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 선수는, 자기 팀의 한 선수에 의해 볼이 터치 또는 플레이된 순
간에, 주심의 견해로, 그 선수가 다음의 행동을 하여 적극적인 플레이에 관련될 때에만
처벌을 받는다. 즉;
• 플레이에 간섭하거나
• 상대 선수를 방해하거나
•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으면서 이득을 얻을 때
FIFA 규정집의 오프사이드 규정은 위와 같습니다.
1) "플레이에 간섭'한다는 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플레이를 간섭한다는 것”은 팀 동료에 의해 패스 또는 터치되었던 볼을 플레이 또는
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 지쿠의 동작을 '볼을 플레이 또는 터치'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지쿠의 터치 동작은 공이 골라인을 넘어간 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공이 골라인을 넘기 전까지 지쿠는 볼에 아무런 간섭을 하지 않았습니다.
2) "상대 선수를 방해"한다는 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대 선수를 방해한다”는 뜻은 주심의 견해로, 상대편을 속이거나 혼란시키는 움직
임이나 어떠한 동작 등으로 상대편의 시야 또는 움직임을 명백하게 방해함으로써 볼
을 플레이하거나 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방해함을 의미한다.
-> 지쿠의 위치가 골대 바로 앞이었고 지쿠와 볼을 경합하던 부산 수비수도 없었기 때문에, "상대 선수를 방해"했다는 조항 또한 적용되지 않습니다. 만약 지쿠 앞에 골키퍼가 있었으면 이 조항이 적용될 것입니다. 왜냐 하면 지쿠의 존재로 인해 상대 골키퍼는 박성호의 헤딩이 그대로 진행될 것인가, 아니면 지쿠에 의해 굴절될 것인가 두 가지 경우를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혼동을 조성하는 것만으로도 "상대 선수를 방해"했다는 상황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셋피스시 이와 유사한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논리로 오프사이드가 적용됩니다. 그러나 지쿠의 앞에는 그런 혼동을 유발할 상대 선수가 없었습니다.
3)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으면서 이득을 얻는다"는 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 위치에 존재하여 이득을 얻는 것”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었던 선수가 골포스트
나 크로스바를 맞고 튀어나온 볼을 플레이하거나 상대편을 맞고 튀어나온 볼을 플레
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건 딱 봐도 지쿠 상황과는 거리가 머네요.
사실 FIFA 규정집에는 친절하게도 이런 상황에 대해 그림으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0FD3504F64654315)
![](https://t1.daumcdn.net/cfile/cafe/181056504F64654416)
FIFA 규정집에서 발췌한 사진들입니다.
만약 지쿠의 동작으로 인해 상대 수비수나 골키퍼가 플레이에 방해를 받았다면 그림 9와 같은 상황으로 간주되어 오프사이드 반칙이 선언되었겠죠. 그러나 지쿠의 동작은 상대 수비수나 골키퍼의 플레이에 어떤 '방해'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상대 선수를 방해"로 오프사이드가 선언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그림 7과 같은 상황으로 보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오프사이드 반칙의 근거 세 가지 중,
3)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으면서 이득을 얻는다"는 전혀 다른 상황이므로 배제,
1) "플레이에 간섭"은 지쿠가 볼을 터치한 시점이 공이 골라인을 통과한 후였으므로 배제,
2) "상대 선수를 방해"는 지쿠의 플레이로 인해 플레이를 방해받은 상대 선수가 없으므로 배제라는 것입니다.
첫댓글 2)번을 심판이 재량으로 판단한듯..ㅜㅜ
사실 이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지면 100 중 99는 오프사이드가 맞습니다. 골라인 바로 앞에 공격수가 그렇게 혼자 서 있는 상황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공격수가 어떤 동작을 하던간에 상대 선수 최소 한 명의 플레이를 방해할 수밖에 없죠. 이번 상황은 100 중 1의 상황이라고 보여지는데, 주, 부심이 99의 상황에서 오프사이드이니까 성급하게 일반화시켜서 판정을 내린 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저도이관점임ㅋㅋ
경기를 못 봤는데 능력자님 누가 영상좀 올려주세요 뭔 장면인지 보고싶네
수비랑골키퍼 공못잡게몸빵해서 터치 오프사이드맞은듯??방해아닌가요?
헤딩슛 하는순간 키퍼랑 수비랑 둘다 지쿠보다 앞에있어서 방해 안받음
에이그건아니엇음ㅋㅋ그냥이범영앞으로나와있다가아예손도못댄거고 아예접촉이없엇음
그렇군요ㅎㅎ
어차피 공격할 의도가 있었다고 심판이 판정해서 업사이드 선언하면 뭐라고 못함 심판재량이니까
오프사이드 규정에는 '의도'란 단어가 없습니다. '공격할 의도'를 보인다고 해서 오프사이드를 선언하는 건 의도 그 자체가 근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의도를 보임으로 인해 상대방 선수들의 수비를 방해하기 때문에 본문의 2)를 근거로 오프사이드가 선언되는 것입니다.
잉 그러게요. 그냥 골에 적극적으로 관여 안해도 뉘앙스만 보여도 업사이드인제 알았더니 아니네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지쿠의 동작으로 인해 속았거나, 혼란당했거나, 시야나 움직임을 방해받은 부산 선수가 있던가요? 있다면 오프사이드가 맞지만, 아무리 봐도 그렇게 주장할 근거는 없어 보입니다.
그거는부정할수있죠 ㅋㅋ리플레이봐도 박성호쳐다보고있지 지쿠는아무도신경안씀
박성호의 헤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지쿠가 뭘 하든 전혀 상관없습니다. 코너킥 상황이니까요. 기본적으로 코너킥 상황에선 오프사이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즉 지쿠를 보느라 박성호의 헤딩을 놔주었다고 해도 그건 규칙 위반이 아니고, 박성호의 머리에 공이 맞고 나서 지쿠가 상대 선수의 플레이를 방해했느냐만 보면 됩니다.
위에도 말했지만 그런 상황에서 관행적으로 오프사이드를 부는 건 이와 유사한 상황 100 중 99가 오프사이드가 맞기 때문입니다. 이 상황은 100 중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드문 상황입니다. 심판들이 오프사이드 판정을 내리는 게 관행이란 말은 이와 같은 드문 상황에선 전혀 무관합니다.
제 말이 그 말입니다. 보통 지쿠와 같은 동작을 하면 100 중 99는 "상대 선수를 방해"했다는 조항이 적용된다는 거죠. 그 이유는 저기 위에 댓글에 적었구요.
이 규정을 바탕으로 경기 중 주심의 재량으로 내려지는 판단이니, 포항 팬으로선 아쉬운 판정이지만 오심이라고 할 수 없죠.
애초에 포항 팬 분들은 이 규정을 놓고 팔이 안으로 굽는 관점에서 해석을 하는거죠.
축구라는 빠른 스포츠에서 위의 규정을 놓고 주심의 재량으로 빠른 판단을 내리는 부분이다보니
지쿠 선수의 움직임을 공격 의도가 충분히 있었다고 판단 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보입니다.
바로 그 '주심의 재량'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하는 글입니다.
순간적인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 (2)의 항목으로 주심 재량으로 인정될 둣
마지막에 지쿠발 맞고 골들어간거 아닌가요?
골이 먼저 라인을 넘었고 그다음 지쿠발 맞았어요
내 관점은 오프사이드맞음 음 슬로우비디오로 봤을때 지쿠가 이범영뒤에 위치해있어서 즉 부산수비수가 골대에 붙어있었는데 골대쪽으로봐서 부산수비 지쿠 이범영순으로 있었음 그래서 부산수비를 골키퍼로 보는거임 그래서 오프사이드맞음
지쿠가 오프사이드 위치였다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국톡 전체에서 이의가 없습니다만... 본문하고 전혀 다른 얘기를 하고 계시네요.
경기영상으로 해설하는분이 말한뜻을 봐서는 글적으신분의 뜻이 맞다고 생각되네요 저도
지금 다시봐도 오프사이드 지쿠가 골 넣어서 지쿠가 발만안됬으면 몰라도 이상끝
본문 좀 정독하고 댓글 답시다. 글쓴사람 힘빠지게 하려고 작정한 것도 아니고...
이 노란은 축구심판아는분 트윗으로도 그렇고 박문성해설위워님도 오프사이드가 맞다고하셨습니다.. 지쿠가 터치를 하지않았다면 오프사이드가 아니었겠지만요
박문성해설은 오프사이드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주심의 명확한 코멘트가 필요'하다며 논란이 일 수 있는 애매한 판정임을 돌려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