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자세
① 자기부정-타인긍정자세 : 내가 문제 있어. 넌 괜찮아.
② 자기부정-타인부정 자세 : 나도 너도 모두 문제가 있어
③ 자기긍정-타인부정자세 : 난 괜찮아 넌 문제가 있어
④ 자기긍정-타인긍정자세 : 나도 너도 다 좋아
<상담실습>
아이의 특성이나 생활 자세 등에 따라 대화를 하거나 상담을 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1) 비판적 어버이 자아가 강한 아이 상담하기
친구들의 잘못된 행동 예를 들어 숙제를 해오지 않았다거나 공부를 방해했다거나 하는 것을 보아 넘기지 못하고 훈계를 하거나 교사에게 고자질을 할 확률이 높다.
“너는 철민이가 수업 시간에 떠드는 것을 보면 기분이 어때? 너는 공부 안하고 떠들고 싶었던 적 없었어?.”
2) 양육적 어버이 자아가 강한 아이 상담하기
이 아이들은 친구들을 보살피거나 돌보는 일을 잘한다. 울고 있는 친구를 위로해 주거나
챙긴다.
“네가 어제 아픈 친구를 챙겨주는 모습을 보니까 선생님이 기분이 좋아지더라. 그런데 지희
를 보니까 이젠 네가 조금 덜 챙겨줘도 좋을 것 같아. 책상 정리는 혼자 할 수 있으니까 필
요한 것만 도와주는 건 어떨까?”
3) 순응하는 어린이 자아가 강한 아이 상담하기
이 아이들은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않으며 순응적이고 소극적이며 교사의 눈치를 보는 경우가 많다.
“네가 솔직하게 마음을 표현하지 않으니까 선생님은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겠네. 힘들어도 네 생각을 말해주면 훨씬 더 좋을 것 같아.”
4) 자기긍정-타인부정 자세를 가진 아이 상담하기
먼저 자신을 긍정해 주고 난 뒤, 타인 부정 자세를 짚어주어야 한다.
“넌 친구들과 잘 지내고 적극적인 면이 좋은 점이야. 그런데 어제는 좀 놀라웠어. 과학 시간에 네 잘못이 있어 보였는데 철민이 잘못이라고만 하니까 선생님이 난감하더라.”
5) 자기부정-타인부정 자세 가진 아이 상담하기
자신의 장점을 먼저 찾게 한 뒤 타인에게 마음을 열도록 해야 한다.
“네가 말을 잘하고 책 내용을 잘 요약하고 수업 태도도 바른데 넌 그걸 인정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안타까워. 너는 어떤 좋은 점이 있는 것 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