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가 가장 심각한 나라는 어디일까?
인구 감소가 가장 심각한 나라는 어디일까?
©Shutterstock
유엔은 세계 인구가 2050년까지 97억 명에 이르고,
2100년까지 104억 명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한다.
이러한 성장은 부분적으로 사망률의 감소와
평균 수명의 증가에 의해 주도된다.
그러나, 특히 유럽의 일부 지역은 낮은 출산율과
소가족 경향으로 인해 인구 감소에 직면하고 있다.
주로 낮은 출산율과 높은 이민율 때문에 2050년까지
61개의 국가 또는 지역의 인구가
적어도 1%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궁금하다면? 사진을 통해
대한민국이 빠르게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나라
상위 20위 안에 들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20. 이탈리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0.1%
이탈리아는 지속적인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유럽에서 가장 심각한 인구 감소에 직면해 있다.
이탈리아
©Shutterstock
높은 청년 실업률과 비싼 자녀 양육비 등
경제적 요인이 이러한 저출산 현상을 악화시킨다.
19. 쿠바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0.3%
쿠바의 출산율(여성 1인당 1.7명)은 수십 년째
대체수준 출산율을 밑돌고 있으며,
경제난과 주택 부족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쿠바
©Shutterstock
여기에 계속되는 경제 위기와 정치적 요인들이
이민 물결을 일으키며 자연스럽게
국가의 인구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18. 북마케도니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0.9%
북마케도니아는 발칸반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
(여성 1인당 1.3명) 중 하나로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는 나라 중 하나다.
또한 젊은이들의 이민을 장려하는 경제적인 어려움도 있다.
17. 포르투갈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0.9%
포르투갈은 저출산(여성 1인당 1.4명)과 고령화가
인구감소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젊고 기술이 있는 사람들이 해외에서 기회를 찾는 등
경제적 불안정이 이민 급증으로 이어졌다.
16. 조지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1.8%
시민 불안과 경제 투쟁으로 인한 혼란은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
조지아에서 상당한 규모의 이주를 발생시켰다.
15. 폴란드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2%
저출산(여성 1인당 1.38명)과 다른 유럽 국가로의
지속적인 이민은 폴란드의 인구 감소의 두 가지 주요 원인이다.
14. 헝가리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 12.3%
헝가리 역시 급격한 인구 감소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젊은 층과 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이민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13. 에스토니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2.7%
에스토니아는 동유럽에서 출산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여성 1인당 1.58명)인 반면,
여전히 대체수준에는 못 미친다.
높은 이민은 상당수의 젊은이들이 떠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12. 그리스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 감소: 13.4%
그리스의 인구 감소는 2009년부터 시작된
금융위기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리스
©Shutterstock
금융위기는 높은 실업률로 이어졌고,
이것은 다시 이민의 물결을 불러 일으켰고,
출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여성 1인당 1.34명).
11. 루마니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5.5%
2007년 유럽연합(EU)에 가입한 이후 루마니아는
서유럽으로 상당한 규모의 이민을 경험했다.
이민 급증은 출산율(여성 1인당 1.6명)을 대체수준
이하로 떨어뜨린 복합적인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10. 알바니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5.8%
알바니아는 인구 고령화와 출생률 감소(여성 1인당 1.6명)로 인해
인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이민도 주요 요인이다.
9. 일본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6.3%
일본은 현재 인구의 29.1%가 65세 이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령화 비율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일본의 출산율은 여성 한 명당 1.3명이다.
일본
©Shutterstock
특정한 생활방식을 유지해야 한다는 경제적 압박이
커지면서 일본인들은 대체로 가족의 확대를 꺼리고 있다.
8. 몰도바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6.7%
주로 경제적인 요인들 때문에 몰도바의 인구 감소는
동유럽에서 가장 심각하다.
세계은행은 2023년 현재 몰도바의 생산가능인구의
약 4분의 1이 해외에 살고 있다고 추정했다.
이 대규모 이민은 출산율 감소(여성 1인당 1.77명)라는 결과를 낳았다.
7. 크로아티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 감소: 18%
2013년 유럽 연합에 가입한 후,
크로아티아는 인구의 상당한 이동을 경험했다. 이것은 또한
낮은 출산율 (여성 한 명당 1.48명)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6.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8.2%
이 발칸 국가의 인구 감소는 90년대 분쟁의
장기적 여파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Shutterstock
전쟁으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와 피난민이 발생하여
인구 구조에 지속적인 상처를 남겼다
5. 세르비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18.9%
세르비아의 인구 감소는
경제적 불확실성의 영향이 크다.
세르비아
©Shutterstock
세르비아의 고학력, 숙련된 노동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나라를 떠났고, 이것은 또한
낮은 출산율(여성 1인당 1.48명)로 이어졌다
4. 우크라이나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 감소: 19.5%
우크라이나의 인구 감소는 계속되는 분쟁과
크림반도 합병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우크라이나
©Shutterstock
이러한 지정학적 문제는 국가의 인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이동과 생명의 손실을 초래했다.
3. 라트비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21.6%
라트비아는 2004년 유럽연합에 가입한 이후
인구의 약 5분의 1을 잃었다.
라트비아
©Shutterstock
라트비아의 인구 감소는 경제적 이주와
저출산(여성 1명당 1.55명) 때문이다.
2. 리투아니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22.1%
특히 유럽연합 가입 이후 리투아니아의
경제적 요인이 청년들의 탈출을 촉진했다.
또한 1.6명 내외의 출산율과 고령화가
이 같은 인구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1. 불가리아
©Shutterstock
2020~2050년 인구감소율: 22.5%
불가리아는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빠르게
감소하는 나라 중 하나로,
주로 높은 사망률과 낮은 출산율에 기인한다.
불가리아
©Shutterstock
게다가 불가리아는 경제적 기회의 부족으로
젊은 인구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출처: (Euronews) (CNN) (Visual Capita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