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렌트여기 하이렌터카입니다.
자동차를 운전한다면 꼭 이용해야 하는 주유소.
차량에 들어가는 유종별로 색은 모두 같을지, 다를지
하이렌터카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원유의 색상
지층에 매몰되어 있는 석유를 정제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뽑아낸 것을 석유 원유라고 합니다.
원유는 흑갈색이나 적갈색을 띄고 있으며
점성이 높아 찐득거리는 것이 특징이지만
원유를 가열해 정제하고 분리하여
휘발유, 경유 등 연료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정제 후 냄새와 색상
원유를 가열해 연료를 분류하고 정제하면
LPG, 휘발유, 경유 순으로 나뉘어집니다.
이렇게 추출하고 정제한 연료들은
냄새가 나고 색이 있을 것 같지만
사실 무색 무취에 가깝다고 합니다.
색과 냄새가 있는 이유
하지만 주유소에 가면 기름 냄새가 나고
유종마다 색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혼유 사고 등 착오를 방지하기 위해
먼저 색상으로 유종별 차이를 둔 것이며
면세유의 불법적인 사용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유종별 색상 차이
색상과 냄새가 생기는 연료들은
서로 다른 염료를 넣고, 품질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도 넣습니다.
하지만 유종 색상을 마음대로 정할 수 없습니다.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의 석유제품 품질기준에 의하면
휘발유는 노란색, 고급휘발유는 초록색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경유는 지정이 따로 없지만 대체로 푸른빛을 띄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유종별로 주유건 색상도 다르니
더욱 헷갈리지 않고 주유를 할 수 있습니다.
이상, 하이렌터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