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공성사(判功聖事, Confessio annua)[1]는 한국 가톨릭 교회에만 존재하는 특이한 연례 고해성사로, 매년 12월 25일 주님 성탄 대축일 전의 대림 시기와 파스카 성삼일 전의 사순 시기에 일괄적으로 진행되는 고해성사이다.[2]
쉽게 설명하자면 '목욕재계'와도 같은 것인데 가톨릭 최대 대축일을 준비하는 시기에 자신의 죄를 모아서 한꺼번에 고해하고 참회하면서 전례력으로 대축일을 기쁘게 맞이하는 준비 활동에 해당한다.[3] 판공성사의 유래는 '판공'이라는 단어의 뜻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원래 사제가 정기적으로 공소를 방문하는 것을 뜻했다.
예수 탄생일인 크리스마스가 기독교에 가지는 의미는 엄청나다. 또한 교인들에게 성사표를 나눠주며 성당에 오라고 초대하는데, 참석하면 성사표를 걷는다. 이는 교인들의 참석 여부를 굳이 묻겠다는 의미다. 이 성사표를 근거로, 만약 성사표를 여러번 받고도 참석하지 않으면[4] 사실상 천주교에서 관심이 멀어졌다고 추정한다. 이를 냉담자라고 칭한다.
천주교 박해가 심했던 조선 시대에는 사제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신자들을 항시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1년에 1~2번 정도 사제가 신자들이 사는 마을(교우촌)을 방문하여 각 교우들의 신앙생활 상태를 면담을 통해 알아본 후[5] 성체성사와 고해성사를 주었다.
이 전통이 정착된 것이 판공성사이며, 이를 이용해 신자들이 성사생활을 잘 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만약 3년 이상 판공성사 기록이 없으면 냉담 교우로 분류되어 교적이 해당 본당에서 상위기관인 교구청으로 이동된다. 고해성사는 1년에 꼭 1번은 하도록 교회법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1년에 2번(제주교구는 3번) 있는 판공성사 때만 고해성사를 받아도 의무는 채우는 것이다. 파스카 성삼일 전 사순 시기는 모내기를 하기 전, 그리고 주님 성탄 대축일 전 대림 시기는 1년 농사를 끝낸 시기이므로, 농한기에 맞춰서 판공성사를 거행하였다.
첫댓글 처음 고해 성사를 해봤내요
결론은 힘들었습니다,언제 변절할지 모르지만
이제는 그 변절을 올바르게 살아보도록 주위분들하고 대화 하면서 인도할게요
사람은 말그대로 기회 앞에서 변절 하잖아요~~
저도 살아 있는 그날까지 긍정적으로 살도록 엄청나게 노력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