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진감래 입니다.
어렵게 결국 해냈는거 같습니다.
꿈은 반드시 이루어 진다.
특허 등록하고 금형 시제품 입니다.
미국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런칭 준비합니다.
아래 사진은 소형배터리 거치 자체충전 되고 있는 그림 입니다.(케이블이 없습니다.)
언제나 만충전이 되어 있어 즉시 배터리 교체하면 됩니다.
또 방전된 배터리 충전 거치대에 장착 해놓으면 즉시 자체 충전 시작 합니다.

아래 사진은 대형 배터리 거치 자체 충전하고 있는 그림입니다.(케이블이 없습니다.)

아래 사진은 집에 잠자고 있는 배터리 거치해서 충전하고 케이블 연결해서 기존배터리 재활용하여 친구폰 내폰 아이폰 일체형폰 충전 할수 있습니다.(만능 충전 거치대가 됩니다.)

아래 그림은 내부 구성 그림입니다.

첫댓글 아래 하단에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 탈부착 하여 배터리 확장형으로 구현 하였습니다.
제1배터리(본체 아래 배터리)
제2배터리(폰 탈부착 배터리)
제3배터리(하단 원통형 탈부착 배터리)
선택 스위치로 병렬연결을 탈피 하였습니다.
제1배터리와 제3배터리가 폰배터리 각기종 자체 충전해 줍니다.
가정에서 220V로 듀얼로(1번 3번 혹은 2번3번 동시) 충전 됩니다.또한 출력도 제2배터리와 폰본체 듀얼로 충전 됩니다.
아이폰 태브릿 , 일체형폰은 케이블 연결 사용하면 됩니다.
잔량표시도 5단으로 선택스위치 선택에 따라 각각 배터리 잔량 표시해 줍니다.
뚜껑은 피쳐폰 예비배터리 충전거치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디자인 합니다.
블락 다이어그램이 없어서 내용을 보고 추측컨데
우선 가정용 전기로 개발하신 충전기 내부 배터리에 충전했놓고.
그 내부 배터리로 내게 필요한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한다는건가요?
만일 그렇다면, 시장에서 흔히보는 스마트폰 충전용 휴대 배터리 뱅크와 뭐가 다른가요?
네~
가정에 예비배터리 충전거치대와 보조배터리 그리고 케이블을 일체형으로 제작품 보조배터리 충전거치대 PCB 기판에 구성한 것입니다.
즉 차별화 되는것은 야외에서도 방전된 배터리 제 작품에 거치하면 케이블 없이 즉시 충전되어 충전시간 기다릴 필요가 없어 지지요~~
(스마트폰 배터리 다쓰기전에 제작품에 넣어둔 배터리는 언제나 이미 만충전되어 대기 하고 있는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배터리 사이즈 관계없이 거치 됩니다. 또한 기존 배터리 재활용하여 충방전 되고 확장형 배터리 탈부착으로 유저가 맞춤형 배터리 용량이 가능 합니다.
@발명가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예를들어 제가 삼성 겔럭시를 쓰는데, 별도로 배터리 충전용 작은 거치대가 있더군요.
그 거치대에는 작은 usb 소켓이 달려있구요.
이것을 야외에 들고 나갔다 가정하면, 배터리 뱅크로 부터 거치대 usb 소켓쪽으로 전압을 공급하면
배터리가 충전이 되는데요. 전원을 끄지 않는 이상, 장착된 대기 배터리는 항상 만충전이 되어있겠죠.
그러니까 배터리(전원 소스)가 내장된 휴대용 배터리 충전기란 것인가요?
(죄송합니다. 제 머리속에 확실히 그려지지 안하서 글이 길어졌습니다.)
@fish 그렇습니다.보통 예비배터리 충전거치대에 배터리 넣어서 가지고 다닙니다.
방전된 배터리 다시 장착하면 또 충전되는건 같습니다.
보조배터리+케이블+예비배터리 충전거치대 이렇게 필요 하지만...
제작품은 충전거치대와 케이블이 기판회로에 내장된 일체형 보조배터리 입니다.(배터리포함이된 멀티충전 거치대 맞습니다..)
그외 확장형 탈부착 배터리 및 기존배터리 재활용 충방전 기능등이 있습니다.
@발명가 예를들어 갤노트4는 배터리 1개만 줍니다 많이 사용하는 유저들은 충전거치대와 배터리1개더 구입합니다.
가격은 3~4만원 합니다.그리고 보조배터리도 구입해야 되고 합니다만
제 작품~2~3만원에 구입하면 충전거치대 및 케이블,보조배터리 따로 필요 없고 배터리 1개만 구입하면
멀티거치기능및 여러가지 기능 사용가능 합니다.
@발명가 배터리(전원소스)장착 하지않고 태양광으로 충전 할수도 있습니다만 아직 효율이 안좋아
차후에 태양광 패널 장착하면 배터리 즉시 교체 사용하는건 같습니다.
기존 태양광 패널 소스는 케이블로 스마트폰 바로 연결해서 충전하는 방식과
태양광 패널로 리튬 배터리에 충전해서 다시 케이블 연결해서 스마트폰에 재충전 2가지 방식 입니다
제 작품은 후자로서 태양광 패널이 스마트폰 예비배터리 충전해서 대기 함으로 즉시 교체 사용 가능한 3번째 신제품 입니다.
즉 소스가 배터리가 아닌 태양광이 되는것이지요~~
@발명가 태양광 패널 아래에 리튬 배터리 장착 하지않고 스마트폰 예비배터리 탈부착 되도록 장착합니다.
따라서 리튬배터리가 없어 단가가 현저히 저렴 합니다.
업소용 매장용으로 케이블 연결해서 폰본체 충전 서비스 하는 업체는 있습니다만
제 작품은 스마트폰은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예비배터리 충전하는 사업도 가능 합니다.
대단하십니다...잘 보았습니다..
KBS 황금의 펜타곤 시즌 3 서류심사 합격 통보받고 어제(일요일) 면접심사 및 시제품 시연 하고 왔습니다.
이번달말경 첫방송 합니다. 그때 제작품과 인터뷰등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2주차부터 본선 합격한분들 오디션 방송 합니다.이번주중에 본선 합격자 발표 있다는데...
제 작품도 24팀에 포함 되었으면 합니다.^^
드뎌 시제품이 나왔군요. 축하드립니다.
다만, 이 장치는 거치대와 보조밧데리를 연결하는 선을 없앤 것으로
간편하기는 하나 그만큼 불편사항도 따를 수 있겠습니다. 즉, 이 장치는
거치대와 보조밧데리를 일체화하다보니 기존의 보조뱃데리(파워뱅크)에 비해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는 없는데 구지 거치대를 휴대하고 싶지 않을 때에도
이 장치는 휴대를 해야만 하는 꼴이니 외려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네요..
그 점이 단점으로 보입니다. 열쇠는 소비자의 선택이겠지요....
그리고 요즘엔 휴대폰과 밧데리가 일체화되어 밧데리 교체가 아예 불가한 제품이
대세입니다. 아이폰은 물론 갤-6도 그렇지요. 그점도 감안하셔야..^^
네~ 고맙습니다.
원통형 리튬배터리보단 덜 두껍고 폴리머 장착 배터리보단 더두껍지요~
제작품도 폴리머 넣고 위에는 폰배터리 장착 아래하단에는 원통형 탈부착 배터리 두께가 폴리머 6mm /폰배터리 6mm/원통형 배터리 18mm(별도)
따라서 12mm 두께에 케이스두께 그리고 기판두께 3~4mm더하면 23mm 정도 되지요~
학생들 가방에 넣고 다니는게 좋습니다.
아이폰등 일체형 배터리는 다른 보조배터리처럼 케이블 연결해서 충전을 하면 되지요~`
년말 구글 조립폰 출시엔 제 작품이 딱이지요~~ 기존배터리 재활용 기능과 /배터리 확장형 기능과/ 폰분실 방지 기능도 있지요~
조위에 사진은 앞선 작품 금형이고 내일 3D 디자인 작품 도면 나옵니다.
@발명가 확장 할수 있는 원통형 리튬 배터리 장착하지 않은 보조배터리는 두께가 16mm 내외가 되겠네요~~
일본은 피쳐폰을 30% 정도 사용한다네요~~피처폰 배터리는 자주 갈아주면 됩니다.
배터리 소스없이 태양광 패널로 각기종 배터리 바로 충전하여 폰배터리 자주 갈아 줄수도 있습니다.
이제 곧 효율이 더좋은 태양광 패널이 나오겠지요~ 현재 판매하는건 6~10시간 충전시간이 걸리지만 제 작품엔
그 충전시간 크게 구애 받지 않습니다. 다만 70~80% 충전된 배터리 1번더 교채해준다 생각하면 언제나 충전을 하고 있는 보조배터리로 그 차별화가
확실하고 그 틈새시장도 있는거 같습니다.^^
ㅎ^ㅎ
요즘 스마트폰 고속충전기에 관한 기술들이 많이 나와 있더군요.
광고에는 마치 10여초 정도 충전하면 완료 되는걸로 보이도록 나와 있는데....30분에 60%정도가 일반적이더군요. 적어도 1시간 남짓 충전 해야 만땅이 된다면 저같으면 스페어 베터리를 소장하고 다니는게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하네여.
여유로운 시간대에 충전중인 스페어 베터리들은 조급할 필요도, 충전기들을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싶어요.
저도 필요 없는데 보조배터리 용량이 큰거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은 제 작품이 좋을것 같습니다.
사용중인 스마트폰 배터리 방전되기전에 항상 만충전되어 대기하고 있어 사실상 충전속도가 5초라 합니다.(교체시간이 5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