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 뉴스: 미국,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높은 관세율이 무역전쟁 심화 초래할 소지
○ 미국 3월 ADP 민간고용, 예상치 상회. 세부 내용은 고용 여건 악화를 시사
○ ECB 주요 인사,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은 진행 중. 미국의 관세 영향은 제한적
○ 중국, 자국 기업의 미국 신규 투자를 제한. 미국과의 무역협상 대비가 목적
■ 국제금융시장: 미국은 장중 불확실성 해소 기대 높았으나 상호관세 발표 이후 경기불안 확산
주가 상승[+0.7%], 달러화 약세[-0.5%], 금리 하락[-4bp]
○ 주가: 미국 S&P500지수는 정규시간에 상승했으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선물지수 급락
유로 Stoxx600지수는 미국의 상호관세 경계감 등으로 0.5% 하락
○ 환율: 달러화지수는 상호관세 발표 전 불확실성 및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하락
유로화와 엔화 가치는 각각 0.6%, 0.2% 상승
○ 금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무역전쟁 심화 및 경기 침체 가능성 등이 반영
독일은 관세 관련 긴급 지원책 논의 등으로 3bp 상승
※ 뉴욕 1M NDF 종가 1464.5원(스왑포인트 감안 시 1467.0원, 0.31% 상승). 한국 CDS 하락
금일의 포커스
n 미국,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높은 관세율이 무역전쟁 심화 초래할 소지
○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내용 공개에 앞서 교역국들이 자국산 제품에 막대한 관세 부과와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 국민을 갈취했으나,
앞으로는 미국 국민을 가장 중요시할 것이라며 이번 조치의 취지를 설명
○ 구체적으로 중국 34%, 베트남 46%, 인도네시아 32%, 한국 25%, 일본 24%, EU 20%의 관세율이 부과.
영국, 브라질, 호주, 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들은 보편관세 측면에서 최저인 10%의 관세율이 적용.
이전에 25%의 관세율이 부과된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별도의 발표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
○ 베센트 재무장관은 중국의 경우 기존 관세(20%)와 이번 조치를 더해 총 54%의관세가 부과된다고 언급.
백악관은 무역확장법에 따라 이미 관세가 적용되거나 혹은 적용될 자동차, 철강, 반도체, 의약품 등은
추가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설명.
한편, 10% 관세와 이보다높은관세는 각각 5일, 9일부터 시행
○ 이날 주요 주가선물지수(나스닥 선물: -4% 내외)와 국채금리(10Y: 4.13% -4bp)
모두 떨어지는 등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
일부에서는 국채금리 하락이 경기둔화 우려가 증폭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
○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이 매우 이례적인 도박과 같은 행태이며,
미국 뿐 아니라 여타 교역국에 수조 달러 규모의 추가 비용을 요구할 것이라고 평가.
아울러 교역국의 맞대응을 초래하여
무역전쟁 심화, 공급망 불안정,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등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Bloomberg)
○ 또한 여타국들은 미국을 제외한, 새로운 형태의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설 수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경쟁국들의 역량을 강화시킬 것으로 관측.
이에 더해 미국 경제 역시 어려움이 심화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적으로 정치적 난관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
○ 한편 교역국들의 반응은 상반.
영국과 호주 등 10%의 낮은 관세율이 적용된 국가들은 각각 미국과의 무역협정을 맺기 원하고,
이번 상호관세에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유화적 입장 표명.
반면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EU 국가들은 미국의 이번 조치가 잘못된 것이라면서
자국민 보호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
글로벌 동향 및 이슈
n 미국 3월 ADP 민간고용, 예상치 상회. 세부 내용은 고용 여건 악화를 시사
○ 3월 ADP 민간고용은 전월비 15.5만건 늘어 전월(8.4만건) 및 예상치(10.5만건) 대비 높은 수준.
이번 결과는 정책 불확실성과 소비심리 부진에도 민간부문의 고용은 양호하다는 점을 제시.
다만 재직자와 이직자의 임금상승률 격차는 1.9%로 축소 흐름이 지속되고 있어
고용 여건은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
n ECB 주요 인사,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은 진행 중. 미국의 관세 영향은 제한적
○ 라가르드 총재는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매우 근접했지만,
이를 억제하기 위한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언급.
홀츠먼 위원은 현재 역내 금리 수준이 경제 성장을 억제하지 않고 있어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필요는 없다고 평가
○ 드 갈로 위원은 역내 인플레이션 수준이 떨어지고 있는데,
미국의 관세정책이 이를 저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
슈나벨 이사는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분절 현상이 발생한다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고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고 지적
n 중국, 자국 기업의 미국 신규 투자를 제한. 미국과의 무역협상 대비가 목적
○ 주요 언론에 따르면, 당국에서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에
당분간 기업의 對美 투자 등록 및 승인을 보류하도록 지시.
시장에서는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앞두고
당국이 더 많은 협상 카드를 얻기 위해 이번 조치를 취했다고 분석
n 일본은행 총재, 미국의 관세정책은 범위 및 규모에 따라 각국의 무역에 영향
○ 우에다 총재는 미국의 관세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높지만
관세의 규모 및 범위에 따라 각국의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발언.
특히 기업과 가계의 심리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
○ 한편 아다치 전 위원은 미국의 관세정책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면
5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주요 경제지표 n 주요 경제 이벤트(4/3 현지시각 기준)
○ 미국 3월, ISM 서비스업 PMI, 3월 4주차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
해외시각 및 외신평가
n 글로벌무역질서재편,트럼프상호관세부과로가속화
TheEconomist (Canthe world’sfree-traders withstand Trump’s attack?)
○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는 자유무역체제에서 미국이이탈한다는의미.
이에주요국은 공동 대응을 준비 중이며, 기존 체제는 脫미국화 방향으로 재편될 전망.
최근 미국과 중국을 대체하는 경제블록이 발생했는데
이는 EU를 중심으로 한 개방시장 동맹국(Open-market allies)과
신흥국중심의전략적조율국(strategic hedgers)으로구분
○ 위에서 언급한 2개의 경제블록은 내부적으로 통합을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이를 이용해 무역협정 가입 촉진 및 여타 국가와의 관계 강화를 시도.
향후 글로벌 무역체제의 향방은 EU와 동맹국들이 연대하여
미국 관세에 공동 대응하고 중국을 좀 더 자유무역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는지 여부에 좌우될 소지
n 미국 채권및주식가격추이,투자자의상반된경기전망을시사
블룸버그 (Bond TradersWant a Recession Stock Investors Don’t)
○ 대선 이후 2년물 국채금리가 30bp 하락하는 등 채권시장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반영.
반면 주요 주가지수는 3월 급락 이후 일부 회복했으며
투자자들은 기술주에서필수소비재등 경기방어주로방향을 전환
○ 이처럼 증시에서는 성장 둔화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낙관적 시나리오에 맞춰 가격이 형성된 반면
채권시장은 경기침체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어 두 시장 간 견해차가 극명.
다만 트럼프 관세 정책이 전면 시행되고 이에 대한 보복 조치가 본격화 된다면,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시장 전반에 리스크가 증폭될 전망
n 미국의 연간 7천억달러 관세 수입 목표, 수입 감소 등으로 달성은기대난
블룸버그 (Could Tariffs Raise $700 Billion aYear? NotWithout Pain)
○ 백악관의 무역 고문 피터 나바로는 트럼프 관세가 연간 7천억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언급.
하지만, 트럼프가 기대하는, 고율 관세 효과로 인한 무역수지 개선은
수입감소로연결되어관세수입목표달성에걸림돌로작용할소지
○ 아울러, 20세기 이후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관세 환경의 급격한 변환이
경제 불확실성 확대를 동반하며 심각한 경제적 고통을 초래할 가능성.
한편, GDP 대비 관세 수입 비율이 높은 국가(뉴질랜드, 호주, 러시아)와 비교할 때,
관세 수준과 국가 번영 사이에 의미 있는 수준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추정
n 미국, 심각한 재정적자 및 부채 증가 등의 위기에 직면
블룸버그 (The US is headingfor a grimfiscalreckoning)
○ 미국의 재정적자는 GDP의 6% 수준을 초과하는, 매우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의회는 차입 확대와 감세법 연장을 추진.
이러한 시도가 성공할 경우 향후 30년간국가부채는 40조 달러 증가하고,
부채는GDP 대비 200%를 넘을 전망
○ 한편 관세 수입은 재정 균형을 맞추는 데 턱없이 부족하고, 연방 인건비 감축도 효과가 미미.
이러한 정부지출 삭감은 실질적인 절감 효과 없이 공공 서비스 악화를 초래.
현실적인 해결책은 세금 인상과 신중한 지출 삭감의 병행인데,
의회가 신속하게 나서지 않을 경우 심각한 경제적 결과를 초래할 우려
n 미국국채금리의하락,베센트장관의정책기대가아닌경기둔화우려에기인
블룸버그 (Bessent’s Favorite Metric Heads the Right Way for Wrong Reason)
n 미국 주도의 글로벌 협력 체제, 미국 발전에 중요한 국가적 자산
블룸버그 (US-Led Cooperation BeatsConflict Every Time)
n 영국의최저임금인상,업무과중부작용등으로생산성향상이점희석
FinancialTimes (Minimum wagerises do not seemto boost UK productivity)
n 아시아의 미국 동맹국, 중국 팽창주의 무력화를 위해 방어력 강화할 필요
WSJ (Our Asian Allies Also Needto Build Up Their Defenses)
n 금 가격 급등, 정책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위기에 대한 공포가 반영
Financial Times (Fear may bethe source ofthe goldrally)
|
첫댓글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