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때 함께 가는 친구
어느 날, 왕이 한 사람에게 전령
을 보내어 즉시 대령할 것을 명령
했다.
그런데, 이 사람에게는 세 명의 친구가 있었다.
그는 첫 번째 친구를 가장 소중히 여기고 있어, 그 친구가 자기의 가장 좋은 친구라고 여기고 있었
다.
두 번째 친구 역시 사랑하고 있으
나 첫 번째 친구처럼 소중하게 여
기고 있지는 않았으며, 세 번째 친구도 친구이기는 했지만 별로 큰 관심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왕의 부름을 받자, 그는 자기가 어떤 나쁜 짓이라도 하여 벌을 받
는 것이 아닌가 하여 무서웠다.
그래서 세 명의 친구들에게 함께 가 달라고 부탁을 했다.
그는 먼저 제일 소중히 여기고 있
는 친구에게 함께 가 줄 수 없겠
느냐고 부탁했지만, 그 친구는 아
무 이유도 말하지 않고 거절했다.
그래서 두 번째 친구에게 부탁하
였더니, 궁전 문 앞까지는 함께 가 줄 수 있지만 그 이상은 갈 수 없다고 거절하였다.
다음 세 번째 친구에게 부탁하자.
"그러지, 내가 함께 가주겠네, 자
네는 아무런 나쁜 짓도 하지 않았
으니 조금도 두려워할 것이 없네,
내가 함께 가서 임금님께 잘 말씀
드려 주겠네."하고 쾌히 응해 주
었다.
왜 세 명의 친구들은 각기 그렇게 말했을까?
첫 번째 친구란 곧 재산을 말하는 것이다.
사람이 아무리 돈을 소중히 여기
고 사랑하더라도 죽을 때에는 그
대로 남겨두고 가야하는 것이다.
두 번째 친구란 친척을 말하는 것
이다.
친척은 무덤까지도 따라가 주지
만 그를 그곳에 혼자 남겨두고 돌
아가 버린다.
세 번째 친구는 '즉' 선행을 말하
는 것이다.
선행은, 평소에는 별로 눈에 띄지 않지만 죽은 뒤에는 영원히 그와 함께 남아 있기 마련이다.
이 이야기는 탈무드에 나오는 내
용으로, 사람이 죽어서 저승에 갈 때 끝까지 함께 동행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조용히 생
각하게 하는 내용이라 소개했습
니다.
사람이 범부의 눈으로 보면 죽어
서 저승 갈 때 끝까지 함께 동행 할 수 있는 이는 아무도 없습니
다.
사람은 홀로 왔다가 홀로 가는 인
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범부의 눈이 아닌 성현의 눈으로 보면, 죽어서 저승을 갈때
까지 끝까지 동행하는 것은 그렇
게 애지중지하게 아끼던 재산도 아니고, 사랑하는 가족과 친척도 아닌 바로 선행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선행은 사람과 더불어 영
생을 함께 동행하는 것이니, 살아
가면서 선행을 그 무엇보다도 중
요시 여기고 많이 베풀며 살라는 말씀입니다.
정산 송규종사님께서는 그의 법
어 생사편 9장에서 "열반을 앞두
고 갖추어야 할 보물 세 가지가 있나니, 하나는 공덕이요, 둘은 상생의 선연이요, 셋은 청정한 일
념인 바,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청정 일념이니라.
아무리 공덕을 쌓고 선연을 맺었
다 하더라도 평소에 공부 없는 사
람은 이것이 다 아상이나 착심의 자료로 화하기 쉽나니, 공수래 공
수거(空手來空手去)의 원리를 철저히 깨달아 최후 일념을 청정
하게 하는 것이 제일 큰 보배가 아니고 무엇이리요."하였습니다.
즉, 평소에 베풀었던 선행인 공덕
과 상생의 선연, 청정일념이 저승 갈 때 끝까지 동행하는 보물과 같
은 소중한 친구인데 그 중에서 가
장 중요한 친구는 청정일념으로,
평소에 공덕을 많이 쌓고 선연을 많이 맺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한 생각을 청정하게 하는 공부니 그 공부에 더욱 더 지극정성으로 매진하라
는 부촉입니다.
한 해 동안 나는 얼마나 선행을 쌓아서 공덕을 베풀었는가, 한 해 동안 나는 얼마나 상생의 선연을 많이 맺고 살아왔는가, 한 해 동
안 나는 얼마나 지극정성으로 한 생각을 조촐하게 맑고 깨끗하게 밝히기에 정성을 다해왔는가를 조용히 되돌아보면서 우리의 인
생을 뒤돌아 보면서 남은 시간 귀
하고 값지게 보내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하루 하루 열심히 살아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