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간 이중 맹검 연구 결과 (1991-2001) | |||||
대상자 3,000명(24-44세) |
1군 |
2군 |
3군 |
4군 |
5군 |
|
518명 |
629명 |
58명 |
690명 |
611명 |
칼슘 1일 복용량 (mg) |
563 |
749 |
930 |
1180 |
1563 |
증후군 발병위험 율 |
1 |
0.95 |
0.90 |
0.84 |
0.80 |
|
|
|
|
|
|
Vit-D 1일 복용량 (IU) |
112 |
203 |
332 |
483 |
706 |
증후군 발병 위험 율 |
1 |
1.05 |
0.91 |
0.88 |
0.69 |
칼슘 많이 복용할수록
칼슘이 많이 함유된 우유 같은 식품을 섭취하거나
칼슘 제제를 복용하던지 간에
칼슘 복용량이 많은 자일수록
월경전 증후군 발생 예방율이 높아진다
[그림] 성호르몬 스테로이드 구조를 지닌 비타민-D
비타민-D 많이 복용할수록
비타민-D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거나
비타민-D 제제를 복용하던지 간에
비타민-D 복용량이 많은 자 일수록
월경전 증후군 발생 예방율이 높아 진다
증상 심한 자일수록
월경전 증후군이 심한 여인일수록
혈중 칼슘 농도가 낮고
혈중 비타민-D 농도가 낮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었다
그러나 칼슘과 비타민-D를 복용하면
월경전 증후군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지금까지 해명된 바가 없었다
[그림]
Calcitriol 혈중 농도 높아지면 월경전 증후군이 악화된다
Calcidiol (알파-Calcidol 예: 한올 알파본) 혈중 농도 높아지면 월경전 증후군 사라진다
성격을 달리한
두 종류의 활성 비타민-D
비타민-D에는 활성형이 두 종류가 있다
수산기(-OH)가 하나만 붙어 있는 알파 Calcid(i)ol (1-OH 형) 과
수산기(-OH)가 두 개가 붙어 있는 Calcitriol (1-OH,25-OH형) 이다
이번 연구에 의하면
월경전 증후군이 나타날 때는
Calcitriol 은 증가해 있고
Calcidol 은 감소되어 있음이 밝혀 젔다
Calcidiol 은 노인들의 허약한 다리에 백색 단백을 증가시켜
골절을 예방하는 작용이 있으나
Calcitriol 은 이러한 근육 강화 작용이 없음도 이미 밝혀진 바 있다
[그림] 여인들은 월경 기간 내내 호르몬계와 정신 신경계와 면역계가
월경 생리를 중심으로 조절된다.
칼슘과 비타민-D는 여인의 전반적 생리에 깊은 관계를 지니고 있음이
이번 보스톤 지역 첨단 의대 협력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이다
이는 월경전 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는
활성형 비타민-D 중에서도
알파 Calcidol (예: 알파본)을 복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월경전 증후군의 특징
월경 주기 14일-21일 사이 발현하여
월경 시작까지 약화된다
월경 시작하면 증상이 사라진다
증상은 무려 70 여가지
1) 감정 관련 (1) 화 잘 냄 (2) 불안 (3) 울어댐. (4) 우울 증상 (5) 공허감 (6) 기분 변화 (7) 슬퍼짐(Sad) (8) 긴장 2) 지적 증상 (9) 집중 곤란 (10) 사고력 약화 (11) 잘 안 되는 분 (12) 비 현실감 (13) 죄 책감 (14) 우유 부단 (15) 자기 비하 (16) 비판에 예민 (17) 편집광 (18) 자살 의도 3) 행동 증상 (19) 잘 안됨 (20) 의욕 상실 (21) 신경질적 (22) 공격적 (23) 안절부절 (24) 의도적 고립 (25) 자살 4) 뇌기능 증상 (26) 활력 감소 (27) 불면증 (28) 피로 (29) 과수면 (30) 혼수 5) 식욕관련 증상 (31) 식욕 감퇴 (32) 편식 (쵸코렛. 단것. 짠것) (33) 커피 많이 마심 (34) 자꾸 먹어댐 (35) 식욕 증가 (36) 체중 증가 6)자율신경 증상 (37) 변비 (38) 설사 (39) 구역, 구토 (40) 동계(심급박) (41) 발한 7) 중추신경 증상 (42) 현기증 (43) 환상 (44) 전신 경련 (45) 사지 경련 8) 피부 증상 (46) 여드름 (47) 머리칼: 까칠 (48) 머리칼: 기름기 (49) 습진 (50) 두드러기 (51) 소양증 9) 전해질 관련 (52) 복부 팽만 (53) 배뇨 감소 (54) 부종 (55) 갈증 10) 통증 관련 (56) 복통 (57) 요통 (59) 유방 통 (60) 관절 통 (61) 근육 경직 (62) 골반 통 11) Sex관련 (63) 성욕 감퇴 (64) 성욕 증가 12) 기타 (65) 복부 팽만 (66) 유방 팽만 (67) 헤르페스감염 (68) 비염
[근거]
June 13, 2005, Archieves of Internal Medcine
Vol. 165 No. 11 ; 165 (11): 1246 -1252
Calcium and Vitamin D Intake and Risk of Incident
Premenstrual Syndrome; Bertone-Johnson et al. :
Department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Amherst;
Division of Preventive of Medicine, Brigham and Women’s and
Departments of Nutrition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Department of and Gynecology, The University of Io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