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카치 콜리 (Scotch Collie)
► 이 명 : 쿠울리(Cooley), 코울리(Coaly), 콜리(Colley)
► 외 관 : 스카치 콜리(Scotch Collie)의 크기는 체고가 48~61㎝ (19~24 in), 체중은 18~32kg (40~70 lb) 정도되는 중대형견이다. 결정적인 특징 중 하나는 길고 두꺼운 다색(Multi-colored)의 코트(털)이다. 털은 감촉이 다소 거칠고 매우 길며, 특히 목, 뒷다리와 궁둥이가 있는 뒷부분, 꼬리 부분에 있다.
► 설 명 : 스카치 콜리(Scotch Collie)는 가족 환경에서 매우 친근하고 활동적인 품종이다. 성격이 달콤하고 충성스러우며, 가족 구성원들과 매우 다정하며, 어린이들과도 매우 잘 어울린다. 충성심이 강하기 때문에 가끔은 약간 집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또한 매우 지능적이어서 똑똑하고 영리하기 때문에 그들은 신체적인 운동뿐만 아니라, 지루함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 정신적 자극이 필요하다. 만약 지루하고 외롭다면 파괴적일 수 있고 짖는 습관을 갖게 될 수도 있다. 훈련을 일찍 시작하면 이러한 문제들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평균 수명은 10~14년 정도이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4~8마리 정도이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강한 편이어서 잔병치레도 거의 하지 않는다.다만, 피부병에 민감한 경우가 있으며, 각막염 등 눈병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 디스크와 다리 관절의 상태도 수시로 살펴보아야 한다.
매우 지능적이어서 똑똑하고 영리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복종 훈련과 제어 훈련만 시켜도 훌륭한 반려견이 될 수 있다. 어릴 때부터 훈련을 시작하면 훈련을 빠르게 습득을 하면서 스카치 콜리가 보여주는 사소한 문제들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식탐이 비교적 많은 편이며, 특히 여러 마리를 키울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운동을 시키거나 식사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운동량이 많고 활발하므로 매일 규칙적인 운동과 산책은 필수적이다. 이들은 신체적인 운동뿐만 아니라 지루함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 정신적 자극이 필요하며, 그대로 내 버려두어 지루하거나 외로움을 느끼면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짖는 습관을 가질 수도 있다. 항상 움직이므로 공놀이 등을 해 주면 좋아한다.
털 빠짐이 많은 편이고 털이 쉽게 엉키므로 매일 빗질을 해주어야 한다. 특히 털갈이 시기에는 속 털과 겉 털이 함께 빠지므로 수시로 빗질을 해 주어야 한다. 실내에서 기를 경우에는 한 달에 두어 번 정도 목욕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실외에서 기를 경우에는 필요한 경우에만 시켜주면 된다. 털이 길어서 웬만한 추위에도 잘 견디지만 더위에는 다소 약한 면이 있으므로 무더운 여름철엔 시원하게 관리해 주어야 한다.
► 기 원 : 스카치 콜리(Scotch Collie)의 원산국은 스코틀랜드이다. 스코틀랜드 북부의 산악지대인 하일랜드 지역에서 유래한 랜드레이스(Landrace, 자연발생종) 개 품종이다. 이 품종은 털이 긴 장모의 러프 콜리(Rough Collie)와 털이 짧은 단모의 스무스 콜리(Smooth Collie)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고대의 목축견들의 여러 종류에서 유래한 것으로 믿고 있으며, 일부는 로마가 점령했을 당시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로만 캐틀 도그 종(Roman Cattle Dogs), 네이티브 셀틱 도그 종(Native Celtic Dogs), 바이킹 허딩 스피츠 종(Viking Herding Spitzes) 등이 포함되었을지도 모른다. 다른 조상들은 고든 세터 종(Gordon Setters)과 아일랜드 세터 종(Irish Setters)들을 포함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이들을 쿠울리(Cooley), 코울리(Coaly) 그리고 콜리(Colley)라고 불렀다. 콜리(Collie)라는 이름은 스코틀랜드말로 검다(Black) 또는 석탄(Coal)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 한때 그들이 무리를 지을 때 사용되었던 양(Sheep)의 종류를 지칭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콜리(Collie)는 개(Dog) 또는 어린 새끼(Young Pup)를 뜻하는 스코틀랜드 켈트어(Gaelic) 카일레안(Càilean)과 코일레안(Cóilean)에서 온 것일 수도 있고, 콜리(Collie)인 켈트어의 유용한(Useful)에서 온 것일 수도 있다. 인기에 힘입어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로 수입되었는데, 이 곳에서 스카치 콜리(Scotch Collie)로 간단히 알려지게 되었다.
스카치 콜리는 원래의 고향에서 양과 다른 농장동물들을 목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농장의 부대시설과 주택을 지키고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다. 1800년대와 1900년대 초 이 개들 중 많은 수가 가족들이 그들의 농장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미국으로 수입되었다. 그들의 수와 인기가 증가함에 따라 스코치 콜리는 애완동물로 널리 소유되기 시작했으며, 결국 영국과 미국 모두에서 컨포메이션 행사(Conformation events)에서 보여졌다. 1885년 스코치 콜리 클럽(Scotch Collie Club)이 결성되어 이 품종이 미국 켄넬 클럽(AKC)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1년후 미국 콜리 클럽(Collie Club of America)이 결성되었다.
스카치 콜리라는 이름은 이 새로운 품종을 위해 AKC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AKC가 이들 콜리들을 지칭하기 위해 러프(Rough)와 스무드(Smooth)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스코치(Scotch)라는 용어는 결국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쇼 도그 종(Show Dogs)과 스코치 콜리(Scotch Collie)를 구별하기 위한 시도로 여겨진다.
이 품종의 지속적인 인기와 컨포메이션 쇼(Conformation Shows)에서의 그들의 증가된 외모에 따라 러프&스무드 콜리(Rough and Smooth Collies)들은 형태가 변하기 시작했고, 오늘날의 콜리(Collies)들에게서는 좀 더 두드러진 갈기(Mane), 즉 스포츠 경기 때 가슴과 등에 부착하는 번호판(Bib)과 함께 납작한 두개골과 길고 좁은 머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개 품종들, 아마도 보르조이(Borzoi), 더 많은 그레이하운드와 이종교배했기 때문에 일어났다. 이러한 물리적 변화는 원래의 스코치 콜리(Scotch Collies)들과 그것으로부터 발전된 콜리(Collies)들을 더욱 분리시켰다.
스카치 콜리는 한때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nited Kennel Club)과 내셔널 켄넬 클럽(National Kennel Club)에 올드 타임 농장 셰퍼드(Old Time Farm Shepherd)를 등록할 수 있었지만 어느 순간 인정을 잃고 품종에 등록부를 연 잉글리시 셰퍼드(English Shepherd)를 비롯한 다른 품종으로 흡수되기 시작했다. 스코치 콜리는 러프&스무드 콜리(Rough and Smooth Collies)의 개발에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스트레일리안 셰퍼드에게도 도움이 되었고, 이들은 잉글리시 셰퍼드, 보더 콜리, 셰틀랜드 십독 등 다른 품종의 개발에 물질적으로 기여했을지도 모른다.
비록 더 이상 미국의 품종 클럽들에 의해 뚜렷한 품종으로 인식되지 않았지만, 스카치 콜리는 1950년대와 1960년대까지 소규모 농장과 홈스테드(Homestead, 농장의 부대시설과 주택)에서 유용한 동료이자 조력자로서 가족과 농부들에게 계속해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미국 농장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품종으로서의 스카치 콜리(Scotch Collie)는 팜 콜리('Farm Collies), 팜 셰퍼드('Farm Shepherds), 올드패셔니드 콜리(Old-fashioned Collies)로 불리게 되면서 숫자뿐만 아니라 이름까지 잃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 이 품종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났고, 미국에서 마지막으로 알려진 스코치 콜리의 잔재는 에리카 듀보이스(Erika DuBois)에 의한 캐나다뿐만 아니라, 리처드 맥더피(Richard McDuffie)에 의한 테네시(Tennessee)와 노스캐롤라이나(North Carolina)에도 있었다. 이 개들은 주로 더 인기 있고 널리 알려진 콜리 품종과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스카치 콜리와 반대로 올드 타임 팜 셰퍼드(Old-Time Farm Shepherds)라고 불렸다.
2000년대에 스카치 콜리는 여전히 수가 적었고, 그 품종을 더욱 홍보하기 위해 그룹이 형성되었는데, 이번에는 이것을 '올드 타임 스코치 콜리(Old Time Scotch Collie)'라고 불렀다. 이 단체는 스카치 콜리뿐만 아니라, 다른 농장 콜리 타입의 개를 위한 공개 등록부를 유지하고 있다. 2017년 5월 현재 족보 데이터베이스에는 등록된 올드 타임 스카치 콜리(Old Time Scotch Collie) 174 마리만 들어 있다.
► 비 고 : 스카치 콜리는 현재까지 FCI(세계 애견연맹)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AKC에서는 Herding Group(목양견)으로 등록이 되어 있으며, 또 다른 미국의 켄넬 클럽인 UKC에서는 Herding Breed Group으로 등록되어 있다.
□ 견종 표준
► 외형 : 스카치 콜리의 크기는 체고 48~61㎝, 체중 18~32kg 정도되는 중형견 내지는 대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일반적인 목양견 그룹인 허딩 그룹에 속하며, 가축 경비견 역할을 하면서 목동을 도와서 가축을 모는 일도 잘 하였다. 외모는 지금의 스코틀랜드의 대표적인 목양견으로 알려져 있는 스무드 콜리나 러프 콜리를 탄생시킨 견종으로 스무드 콜리보다는 러프 콜리에 더 가깝다.
► 머리 ; 머리의 크기는 몸 전체 크기와 균형이 잘 맞고, 외곽선은 둥그스름하며, 머리 양쪽 옆은 귀부터 검은색 코끝까지 조금씩 가늘어진다. 머리 양쪽 눈 사이 중앙이 머리 전체 길이의 균형점에 해당한다. 두개골은 평평하며, 스톱은 살짝 드러나지만 각각으로 구분된다.
• 코 : 코의 색은 반드시 검은색이다.
• 입 : 주둥이는 끝부분이 둥그스름하며, 뾰족하지는 않다. 턱은 튼튼하며, 아래턱의 윤곽이 뚜렷하다. 주로 윗니가 아랫니를 단단히 덮고 있으면서 턱과 정사각형을 이루는 협상교합을 형성한다. 볼은 광대뼈가 심하게 튀어나오지 않았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아몬드 모양으로 다소 비스듬하게 눈꼬리가 처진 형태로 위치한다. 눈의 색은 짙은 갈색이지만 피모에 청색의 얼룩무늬가 있는 경우에는 눈도 청색인 경우가 많다.
• 귀 : 귀는 크기가 작고, 양쪽 귀의 간격이 너무 가깝거나 멀지 않은 편이다. 귀 전체 길이의 3분의 2는 위로 서 있고, 나머지는 자연스럽게 접혀있다.
► 목 : 목은 근육질이고 탄탄하며, 충분히 길면서 아치형으로 굽어있다.
► 몸통 : 몸통은 체고보다 체장이 약간 더 길고, 등은 탄탄하게 보인다.
► 꼬리 : 꼬리는 긴 편이며, 꼬리뼈 끝이 최소한 비절에 닿는다. 가만히 있을 때는 꼬리를 낮게 내리고 있거나 끝이 살짝 위로 들려 있다.
► 사지 : 앞다리의 어깨는 비스듬하며, 충분한 각을 형성하고 있다. 무릎은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전완은 곧게 뻗어 있고, 근육질이며, 뼈가 적당히 둥글다. 앞발은 타원형이며, 패드가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고, 서로 밀착되어 있다.
뒷다리의 허벅지는 근육질이고, 윤곽이 뚜렷하다. 무릎은 충분히 굽어 있다. 비절은 바닥과 가까이 내려와 있으며 튼튼하다. 뒷발은 타원형이며, 패드가 두툼하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고, 서로 밀착되어 있다. 발가락의 둥그스름한 정도는 앞발보다 약간 덜한 편이다.
► 털과 색 : 털은 감촉이 다소 거칠고, 매우 길며, 부드러운 스무드 코티드(Smooth-coated) 타입의 스카치 콜리는 털은 짧지만 여전히 촘촘하고, 목 주변은 털은 꽤 방대하고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스카치 콜리의 털은 스무스 콜리와 러프 콜리의 중간 형태이다.
모색은 다색의 코트를 가지고 있다. 세이블(Sable, 검은 담비처럼 청회색을 띄는 진한 갈색), 삼색(Tri-colour), 푸른빛의 머를(Blue Merle)을 포함하는 색상의 개체들이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스카치 콜리는 목, 가슴, 발에 흰색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는 결격사유에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
► 걸음걸이 : 걸을 때 앞다리 무릎이 바깥쪽으로 돌아가지 않고, 두 앞발이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면서 걷는다. 뒷다리는 충분한 동력을 제공하면서 힘차게 움직이며, 보폭은 충분히 길고, 걸음걸이가 가벼우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걷는 인상을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