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덕담(德談)의 힘 🍒
" 흥 해라! 흥 해! "
어떤 친구(親舊)가
'우리나라가 건국(建國)
70 여 년(餘 年)만에
세계(世界)에서 열번째로
잘 사는 나라가 된 것이
누구 덕(德)인 줄 아느냐?'는
퀴즈를 냈다.
대뜸, “누군 누구야,
박 대통령(朴大統領) 때문이지.
하는 사람.
“뭐니 뭐니 해도
우리나라 엄마들 치맛바람 땜에
나라가 이 만큼 잘 살게 된 것
아니겠어?”하는 사람.
“월남 파병(派兵)과
중동 근로자(中東 勤勞者)들
피와 땀의 공로(功勞)다.”하는 사람.
별(別)의 별(別) 답(答)이 다 나왔다.
그러나
퀴즈를 낸 분의 의도(意圖)는
처음부터 그런 답(答)을
원(願)했던 것이 아닌
모양(模樣)이다.
넌센스 퀴즈(nonsense quiz)
였던 것이다.
정답(正答)은
“옛날에 자식(子息)들에게
덕담(德談)을 많이 해준
우리네 어머니 덕(德)인기라."
엄마들이
코흘리개 자식(子息)들 코를 잡고
“흥 해라! 흥 해!”하고
하루에도 몇 번씩
덕담(德談)을 한 덕(德)에
이렇게 금시발복(今時發福)하여
나라가 흥(興)하게 된 거란 말이다.
모두들
박장대소(拍掌大笑)하며 웃었다.
그 시대(時代)를 살아온
대부분(大部分)의 70대들은
생 굴 같이 시퍼런 콧물을 코에
매달고 살았던
우리들의 대 여섯 살 때의
자화상(自畵像)을 기억(記憶)하고
있었기에 더 많이 웃었다.
콧물이 입에 까지 내려오면
혀로 빨아 먹거나,
아니면 손등으로 문질러 대어
겨울에는 손등이 터서 피가 날
정도(程度)였으니 말이다.
늘 종종 걸음 치던
우리들의 어머니는
그런 자식(子息)들과
어쩌다가 마주치면
다가와 치맛자락으로
코를 감싸 쥐시고
“흥 해라!, 흥 해!”하시며
코 풀기를 재촉하셨다.
하루에도 몇 번씩 어머니가
‘재복(財福)을 상징(象徵)한다는
코’를 잡고
“흥, 해라! 흥 해!”하며
축복(?)을 했으니,
그 애들이 자라서
이 나라를 이만큼 빨리
‘흥’하게 만들었다는 소리다.
우스개 소리지만 그럴듯한 말이다.
'말이 씨가 된다.'는
속담(俗談)이 있다.
같은 말을 계속(繼續)하면
그대로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생각은 말을 낳고
말이 자라서 행동(行動)이 된다.
행동(行動)은 사람의 운명(運命)을
결정(決定)하는 것이다.
같은 말을 자주 반복(反復)하면,
그것이
내가 남에게 하는 것이든,
남이 나에게 하는 것이든
그것은
예언자(豫言者)의
주술적 능력(呪術的 能力)을
가지고 있다.
“아이고, 잘 난 내 새끼...
넌 뭐든 참 잘하는구나.
넌 이 다음에
훌륭한 사람이 될거야.”하며
덕담(德談)과 칭찬(稱讚)으로
키운 자식(子息)은
나중에 쓸 만 한 인물(人物)이 된다.
반대(反對)로
“이런 등신(等神) 같은 녀석...
넌 도대체 (都大體)
제대로 하는 게 뭐 있냐?
이 빌어먹을 놈아!”하며
쥐어 박히고 욕(辱) 들으며
자란 아이는
결국 평생(結局 平生)을
변변치 못하게 살아가게 된다.
덕담(德談)이 가진
축복(祝福)의 힘과
악담(惡談)이 가진
저주(詛呪)의 파괴력(破壞力)
때문이다.
누군가가
이런 실험(實驗)을 하였다고 한다.
똑같은 크기의 양파 두 개를
물 컵에 얹어 창가에 놓아두고
한쪽의 양파에게는
“잘 자라라. 건강(健康)하게 자라라.
사랑한다.”하며 축복(祝福)해 주고,
다른 한쪽의 양파에게는
“썩어라.
죽어라.
미워."하고 저주(詛呪)하였더니,
축복(祝福)받은 양파의 싹은
잘 자랐지만,
저주(詛呪)받은 양파의 싹은
제대로 자라지 못했다고 한다.
생각해 보라.
유전자적(遺傳子的) 으로
전혀 다른
동(動),식물 간(植物 間)에도
이런 교감(交感)과
영향력(影響力)이
작용(作用)할 수 있다면,
같은 영혼(靈魂)과 육신(肉身)을
가진 인간(人間)과 인간(人間)
사이에 주고받는
축복(祝福)과 저주(詛呪)의 말이나
텔레파시(telepathy)는
서로에게 얼마나 큰 교감(交感)과
영향(影響)을 미치겠는가를...
속된 말로
좋은 말 한다고
돈 드는 것도 아니고,
세금(稅金)을 더 내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아이들에게는
용기(勇氣)와 희망(希望)을 주는
덕담(德談)을,
아내에게는
감사(感謝)와 사랑의 말을
더~~~ 많이 하자.
마트에서 카트를 밀고
지나다가 마주친 모르는 사람에게도
“좋은 걸 많이 사셨네요.”하는
기분(氣分) 좋을 인사말을 건네 보자.
무재칠시(無財七施)라 하지 않던가?
가진 것 없이도 베풀 수 있는 것 중에
제일(第一) 큰 보시(布施)가
남에게 해주는 좋은 말
칭찬(稱讚), 감사(感謝), 격려(激勵),
위로(慰勞) 등등을
덕담(德談)이라 했다.
덕담(德談)해서 남 주나?
덕(德)을 베풀면 복(福)이 온다.
오늘 베풀고 좋은 말 한마디가
내일(來日)은 좋은 일이 되어
나에게 되돌아 올 것이다.
감사(感謝)와 칭찬(稱讚)
덕담(德談)으로 시작(始作)하는
하루가 되시길를 바랍니다.
<받아온 글 입니다>
Have a nice day
< misoon 編輯 >
카페 게시글
♡ 향기 좋은글 ♡ -
🍒 덕담(德談)의 힘 🍒
용마
추천 0
조회 1,715
24.10.16 19:31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