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到記>甲午(二O一四)
허용준(許龍俊), 허창무(許昌武), 허인문(許仁文), 허만주(許萬주), 허계(許桂), 허봉성(許鳳成), 허만선(許萬濬), 허만기(許萬璣), 허무정(許武庭), 허만춘(許萬春), 허정수(許正洙), 허봉섭(許鳳燮), 허순영(許順永), 허만기(許萬棋), 허만현(許萬賢), 허만수(許萬秀), 허연욱(許演旭), 허방(許昉), 허우삼(許羽三), 허만성(許萬成), 허진(許振), 허상만(許相萬), 허준(許駿), 허상봉(許尙鳳), 허동욱(許東旭), 허만조(許萬祚), 허성규(許成圭), 허형규(許亨圭), 허봉욱(許鳳旭), 허순영(許順永), 우삼댁(창원), 허방(처,부산), 허만연(처,부산), 반성댁(울산), 허만기(처,창원), 허봉성(처,창원), 허봉일(처,천안), 송림댁(송정), 가실댁(송정), 수양댁(송정) 등 31명.
<分定記>(三和齋歲一祭執事)
月山公(瑞) : 配 晉陽鄭氏
초헌관 : 許成圭(서울), 아헌관 : 許演旭(서울), 종헌관 : 許昌武(성남), 집례 : 許萬주(부산), 대축 : 許昉(부산), 집사 : 許正洙.
松亭公(侃) : 配 善山金氏
초헌관 : 許龍俊(송정), 아헌관 : 許仁文(부산), 종헌관 : 許武廷(대전), 대축 : 許昉(부산), 집사 : 許振.
安定公(植) : 淸州韓氏, 昌寧成氏.
초헌관 : 許鳳成(창원), 아헌관 : 許萬賢(부산), 종헌관 : 許萬棋(송정), 집사 : 許鳳燮.
逸軒公(힐) : 配 : 耽津崔氏
초헌관 : 許萬璣(창원), 아헌관 : 許萬秀(송정), 종헌관 : 許萬春(부산), 집사 : 許尙鳳.
直日 : 許桂
原
甲午閏九月 日
첫댓글 허만준(許萬濬)은 만선(萬璿)의 오기인 것으로 보임니다.
이번 삼화재 시향에 농산공 시제를 겸한 관계로 상대적으로 많은 농산공 후손(21명 - 이 중 60세 이하가 15명)을 비롯하여, 죽오공 후손(5명), 부산공 후손(5명) 계 31명 (후손부 10명 별도)이 참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