다. 가정견으로서 개량되어 얌전하지만 사냥개로서의 야성미가 남아 있어 거친 성질을 나타낼 때도 있다. 기르기 위해서는 꽤 넓은 공간과 운동이 필요하다. 때로는 사냥개다운 거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헛짖음이 없고 주인에게는 순종하나, 낯선 사람에게 경계심이 강하므로 덤벼들지 않도록 길들여야 한다. 사냥을 하거나 놀 때도 어중간한 것을 싫어하여 적당하게 넘기는 주인을 싫어한다. 충분한 운동으로 튼튼한 체력을 유지시켜줘야 한다. 수명은 11~13년이다. [출처] 기슈 켄(Kishu Ken, 紀州犬)|작성자 버들이아빠 | |
홋카이도견 | 홋카이도 도그(Hokkaido Dog, 北海道犬)의 성격은 용맹스럽고 과감하며 인내심이 강하다. 주인에게 순종하며, 걸음걸이는 경쾌하고 탄력적으로 걷는다. 시각·청각·후각 등 모든 감각이 발달했고, 특히 추운 지방의 눈 속에서도 후각이 뛰어나다. 사냥개답게 사나우며, 주인에게 매우 충실해 주위를 경계하는 편이다. 방향감각과 귀소본능이 뛰어나다. 이 개는 일본에서 TV 광고 덕분에 유명해졌지만, 지금도 사냥개의 기질을 그래로 간직하고 있다. 주인과 가족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목숨까지 던질 만큼 충성심이 강한 견종이다. 참을성이 많고 의지가 강하다. 하지만 결코 가벼운 마음으로 키울 수 있는 견종은 아니다. 운동량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매일 만족할 만큼 산책시키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산책은 운동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을 위해서도 중요하며, 다른 개와 사람을 만나서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아침 저녁 하루에 2번, 적어도 30분씩 산책을 시켜주면 좋고, 산책하면서 가볍게 뛰는 것도 좋다. 홋카이도 도그는 주인에게 충실해서 다른 사람에게는 절대 애교를 부리지 않으며, 주인에게 접근하는 사람이나 다른 개에게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으므로 어릴 때부터 사회성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 개는 반려견으로 키워본 경험이 많은 사람이 키우는 것이 좋으며, 초보자가 키우기에는 까다로운 견종이다. [출처] 홋카이도 도그(Hokkaido Dog, 北海道犬) |작성자 버들이아빠 | |
시코쿠견 | 시코쿠 켄(Shikoku Ken)의 성격은 매우 거친 편이며 활동적이다. 사냥개답게 시각·후각·청각이 모두 뛰어나고 경계심이 많으며 고집이 세다. 주인에게는 충성을 다하고 순종한다. 주인 이외에는 설령 가족일지라도 절대로 마음을 허락하지 않는다. 요즘 일반 반려견으로 키우는 종류는 성격이 상당히 부드럽게 바뀌었지만, 여전히 야성적인 면이 남아 있어서 일반 반려견과는 조금 다르다. 더위와 추위에 강하며, 이 개는 자기영역이기도 한 집에서는 인내심을 갖고 조용히 지낸다. 낯선 사람이 다가오면 꼬리를 흔드는 법이 없고, 방문객이 조심성 없이 다가섰다가는 공격을 당할 수도 있다. 시코쿠는 운동량이 많아서 상당히 오랜 시간 산책을 시켜줘야 한다. 산책 도중에 다른 개에게 싸움을 걸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주인 이외에는 이 견종을 훈련시킬 수 없다. 어릴 때부터 신뢰관계를 맺고 기초적인 훈련부터 시작한다. 처음에는 완벽하게 해내지 못하더라도 절대로 야단쳐서는 안되고, 조금이라도 성공하면 칭찬해주어야 한다. 중요한 것은 계속해서 반복학습을 하는 것이다. 수명은 11~13년이다. [출처] 시코쿠 켄(Shikoku Ken, 四国犬) |작성자 버들이아빠 | |
시바견 | 시바 이누(Shiba Inu)는 성격이 명랑하고 활발하다. 행동이 민첩하고 영리하며 감각이 예민해서 사냥개로 이용되었다. 일단 화가 나거나 어떤 상황에서는 앞뒤 안 가리고 돌진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주인에게 충실하면서 경계심이 강하고 귀소본능이 강해서 집 지키는 개로도 알맞다. 추위에도 잘 견디고 지구력이 강해 밖에서 기르기에 좋다. 또한 이개는 논포스팅 그룹(Non-sporting group)의 가정견으므로 일반 가정에서 번견으로 키우기에도 좋다. 시바 이누는 결코 따라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민첩하다는 말이 있으므로 끈을 매어서 데리고 달리는 것이 좋다. 이들은 깔끔한 면에서는 고양이 같고, 낯선 사람에게는 쌀쌀한 북방견의 기질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적 성격을 타고나므로 경비견으로 좋다. 가족들과는 잘 지내지만, 때론 다른 개들과 싸우기를 좋아 한다. 앞으로 이 개를 구입할 사람들은 시바의 성격을 이해하고, 한 마리를 완전히 소유하기 전에 길들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들은 크기에 비해 기운차고 강인하여 아이들의 좋은 놀이 상대가 된다. [출처] 시바 이누(Shiba Inu) |작성자 버들이아빠 | |
이스트 시베리안 라이카 | 이스트 시베리안 라이카(East Siberian Laika)는 주인에게 충실하고 조용한 성격이지만, 경계심이 강해서 낯선 사람을 보면 마음을 놓지 않고 위험한 순간에 적절하게 행동하므로 집 지키는 개로 적합하다. 평소에는 얌전하고 차분하며 온순해서 라이카 중에서도 키우기 쉽고, 도시생활에도 잘 적응한다. 상황판단이 좋은 편이며, 어느 정도의 사회성과 협조성을 가지고 있다. 수명은 12~15년이다. [출처] 이스트 시베리안 라이카(East Siberian Laika) |작성자 버들이아빠 | |
진돗개 | 진돗개(Jindo Dog, 珍島犬)는 주인에 대한 충성심과 복종심이 강하며 뛰어난 귀가성을 간직하고 있다. 진도개는 첫 정을 준 주인을 오랫동안 잊지 못해 강아지 때부터 기르지 않고 성견을 구입했을 경우 탈주사태가 종종 일어난다. 또한 대담하고 용맹스럽기로 이름이 높고 산 속에서 멧돼지 같은 맹수를 만나도 겁을 먹지 않고 덤벼든다. 야생동물을 물었을 때, 한 번 물면 놓지 않는 지독한 근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들끼리 싸울 때도 자신의 몸집보다 훨씬 큰 대형견종과 맞붙어 한치도 물러서지 않는다. 진돗개(Jindo Dog, 珍島犬)는 환경에 쉽게 적응하고 병이 없으며, 다루기 쉽고 품성이 훌륭하여 진도를 비롯한 한국 전역에서 사육이 가능한 개이다. 진도개의 품성으로는 주인에 대한 충성심, 귀가본능, 수렵본능, 청결성, 경계성 등을 꼽을 수 있다. 첫째, 주인에 대한 충성심 - 진도개는 한번 주인을 만나면 그 주인을 평생 동안 배반하지 않는 강직한 품성을 가졌다. 그래서 이미 성장한 진도개를 구입한 사람들은 그 개와 친숙해지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둘째, 뛰어난 귀가본능 - 진도개가 다른 지역으로 팔려갔다가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서 주인집으로 돌아온 사례는 허다하다. 그 사례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돌아온 백구’ 이야기이다. ‘돌아온 백구’ 이야기는 동화, 애니메이션, 광고 등으로 제작되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불러 일으켰다. 셋째, 수렵본능 - 진도개는 승부근성이 뛰어난 사냥개의 자질을 갖추고 있다. 그 자질은 수렵본능이다. 개의 수렵본능이란 개가 직접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노루와 토끼 등 야생동물을 사냥하는 본능적인 품성을 말한다. 이러한 품성이 강한 진도개는 뛰어난 후각과 지구력, 대담하고 용맹스러운 성격을 겸비하고 있는데다가 한번 추적한 짐승은 끝내 잡고 마는 등 근성이 매우 강하다. 진도개 고유의 능력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수렵성이다. 외국 사냥개와 달리 특별한 훈련을 거치지 않고도 수렵견으로서 뛰어난 자질을 발휘한다. 넷째, 청결성 - 진도개는 스스로 대소변을 가릴 줄 아는 청결성과 주인의 눈을 피해 음식을 훔쳐 먹지 않는 결벽성이 있다. 다섯째, 경계성 - 진도개는 주인에게는 순종하나, 타인에 대해 철저하게 경계심을 풀지 않아 도둑을 지키는 번견으로서도 손색이 없다. [출처] 진돗개(Jindo Dog, 珍島犬) |작성자 버들이아빠 |
베트남 박하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