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골스러움이 물씬 풍기는 들꽃, 엉겅퀴가 꽃을 피웠습니다. 모란 옆에서 말입니다. 왕족같은 부티가 줄줄 흐르는 화려한 모란 곁에서 모란이 지자마자 준비가 되었다는듯 다발로 꽃을 피워낼 작정인가 봅니다. 사투리로 ‘항가꾸’ 라고 하며 이곳 주민들이 이것의 약효가 좋다고 눈에 불을 키고 찾아다녔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게 뭔가 했더니 엉겅퀴를 지칭한 것이더라고요. 사람들은 이것으로 국을 끓여 먹기도 합니다. 실상 꺾기도 힘들만큼 가시가 찔러대고 무척 억세보입니다. 그러나 끓인 후에는 부드럽고 먹을만 합니다.
≪ 엉겅퀴(대계) 무엇인가? ≫
실리마린 성분이 간세포활성화를 가져오는 엉겅퀴
▶ 항암작용(간암, 피부암, 자궁암, 방광암, 유선암, 담도악성종양, 임파육류, 여러 가지 암증),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간세포 활성화 작용, 혈액응고촉진작용, 산화방지제작용, 간의해독작용, 강압작용, 이담작용, 소염작용, 간을 튼튼하게 하는데, 양혈지혈, 산어소종, 지방간, 간경화, B형간염, C형간염, 담석증, 대상포진, 부비두염, 여성의 악성 빈혈, 간로로 오한과 발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몸이 수척해지며 정신이 혼미할 때, 목의 좌우에 결핵이 생겼거나 혹은 밤톨 만한 창이 생겨 빨갛게 부어오르고 곪아 고름이 나오며 오랫동안 아물지 않을 때, 타박상, 어혈로 인한 아픔, 충수염(맹장염), 건선, 부스럼으로 후끈후끈하고 빨갛게 부을 때, 내저제증, 열결혈림, 폐열에 의한 해혈, 심열에 의한 토혈, 입이 마르는 증상, 정력증진, 옻오른데, 토혈, 폐결핵, 고혈압, 코피, 부정자궁출혈 등 여러 가지 출혈, 소변 출혈, 대하, 신경통, 관절염, 견비통, 각종 간장질환, 동맥경화, 임파성결핵, 부스럼, 화상, 독사에 물린데, 숙취해소, 마약중독, 어혈을 다스리는 엉겅퀴
엉겅퀴는 국화과 엉겅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Cirsium japonicum DC.>이다.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는 50~100센티미터이고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잎보다 크다. 줄기잎은 피침상 타원형으로 깃처럼 갈라지고 밑은 원대를 감싸며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결실기는 9월이다.
시골에서는 흔히 '가시나물'이라고 부르며 연한 식물체를 나물로 해서 먹는다. 된장과 고추장에 박아서 먹기도 한다. 국화과의 엉겅퀴속은 전세계에 약 25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1종이 분포되어 있다.
엉겅퀴속에는 정영엉겅퀴, 깃잎정영엉겅퀴, 좁은잎엉겅퀴(참엉겅퀴), 가시엉겅퀴, 흰가시엉겅퀴, 버들잎엉겅퀴(솔엉겅퀴), 엉겅퀴(가시나물, 항가새), 섬엉겅퀴(물엉겅퀴), 큰엉겅퀴(장수엉겅퀴), 바늘엉겅퀴, 흰 바늘엉겅퀴, 도깨비엉겅퀴(거친엉겅퀴), 흰도깨비엉겅퀴, 고려엉겅퀴(곤드래나물), 흰고려엉겅퀴, 흰잎고려엉겅퀴, 깃잎고려엉겅퀴, 동래엉겅퀴, 흰잎엉겅퀴(소젖풀)가 자라고 있다.
지느러미엉겅퀴속에는 지느러미엉겅퀴(엉거시) 1종이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다. 엉겅퀴라는 이름의 유래는 엉겅퀴의 효능으로 인해 생겼다고 하는데, 엉겅퀴를 먹으면 피가 엉긴다고 하여 '엉겅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엉겅퀴의 다른 이름은 대계[大薊=dà jì=따↘지↘: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마계[馬薊: 범왕방(范汪方)], 호계[虎薊: 도홍경(陶弘景)], 자계[刺薊, 산우방:山牛旁: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계항초[鷄項草: 본초도경(本草圖經)], 계각자[鷄脚刺: 전남본초(滇南本草)], 야홍화[野紅花: 본초강목(本草綱目)], 자개[茨芥: 본초술(本草述)], 우촉취[牛觸嘴, 고추:鼓椎: 의림찬요(醫林纂要)], 계모자[鷄姆刺: 질문본초(質問本草)], 오계파[惡鷄婆: 초목편방(草木便方)], 대우사구[大牛喳口, 산나복:山蘿蔔: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저모자[猪姆刺, 육월상:六月霜, 의모자:蟻姆刺: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우구자[牛口刺: 절강중약수책(浙江中藥手冊)], 노호월리[老虎月利: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자나복[刺蘿蔔: 민간상용초약회편(民間常用草藥滙編)], 여찰취[驢扎嘴, 마자자:馬刺刺: 산서중약지(山西中藥誌)], 자갈자[刺秸子, 마자초:馬刺草: 중약재수책(中藥材手冊)], 우구설[牛口舌, 노호자:老虎刺: 초혜자:草鞋刺: 쇄파두:刷把頭: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토홍화[土紅花: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야자채[野刺菜: 약재학(藥材學)], 우불후[牛不嗅, 저마채:猪媽菜: 민동본초(閩東本草)], 우자륵채[牛刺竻菜, 늑채:竻菜, 조불박:鳥不撲: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아자미[アザミ=薊: 일본명(日本名)], 산수방, 엉거시, 소젖풀, 엉것귀, 엉겅퀴, 가시나물, 항가새 등으로 부른다.
[채취]
여름과 가을에 꽃이 활짝 피었을 때에 포기를 베어 줄기 밑동 아래 누렇거나 검게 죽은 잎은 떼어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가을에 채취한 것이 좋다. 뿌리는 8~10월에 파서 진흙과 남은 줄기를 없애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전초에는 알칼로이드(alkaloid), 정유를 함유하고 있다. 뿌리는 taraxasteryl acetate, stigmasterol,α-amyrin, β-amyrin, β-sitosterol을 함유하고 있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1, 혈압에 대한 작용: 물 추출액, 알코올-물 추출액, 알코올 추출액을 개, 고양이, rabbit에 사용한 결과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하였다.
2, 항균작용: in vitro에서 대계(大薊: 품종미상) 뿌리의 전제(煎劑) 또는 전초의 증류액은 1:4000의 농도일 때 인형(人型) 결핵균을 억제하지만 전제(煎劑)의 세균 억제 농도는 이것보다 높다. [중약대사전]
[포제(炮製)]
대계(大薊): 잡물을 없애 버리고 맑은 물로 깨끗이 씻어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었으면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대계탄(大薊炭): 깨끗한 대계를 가마에 넣고 약성이 남을 정도로 쎈불로 7할 정도가 흑색으로 될 때까지 볶는다. 철사로 엮어 만든 키로 쳐서 맑은 물을 뿌린 다음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본초통현(本草通玄)>: "술로 씻거나 12살 미만의 사내아이의 오줌과 섞어 약간 볶는다."
[성미(性味)]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1, <명의별록>: "뿌리의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2, <약성론>: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3, <일화자제가본초>: "잎은 성질이 서늘하다."
4, <본초휘언>: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간(肝),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1, <전남본초>: "간(肝), 비(脾), 신(腎)의 3경(經)에 들어간다."
2, <본초신편>: "폐(肺), 비(脾)의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藥效)와 주치(主治)]
피를 차게 하고 출혈을 멎게 하며 어혈을 없애고 조그마한 종기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토혈, 코피, 요혈, 혈림(血淋), 자궁출혈, 대하증, 직장 궤양 출혈, 충수염, 옹양종독(癰瘍腫毒), 정창(疔瘡)을 치료한다.
1, <명의별록>: "뿌리는 주로 양정보혈(養精保血)한다. 여성의 적백대하를 주치하고 안태(安胎)하며 토혈, 코피를 멎게 한다."
2, <약성론>: "뿌리는 자궁출혈을 멎게 한다."
3, <당본초>: "뿌리는 조그마한 종기를 치료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잎으로 충수염, 뱃 속의 어혈, 혈행이 불량한 증상을 치료하려면 신선한 것을 갈아 술과 소변을 적당히 섞어서 복용한다. 악창과 옴의 치료에는 소금과 함께 갈아서 상처를 덮어 싸맨다."
5, <전남본초>: "어혈을 없애고 신혈(新血)을 생성하며 토혈, 코피를 멎게한다. 소아의 요혈, 여성의 자궁출혈을 치료하며 제경(諸經)의 혈(血)을 생성하고 보하며 창독을 없앤다. 또한 나력으로 인한 결핵을 제거하고 창옹(瘡癰)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경우에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고름을 빼낸다."
6, <옥추약해>: "칼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를 치료한다."
7, <의림찬요>: "견신수(堅腎水)하고 혈열(血熱)을 없애며 설역기(泄逆氣)한다. 직장 궤양 출혈, 충수염을 치료한다."
8, <복건민간초약>: "피를 차게 하고 출혈을 멎게 하며 염증을 없애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폐열(肺熱)에 의한 해혈, 열결(熱結)로 인한 혈림(血淋), 부스럼, 옻이 올아 생긴 피부병, 화상을 치료한다."
[용법(用法)과 용량(用量)]
내복: 6~12g(신선한 것은 37.5~7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혹은 찧어서 즙을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찧어서 바르거나 찧은 즙을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하고 어체(瘀滯)가 없는 자는 먹으면 안된다.
1, <본초품회정요>: "철기(鐵器)를 꺼린다."
2, <신농본초경소>: "위약(胃弱)으로 인한 설사 및 심한 빈혈, 비위(脾胃)가 약하고 식욕이 부진한 자에게는 먹어도 이롭지 않다."
엉겅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원색 한국본초도감> 제 494면 63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대계(大薊)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엉겅퀴(Cirsium maackii Maxim), 큰엉겅퀴(Cirsium pendulum Fischer), 섬엉겅퀴(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바늘엉겅퀴(Cirsium rhinoceros Nakai)의 지상부와 뿌리이다.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는 약용하지 않는다.
성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양혈지혈(凉血止血), 산어소종(散瘀消腫)
해설: ① 약성이 서늘하여 열로 인한 각혈, 코피, 자궁 출혈, 소변 출혈 등을 치료한다. ② 내, 외과의 염증성 질환(충수염, 폐농양, 화상)으로 인한 종기 등에 내복하거나 짓찧어 붙인다. ③ 급성간염으로 인한 황달에 쓰인다. ④ 고혈압에 뿌리를 사용하며, ⑤ 민간에서는 뿌리를 신경통에 활용한다.
성분: alkaloid,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① 볶아서 태운 것은 출혈 시간을 단축시킨다. ② 물에 담가 우린 액은 고양이와 토끼의 혈압을 내리고, ③ 뿌리를 달인 물은 결핵균, 뇌막염균, 디프테리아균을 억제한다.
임상 보고: ① 각종 혈뇨, 소화기 출혈,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에 현저한 지혈 반응을 보였고, ② 고혈압에 혈압 강하 작용을 보였다. ③ 폐결핵에 뿌리 40g(생것)을 물을 넣고 달여서 매일 2회로 나누어 복용하자 현저한 반응을 보였다.]
엉겅퀴의 효능에 관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501면 63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 DC. var. ussuriense (Regel) Kitamura]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0.5~1m. 꽃은 자줏빛으로 6~8월에 피며 지름 3~5cm이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3.5~4mm이고, 관모는 길이 16~19mm이다.
분포/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우수리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 또는 뿌리를 대계(大薊)라고 하며, 양혈. 지혈, 거어, 소옹종(消癰腫)의 효능이 있고, 토혈, 육혈(衄血), 혈뇨, 혈붕, 대하, 옹양종독(癰瘍腫毒)을 치료한다.
성분/ taraxasteryl acetate, stigmasterol, α-amy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은 개, 토끼, 고양이 등의 혈압을 강하시키고, 결핵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또는 뿌리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엉겅퀴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대계(大薊) //엉겅퀴, 호계(虎薊), 자계(刺薊), 산수방// [본초]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엉겅퀴(Cirsium Maa- ckii Maxim.)와 큰 엉겅퀴(C. pendulum Fisch), 지느러미엉겅퀴(Cardus crispul L.)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여러 종류의 엉겅퀴들은 각지의 산과 들에서 널리 자란다. 여름철 꽃피는 시기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출혈을 멈추며 어혈(瘀血)을 삭이고 부스럼을 낫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혈액응고촉진작용, 강압작용, 이담작용 등이 밝혀졌다.
토혈, 코피, 부정자궁출혈 등 여러 가지 출혈, 대하, 부스럼, 어혈 등에 쓴다. 하루 6~12g, 신선한 것은 30~60g을 물로 달여 먹거나 즙을 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신선한 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엉겅퀴의 효능과 관련하여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73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엉겅퀴(Cirsium maackii Maxim.)
식물: 높이 약 1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고 갈라졌으며 가장자리에 가시톱니가 있다. 가지 끝에 둥근 꽃이삭이 달린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전초(대계): 꽃필 때 베어 그늘에 말린다.
동의치료에서 쓰이는 대계는 아직 원식물이 밝혀져 있지 않으며 지느러미엉겅퀴, 개지칭개(Cirsium setosus Kitam.), 큰엉겅퀴(Cirsium pendula Fischer ex DC.) 등 비슷하게 생긴 식물들을 모두 쓰고 있다. 옛 동의문헌에서는 뿌리를 썼다고 한다.
성분: 전초에 플라보노이드, 정유, 알칼로이드, 수지, 이눌린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열내림약, 피멎이약, 곪은 것을 푸는 약으로 토혈, 각혈, 붕루하혈, 피오줌, 외상성 출혈, 종창, 고름집, 고장 등에 쓴다. 때로는 전초와 함께 뿌리도 쓴다. 대계는 소계보다 피멎이작용이 세고 이밖에 곪은 데 쓴다고 한다.
엉겅퀴 달임약(6~12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는 엉겅퀴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대계(大薊, 엉겅퀴)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어혈이 풀리게 하고 피를 토하는 것, 코피를 흘리는 것을 멎게 하며 옹종과 옴과 버짐을 낫게 한다. 여자의 적백대하를 낫게 하고 정(精)을 보태 주며 혈을 보한다. 곳곳에서 자라는데 음력 5월에 금방 돋아난 잎을 뜯고 9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지정(地丁)이 즉 엉겅퀴이다. 꽃이 누른 것은 황화지정(黄花地丁)이라 하고 꽃이 자줏빛인 것을 자화지정(紫花地丁)이라 하는데 다 같이 옹종을 낫게 한다[정전]]
엉겅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197면 1391호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대계(大薊)
기원: 국화과(Compositae) 식물인 대계(大薊: Cirsium japonicum DC.)의 지상부분 또는 뿌리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뿌리는 족생(簇生)하며 원추형(圓錐形)이고, 줄기는 직립하고 가느다란 세로무늬가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총생(叢生)하며 도피침형(倒披針形)이고 우상(羽状)의 심열(深裂)이 있으며, 잎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치아상(歯牙状)이며 거치의 끝에는 침과 같은 거치가 있고 잎의 양면(両面)에는 털이 있으며 기부(基部)는 점점 좁아져서 양옆에 날개가 달린 납작한 잎자루를 형성하고, 경생엽(茎生葉)은 어긋나며 기부(基部)는 심장형(心臓形)으로 줄기를 싼다. 두상화서(頭状花序)가 정생(頂生)하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총포편(総苞片)은 피침형(披針形)이고 모두 통상화(筒状花)이며 자홍색(紫紅色)이고 양성(両性)이다. 수과(痩果)는 납작한 타원형며, 관모(冠毛)는 여러 층이고 우모상(羽毛状)이다.
분포: 산이나 들의 길가나 황무지에서 자란다. 중국의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 겨울에 뿌리를 캐어서 씻은 뒤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채로 사용한다. 6-8월에 꽃이피는 시기에 지상부를 잘라서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채로 사용한다.
성분: alkaloid, volatile oils,
기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양혈(涼血), 지혈(止血), 거어(祛瘀), 소종(消腫)
주치: 토혈(吐血), 변혈(便血), 요혈(尿血), 붕혈(崩血), 옹종(癰腫)
용량 및 제법: 4.5-9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신선한 것은 5-1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시는 짓찧어서 붙이거나 즙을 내어서 바른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0191호.]
조뱅이와 엉겅퀴의 항암작용에 대해 상민의(常敏毅)의 <항암본초(抗癌本草)> 79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소계[小薊: 조뱅이 : 부록: 대계(大薊: 엉겅퀴)]
<중국약학대사전(中國藥學大辭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고 정(精)을 양(養)하며 혈(血)을 보(保)한다."
이 약은 국화과 식물 조뱅이(Cephalanoplos segetum)의 전초인데, 지하경도 약으로 쓴다. 도처의 잡초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본품은 임상 실제에서 대계(大薊: 엉겅퀴)와 함께 쓰인다. 외국에서도 조뱅이에 근사한 Cnicus benedictus를 가루로 만들어 만든 고제(膏劑)를 환부에 발라 피부암을 치료하였다.
[항암 약리]
본품은 엘릿히복수암 세포에 억제작용이 있다.
[시용 방제]
자궁암(子宮癌): 대계(大薊: 엉겅퀴) 18g, 소계(小薊: 조뱅이) 18g, 박하(薄荷) 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동북중초약수책(東北中草藥手冊)]
방광암: 조뱅이, 엉겅퀴, 반지련(半枝蓮), 포황탄(蒲黃炭), 차전자(車前子), 관중탄(貫衆炭), 괴화탄(槐花炭),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각 30g, 지모(知母), 적복령(赤茯苓), 저령(猪苓), 황백(黃柏) 생지(生地) 각 12g을 하루에 1첩씩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실용종류학(實用腫瘤學)]
여러 가지 암증: 조뱅이 15g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중의약연구자료(中醫藥硏究資料) (6), 1978년]
임파육류: 엉겅퀴뿌리 90g을 돼지 살코기와 함께 삶아서 고기와 국물을 먹는다. 하루에 1번 먹는다. [신중의(新中醫) (5), 1977년]
담도악성종양: 조뱅이 15g, 해금사(海金砂), 인진(茵陳), 울금(鬱金) 각 12g, 계내금(鷄內金), 목향(木香), 황금(黃芩) 각 9g, 시호(柴胡), 생감초(生甘草) 각 6g, 연전초(連錢草), 수양매근(水楊梅根) 각 30g을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종류방치(腫瘤防治)]
[역대평의]
1, <당본초(唐本草)>: "엉겅퀴와 조뱅이는 모두 어혈을 부술 수 있는데 엉겅퀴는 아울러 옹종을 다스리며 조뱅이는 오로지 혈(血)을 주재한다."
2,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 "조뱅이는 열독을 다스리며 아울러 격흉(膈胸)의 번민(煩悶)도 다스리고 위를 열어 먹은 것이 내리게 하며 열을 물리치고 허손을 보한다. 엉겅퀴의 잎은 복장내(腹臟內)의 어혈을 다스린다."
3, <보제방(普濟方)>: "혀에서 자꾸 피가 흐르는 경우에 엉겅퀴의 즙을 짓찧어 술에 화(和)하여 먹으며 마른 것은 가루를 내어 찬물에 먹는다."
[부록: 대계(大薊: 엉겅퀴)]
일본의 장염객신(長鹽客伸)이 1977년에 지은 <현대중국(現代中國)의 암의료(癌醫療)>라는 책에 일본민간에서 엉겅퀴로서 유선암(乳腺癌)을 치료하여 일정한 효과를 얻었다는 것이 소개되어 있다. 사용법은 이러하다. "신선한 엉겅퀴의 잎과 달걀 흰자위를 함께 짓찧어 아픈 곳에 붙인다." 매우 간단하여 누구나 다 시험할 수 있다.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에 "엉겅퀴잎은 복장내(腹臟內)의 어혈을 다스린다."라고 씌여있는데 사용법은 알 수 없다. 그러나 일본민간에서 달걀 흰자위와 함께 짓찧어 쓰는 용법은 배울 만하다.]
고려엉겅퀴와 관련하여 <강원의 약초와 산채> 207-21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곤드레도 엉겅퀴의 일종
엉겅퀴는 국화과의 다년초로서 영어로 시슬(Thistle)이라고 하고 한자로는 대계(大薊), 소계(小薊), 자계(刺薊), 우륙구(牛戮口)라고 부르며 우리 나라에서는 지방에 따라 가시나물, 항가새라고 한다. 특히 고려엉겅퀴는 <곤드레>라고 하며 이 곤드레는 정선아리랑에 나올 정도로 특히 정선 지방에서 유명한 산채다.
초장이 50~100cm 정도이며 전체에 자라면서 없어지는 백색의 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근생엽은 길이 15~30cm, 너비 6~15cm의 장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꽃츤 6~8월에 피며 가지 끝에 자줏빛과 붉은색의 두화가 핀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가 3~4cm 정도로 16~19cm의 관모가 있다.
순과 줄기는 식용, 뿌리는 약용
엉겅퀴의 생채 100g당 영양소 함량은 단백질 27.4g, 지질 2.2g, 탄수화물 39.5g, 회분 8.2g, 칼슘 156mg, 인 330mg, 철 10.9mg, 칼륨 681mg, 비타민 A 35 IU, 비타민 B1 0,41mg, 비타민 B2 1.22mg, 비타민 C 6mg, 나이아신 2.4mg 등으로 단백질 함량이 산채류 중에서 매우 높은 것이 특징임을 알 수 있다.
곤드레라고 하는 고려엉겅퀴는 생채 100g당 영양 함량이 단백질 20.5g, 지질 3.9g, 탄수화물 40.9g, 회분 11.1g, 칼슘 89mg, 인 111mg, 철 2.7mg, 비타민 A 44 IU, 비타민 B1 0.03mg, 비타민 B2 0.07mg, 비타민 C 1mg, 나이아신 0.7mg 등으로 엉겅퀴보다 약간 낮은 편이다.
엉겅퀴는 어린순과 줄기를 식용으로 하며 뿌리를 주로 약용으로 쓴다. 엉겅퀴는 향기가 강하고 씹기가 좋으며 순한 맛으로 사람들이 좋아하지만 한편으로는 변색하기 쉽고 또한 떫은맛이 상당히 강하여 떫은맛을 우려내야 한다. 튀김, 데친나물, 된장무침, 마요네즈무침, 설탕절임, 소금절임 등으로 조리해서 먹거나 가공하여 먹는다.
어린잎을 소금 한 줌을 넣은 끓는 물에 데쳐서 그 물에 담가 떫은맛을 우려내고 잘게 썰은 다음 깨소금, 겨자, 간장, 고추장 등으로 무친다. 뿌리는 심(芯)을 2~3cm 길이로 자른 다음 데쳐서 물에 우린다(쌀뜬물에 하룻밤 재우면 좋다). 떫은맛을 충분히 뺀 것을 기름에 볶고 간장에 조린다. 고춧가루나 고추장에 절여도 맛이 좋다.
엉겅퀴는 펙토리나린(pectolinarin), 아카세틴(acacetin), 람노글루코사이드(rhamnoglucoside), 시리네올(ciryneol A, B, C, D, E), 헵타디신(heptadecene) 등과 같은 약리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잎의 생즙은 관절염, 종기, 치질 세척제로 효과가 있고 뿌리를 잘게 썰어 양건한 다음 달여서 약용(건위, 강장, 소염, 해독, 이뇨)하여 신경통에 유효하고 마른 잎은 토혈, 출혈 등의 지혈제로도 효과가 있다. 생리불순에는 어린잎 30g에 2.5컵의 물을 넣고 약한 불에서 반 분량이 되게 달인 것을 식전 또는 식간에 나누어 마신다. 건위를 위해서는 말린 뿌리 썬 것 15g을 1.5컵의 물에 넣고 약한 불에서 반 분량이 되게 달여 식전에 마신다.
산성과 습한 토양에 강하다
엉겅퀴는 해가 잘 들면서 아침과 저녁이 시원하고 공중습도가 높은 곳이 재배하기 좋으며 건조가 계속되는 곳은 적합하지 않다. 밭에서는 토층이 두꺼워 배수가 양호하면서 보수력도 좋은 비옥지가 이상적이다. 토질은 충적의 사질양토가 좋다. 산성토양에 대하여 상당히 강하며 습지에도 잘 견딘다. 그러나 엉겅퀴는 연작을 싫어하므로 같은 토야에서 3년 이상 재배하지 말고 토양을 바꿔주는 것이 좋다.
밭에서는 재식하기 1개월 전에 1a당 퇴비 50kg, 마른계분 50kg, 유기질비료 14kg, 고토석회 10kg을 기비로 전면에 뿌려주고 약간 깊게 경운한다. 종근은 1a당 30kg이 필요하며 대형이며 줄기가 직립하고 뿌리가 굵고 육질인 것이 재배에 적합하다.
번식은 분주나 실생으로 하지만 분주하는 것이 좋다. 대량의 그루가 필요한 때에는 산에서 채취한 그루를 밭에서 1년간 양성하여 이듬해 그 장소에서 그대로 하우스를 덮어서 연화재배(軟化裁培)하는 것이 좋다. 연화재배한 것이 떫은맛이 적고 맛과 향기가 좋아 생식용으로 적합하다.
산에서 채취하는 시기는 동설한을 피해서 11월이나 3월이 좋다. 실생번식은 종근을 확보하여 모두를 양성하고 그 모주에서 채종하는 것이 발아력이 높다.
밭에 심을 때 재식시기는 11월이나 3월하순~4월하순이 좋다. 표준 재식거리는 이랑폭 80cm, 주간 50cm로 1a당 소요주를 250본으로 한다. 재식구덩이는 15~20cm이 깊이로 하고 근주의 자세를 바르게 심고 흙으로 세워 준다. 너무 깊게 심으면 눈의 위치가 가지런하지 않게 되는 것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대주(大株)의 경우에는 재식구덩이를 깊게 파는 것이 좋다. 강한 광선이 쪼이는 곳에서는 대밭이나 차광막으로 해가림을 해주는 것이 좋다.
엉겅퀴의 근주를 심은 밭이나 화분에는 짚을 썬 것이나 왕겨를 6cm 정도의 두께로 덮고 그 위에 pipe house나 비닐 턴넬을 설치하여 연화재배 할 수도 있다. 피복시기는 1~2월경이 좋으며 피복재의 안쪽은 스티로폴이나 왕골 등을 활용하여 보온성을 높인다.
추운 지방에서는 야간에 가온이 필요하며 또한 건조할 때는 반드시 관수를 해준다.
어린순이 20cm 정도로 신장하면 줄기마다 1본을 남기고 어린순 전체를 수확하여 이용한다. 엉겅퀴는 잎이 부러지면 갈변하는 것이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 엉겅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심열(心熱)에 의한 토혈, 입이 마르는 자
엉겅퀴의의 잎 및 뿌리를 짓찧은 즙을 한 번에 작은 잔으로 자주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2, 토혈, 코피, 자궁출혈
엉겅퀴 1움큼을 짓찧은 즙 반 되를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3, 폐열(肺熱)에 의한 해혈
엉겅퀴의 신선한 뿌리 37g을 깨끗이 씻은 후 절굿공이로 보드랍게 짓찧어 빙당(氷糖) 18.5g을 넣고 반사발을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에 두 번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4, 열결혈림(熱結血淋)
엉겅퀴의 신선한 뿌리 37~111g을 깨끗이 씻고 짓찧어 끓인 물을 적당히 넣고 약한 불에 1시간 가량 끓인다. 하루에 3회를 식전에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5, 여성의 자궁출혈, 백대하가 멎지 않을 때
엉겅퀴 18.5g, 토애엽(土艾葉) 11.1g, 백계관화자(白鷄冠花子) 7.4g, 목이(木耳) 7.4g, 초황백(炒黃柏: 백대하에는 황백을 쓰지 않는다) 18.5g을 술이나 물과 함께 뭉근한 불에 오래 끓여서 복용한다. [전남본초(滇南本草)]
6, 충수염(맹장의 아래쪽에 있는 충수에 생기는 염증. 오른쪽 아랫배에 심한 통증이 있고 발열, 메스꺼움, 구토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터져서 천공성 복막염 따위의 합병증을 일으킨다. 맹장염이라고도 한다.), 내저제증(內疽諸證)
엉겅퀴 뿌리와 잎, 지유(地楡), 우슬(牛膝), 금은화(金銀花)를 짓찧은 즙을 더운 술로 복용한다. 신선한 것이 없는 때에는 건조한 잎을 달여서 마셔도 좋다. [본초휘언(本草彙言)]
7, 충수염
신선한 엉겅퀴 148g을 물로 달여서 아침, 저녁으로 식후에 복용한다. [민동본초(閩東本草)]
8, 부스럼으로 후끈후끈하고 빨갛게 부을 때
엉겅퀴의 신선한 뿌리와 동밀(冬蜜)을 함께 짓찧어 상처에 붙인다. 하루에 두 번 바꾼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9, 타박상, 어혈로 인한 아픔
엉겅퀴 즙을 더운 술로 마신다. [본초휘언(本草彙言)]
10, 목의 좌우에 결핵이 생겼거나 혹은 밤톨 만한 창(瘡)이 생겨 빨갛게 부어오르고 곪아 고름이 나오며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경우
양의 다소를 막론하고 엉겅퀴의 뿌리만을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와 함께 물로 끓인다. 혹은 엉겅퀴만을 약한 불에 장시간 달여서 물 또는 술을 조금 넣어 복용한다. 외용에는 신선한 엉겅퀴를 짓찧어 발회(發灰), 아차(兒茶), 혈갈(血竭)과 섞어 상처에 바르면 새살이 돋아나온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1, 화상
엉겅퀴의 신선한 뿌리를 끓여 식힌 물로 깨끗이 씻은 후 짓찧는다. 천에 싸서 약한 불에 끓여서 짠 즙을 1일 2~3회 바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2, 여성의 건혈로(乾血癆: 여자가 월경이 나오지 않아 신체가 쇠약해지고 피부가 까칠까칠 해지며 안색이 검어지는 악성 빈혈의 일종) 또는 ※간로(肝癆)로 오한과 발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몸이 수척해지며 정신이 혼미할 때의 치료
신선한 엉겅퀴 75g, 황우육(黃牛肉: 누런소의 고기) 148g을 약탕관(藥湯罐)에 넣고 흐물흐물하게 끓여서 새벽에 먹은 후 또 다시 깊이 잠든다. 소금을 꺼린다. [전남본초(滇南本草)]
※ 간로(肝癆)란?: <고려의학대사전 17-18면>: "1) 허로의 하나. 간이 허손되어 오는 허로를 말한다. 얼굴색이 컴컴하고 윤기가 없으며 양옆구리가 켕기고 가슴이 아프며 힘줄이 헤워서 움직이기 힘들다. 때로 정신이 불안하여 혼자 누워있지 못한다.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자주 눈물을 흘린다. 간을 보하는 방법으로 보간환이나 자보양영환을 쓴다.
2) 눈병의 하나. 피로를 느끼지 않을 정도의 일을 하여도 이마의 압박감이 있고 머리가 아프며 잘 보이지 않고 물체가 둘로 보인다. 오랫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책을 보거나 일을 하여도 심신이 장애되고 기혈이 소모되어 눈을 영양하지 못하거나 간, 신의 정혈소모로 눈을 영양하지 못하여 생긴다고 한다. 체질이 약하거나 기혈과 간, 신이 부족한 경우에도 잘 생긴다. 눈의 피로감, 눈알이 불어나는감과 머리 아픔이 있으며 심하면 메스껍고 게우기도 한다. 생활섭생을 잘 지키고 적당한 휴식을 하여도 눈의 피로가 풀린다. 그러나 심혈부족이나 심신장애증상이 있을 때에는 자음양혈, 보심녕신법으로 천왕보심단을 가감하여 쓴다. 간, 신허증상이 있으면 간, 신을 보하는 방법으로 기룩지황환이나 가감주경환을, 체질이 허약하고 기혈이 부족한 증상이 있으면 익기양혈법으로 팔물탕을 가감하여 쓴다. ※ 안정 피로에 해당한다."
13, 옻이 올라 생긴 피부병
엉겅퀴의 신선한 뿌리 1웅큼을 깨끗이 씻은 다음 동유(桐油: 유동(油桐)나무 씨에서 짠 기름)를 조금 넣고 짓찧는다. 천에 싸서 약한 불에 덥혀서 짠 즙액을 1일 3~4회 바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4, 부비두염(副鼻竇炎)
신선한 엉겅퀴의 뿌리 148g, 달걀 2~3개를 함께 삶아서 달걀을 먹고 즙액을 마신다. 매운 음식 등의 자극적인 음식은 삼간다. [전전선편(全展選編), 오관과(五官科)]
15, 대상포진(帶狀疱疹)
큰엉겅퀴(대계:大薊), 작은엉겅퀴(소계:小薊), 신선한 우유 각 적당량. 큰엉겅퀴, 작은엉겅퀴를 신선한 우유에 담가 연하게 한 후 찧어 고약으로 만들어 바른다. [내몽고(內蒙古),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16, 폐결핵(임상보고)
신선한 엉겅퀴의 뿌리를 깨끗이 씻고 1일 200g에 400ml의 물을 가하고 약한 불에 200ml가 될 때까지 달여서 2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또는 10ml에 생약 10g을 포함한 주사액을 만들어 근육 주사 혹은 기관(氣管)에 떨구어 넣는다. 18례를 관찰한 결과 전제(煎劑)로 치료한 것이 5례, 주사로 치료한 것이 11례, 기관에 적주(滴注)한 것이 2례이며 투약일 수는 15~72일로 다르다. 결과는 X선 흉부사진을 대비 비교하면 치료 후 병변이 현저히 흡수 3례, 흡수 8례, 무변화 7례였다. 일부 병례에서는 해소, 객담, 흉통 및 가래를 뱉으며 발열 등의 증상이 정도는 다르지만 호전되었다. 치료중 전제(煎劑)를 먹어서 위(胃)가 부풀고 불쾌감을 느낀 사람이 있었으며 그 경우에는 생강(生薑), 진피(陳皮), 법반하(法半夏) 등을 가하면 경감된다. [중약대사전]
17, 고혈압(임상보고)
신선한 말린 뿌리를 물에 약 30분간 담갔다가 세 번 달이고 한 번에 30분간 펄펄 끓게 한다. 여과액을 합해서 농축하고 매 100ml가 생약 25g에 해당하도록 전제(煎劑)를 만든다. 아침 저녁 1번씩 각 100ml를 복용한다. 또는 신선한 말린 뿌리 혹은 잎으로 엑스 정제(錠劑)를 만든다. 뿌리로 만든 엑스 정제는 1일 3회, 1회 4알을 복용한다. 1일의 양은 말린 뿌리 50g에 상당한다. 잎으로 만든 정제는 1일 3회, 1회 3알을 복용한다. 1일의 양은 말린 잎 약 15g에 해당하도록 한다. 임상관찰한 102례에서 일부 현운(眩暈), 심계 항진, 불면증 등의 증상이 약간 중한 환자에게는 브롬제(브롬이 들어 있는 약. 중추 신경계의 감수성을 억제하므로 진정제·진경제(鎭痙劑)·진통제), meprobamate 혹은 chlordiazepoxide등의 진정 약물을 적당히 배합하고 엉겅퀴만을 써서 치료하였다. 치료 단계는 1주일간~3개월로 다르게 하여 그 중 처음 전제(煎劑)를 쓰고 후에 뿌리로 만든 정제로 바꾸어 치료한 72례의 결과는 현효(수축기혈압이 40mmHg 이상 하강 또는 이완기혈압이 20mmHg 이상 하강한 자) 17례, 유효(수축기 혈압이 20mmHg이상 하강하지만 40mmHg에는 도달하지 못한 자, 또한 이완기 혈압이 10mmHg이상 하강하지만 20mmHg이상에 도달하지 못한 자, 혹은 초기의 고혈압증 혈압이 140/90mmHg으로 하강한 자) 45례, 무효 10례이며 유효율은 86.1%였다. 잎의 정제를 쓴 30례를 관찰한 결과 현효(표준은 상동) 5례, 유효 10례, 무효 15례이고 치료 효과는 조금 못하였다.
부작용: 공복에 정제 복용 후 위에 불쾌감 혹은 오심 등의 약물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소수 있지만 식후에 복용하면 증상이 경감한다. [중약대사전]
18, 건선
엉겅퀴(Silybum marianum)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실리마린은 건선 치료에 유익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리마린은 간 기능을 개선하고, 염증을 억제하며, 과다한 세포 증식을 감소하는 효능이 있다.
간 기능 손상: 간 기능 이상 교정은 건선 치료에 매우 유익하다. 간과 건선의 관련성은 간의 기본적인 기능과 관련이 있다. 혈액의 여과와 해독이 그것이다. 앞에서 말한 바대로 건선은 혈액에 존재하는 여러 미생물의 부산물과 관련이 있다. 간이 과다한 장내 독소의 수치에 압독되거나 간의 해독 능력이 떨어지면, 혈액 내 독소 수치가 상승해 건선은 더 심해진다. 알코올 남용도 건선을 악화한다. 알코올은 장에서 독소의 흡수를 촉진하고, 간 기능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건선 환자는 알코올 섭취를 피해야 한다. [자연의학 백과사전 338~339면]
"① 엉겅퀴
용량은 베르베린 함량을 토대로 한다. 다양한 품질의 엉겅퀴 제제가 있지만 표준 추출물을 선호한다.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해 1일 3회 복용한다.
1) 건조 뿌리 또는 우린 것(차): 2~4g
2) 액상 추출물(1:1): 2~4ml
3) 고형(건조한 분말) 추출물(4:1 또는 8~12% 알칼로이드 함량): 250~500mg." [자연의학 백과사전 343면]
19, 간암
엉겅퀴 뿌리와 삼백초 뿌리 줄기를 각각 100~150g씩 물에 달여서 하루 2번 먹으면 간암치료에 효과가 있다. [조선약초전서 제 2권 55면]
1931년 플로렌스 H. 크렌이 순천에서 쓴 <한국의 야생화 이야기>에서는 고려엉겅퀴에 대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 Blue Thistle.)
What cow would eat a thistle? But this 'thorn flower', nevertheless, gives up a 'valued drug', from its roots.
어떤 소가 고려엉겅퀴를 먹으려 할까? 그러나 이 '가시 돋친 꽃'은 가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뿌리는 '소중한 약재'로 쓰인다.]
엉겅퀴의 성분인 'silymarin'은 시중에 간 기능 개선제로 건강기능식품으로 출시되어 있다.
인터넷에 엉겅퀴에 대한 자료에 의하면 이러한 내용이 실려있다.
[엉겅퀴
밀크 티슬(엉겅퀴)은 소화기능보조식품으로 수천년간을 알려져 온 허브이다. 그중에서도 간과 쓸개관련 질병에 좋은 가장 뛰어난 허브로 유명하다. 엉겅퀴는 모든 종류의 간 관련 질병 치료에 특히 좋은 효능을 보이는데 이미 의약관련 실험소나 실제 복용을 통한 연구로 밝혀졌다.
주요 성분은 silymarin Silybin, Silydianin과 Silychristin 등이다. 간 관련 질병뿐만 아니라 엉겅퀴 제품은 알콜중독, 간염에도 좋으며 간에 해로운 독성과 다른 유해 물질 제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엉겅퀴에서 추출해 낸 silymarin은 flavonolignan인 silibinin, silicristin, silidianin의 이성체의 혼합물로서 마리아 엉겅퀴의 성숙한 열매의 주 구성물질이다.
동물간의 미토콘드리아 및 마이크로좀에서의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여 주는 효과와 ccl4에 의한 독성에 대해 보호작용도 있다. 간세포막의 변화를 안정시킴으로써 간세포에 대한 직접적 보호작용도 있다.
강한 천연지혈제 엉겅퀴
간 관련 질병/천연지혈제/고혈압/결석
① 간, 담낭, 마른버짐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이용한다.
② 뿌리는 가을에 캐고 잎과 줄기는 꽃이 필 시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③ 약리실험에서 해열 ,지혈, 혈액응고, 혈압강하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④ 토혈, 각혈, 하혈, 외상출혈, 산후출혈, 대하증 등에 이용된다(엉겅퀴의 지혈작용).
⑤ 고혈압증에도 좋으며 피의 흐름을 좋게 한다.
⑥ 민간요법에서는 유방암에 써왔다.
(잎과 뿌리를 짓찧어 나온 즙 + 달걀 흰자위 = 유방에 붙힌다)
⑦ 간경변증, 만성간염, 지방간, 임산부 담즙분비 장애증, 담관염증에 큰 효험
⑧ 최근 연구에는 엉겅퀴의 실리마린이 담석이나 결석을 분해하여 해소시켜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
⑨ 익은 씨에는 '실리마린'이라는 물질이 풍부하다.
⑩ 씨를 갈아 한 번에 1찻술 가량을 1/2컵의 물에 타서 하루 4~5회 복용한다.
⑪ 씨 1찻술을 1/2컵의 끓는 물로 우려내어 하루 1~1.5컵을 2~3회 나누어 복용한다.
※ 엉겅퀴에 들어 있는 실리마린(silymarin)
간과 담낭을 보호하고 치료하는 약초 성분 중 가장 효능이 뛰어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항산화작용이 비타민E의 10배에 이르며 간이 분비하는 글루타티온(glutathion)이라는 성분의 분비량을 35% 증가시켜 준다고 한다.
※ 글루타티온
우리가 섭취한 약이나 기타 음식물 속에 들어 있는 화학성분을 해독시켜주는 작용을 하므로 간의 해독작용을 전폭적으로 지원해주는 성분이다. 실리마린은 류코트린(leukotrien-간을 손상시키는 효소의 일종)의 생성을 방해하여 간을 보호한다.
엉겅퀴 채취와 사용법
엉겅퀴는 간세포를 활성화 시켜주고 저희 남편 간염 잡아준 일등 공신이 이 엉겅퀴이다. 채취 할 때 꼭 장갑끼고 해야 하고 봄, 여름, 가을까지 뿌리는 채취를 하지 않는 게 좋다. 뿌리는 양기 저장소인데 봄부터 늦가을까지 양기를 저장 하는 곳이 뿌리이다. 늦가을 부터인 겨울에 뿌리를 채취해서 보면 가운데 대공에 동공이 있는데 그곳은 겨울을 나기 위한 벌레들의 공간이다.
뿌리는 아주 늦은 가을, 일년에 딱 한번만 캐어서, 항아리에 담으면 일주일 뒤에 보면 뿌리에 핏빛액체가 나온다. 경이롭기까지하다. 그 따스함이 아마도 그래서 간에 유용한 식물인가 보다.
엉겅퀴의 약재 이용법은 먼저 여름철에서 가을철 사이에 전초를 채취한다. 엉겅퀴의 생것을 그대로 써도 되고, 햇볕에 말려 두었다가 써도 된다. 간질환과 산후부종에는 하루에 생뿌리30~60그램이나, 말린 뿌리 6~12그램을 달여 먹거나 즙을 내어 먹는다.
치료효과를 더욱 높이려면 간질환의 경우, 엉겅퀴에다 결명자, 구기자, 질경이, 민들레, 쇠비름, 인진쑥, 수양버들의 새순, 옥수수수염, 참빗살나무, 유근피, 산머루덩굴, 노나무, 민물고둥(산 것만 골라 써야 한다), 천황련, 집오리 등의 민간약을 같은 양으로 함께 넣어 달여 먹는다.
또 산후부종의 경우에는 엉겅퀴와 함께 늙은 호박, 대추, 계피, 당귀, 천궁, 작약, 민들레, 쇠비름, 쇠무릎, 은행나무의 새순, 수양버들의 새순, 옥수수수염, 택사, 목통, 참빗살나무, 유근피를 역시 같은 양으로 넣어 달여 먹는다.
이같은 간질환과 산후부종 치료효과 외에도 엉겅퀴는 유방암, 외상, 종창, 피부염, 신경통, 각혈, 구토, 대하증, 출혈, 위염, 소변장애, 정력부족, 각기, 치질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민간약이다.
유방암은 생잎이나 생뿌리를 찧어 달걀 흰자위에 개어 환부에 붙인다.
외상, 종창, 피부염에는 생뿌리를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으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생잎을 찧어 붙여도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산보방(産寶方)>은 "부인의 하혈에 엉겅퀴 뿌리를 즙으로 짜서 마시면 즉효하다"라고도 하였다.
또 관절염, 신경통, 견비통 등에는 소주 1.8리터에 엉겅퀴 생뿌리 3백 그램이나 말린 뿌리 50그램을 담가 5개월 이상 숙성시켜 복용하면 유용하다.
각혈, 구토, 대하증, 출혈, 위염, 소변장애, 정력부족, 각기 등에는 엉겅퀴 마른 뿌리를 기준으로 매일 10~20그램씩 달여 먹으면 치료에 도움이 된다. 또 척추카리에스에는 잎과 뿌리의 생즙에 밀가루를 반죽하여 환부에 붙이고, 치질에는 잎과 뿌리를 삶아 그 물로 환부를 세척하면 효과가 있다.
엉겅퀴 식용법
한편 엉겅퀴는 잎과 줄기에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회분, 무기질,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 높은 식품이기도 하다. 봄, 여름에 돋아나는 비교적 가시가 연한 어린 잎은 살짝 데쳐서 약간 쓴 맛을 우려낸 뒤나물로 무쳐 먹고, 가을에 나온 잎이나 뿌리는 된장국과 찌개를 해서 먹으면 좋다.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어린 순보다는 크게 자란 줄기를 조림이나 저림 등으로 만들어 먹고 있다.
또 엉겅퀴의 씨를 차로 끓여 마셔도 좋은데, 이용법은 맥주잔으로 한 잔 정도의 끓는 물에 잘게 부순 엉겅퀴 씨를 한 찻숟갈 넣는다. 그리고 10-15분 간 뚜껑을 덮고 우려낸 뒤 식사 30분 전과 잠자기 30분 전에 뜨거운 상태에서 마신다. 페퍼민트 차를 혼합하면 맛뿐만 아니라, 약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간에 좋은 엉겅퀴에 대해서 SBS에 출연한 재미학자인 <이준남박사>의 유투브 동영상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1, http://youtu.be/mAWZW7gI8es
2, http://youtu.be/JJqr-AF5XAs
필자가 동영상 자막을 워드로 옮긴글은 아래와 같다.
[건강 100세 스페설
sbs 100세 건강특집 이준남 박사
재미의학자 이준남 특별강연
새롭게 떠오르는 영양소들
제일 먼저 엉겅퀴에 대해 말씀드릴께요.
[자막: 새롭게 떠오르는 영양소들 ① 엉겅퀴 추출물 실리마린]
먹을기회는 힘들어요. 먹기도 힘들고요. 나물도 못해먹을 정도로 굉장히 억센건데, 거기서 나오는 성분이 간에는 아마 그보다 더 좋은게 없을 만큼 굉장히 강력하게 간을 튼튼하게 만들어줍니다.
[자막: 엉겅퀴에 간을 튼튼하게 만드는 강력한 성분이...]
엉겅퀴 여러분들 꼭 기억하세요. 엉겅퀴 안에 들어 있는 성분이 '실리마린'입니다. '실리마린' 성분이 간에 친화성을 갖고 있습니다.
[자막: 실리마린, 엉겅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산화방지제 작용, 간의 해독작용, 간세포 재생 효능이 뛰어남]
온몸에 퍼지는데 간에 제일 많이 가요. 그래서 간에 어떤문제가 있더라도, 다시말씀드리지만 거의 어떤 문제있더라도, 예를들면 4염화탄소, 4염화탄소라 합니다.
간에는 굉장히 나쁜 가스예요. 그걸 마시면 간이 그냥 녹아버려요. 실험실에서 '실리마린' 그게 엉겅퀴죠. 그거를 쥐에다 미리 주고서, 그 4염화탄소라는 것을 이렇게 쏘였더니 그쪽은 멀쩡해요 간이, 그걸 주지 않은 쥐들은 간이 다 녹아버린거라, 우리몸 간에 나쁜게 여러가지있죠? 술이 어떻습니까? 안좋죠. 별로 안좋죠 간에요? 예. 술많이 먹는 사람이 지방간이 되요. 또 과체중인 사람이 지방간이 되는데 지방간이 그게 간경화증으로 갑니다. 지방간이 상당히 위험한것이나 '실리마린' 먹으면 그게 녹아요.
[자막: 실리마린(엉겅퀴 추출물)은 지방간 해소에 효과!]
그뿐만 아니라 간이 경화된다는 것은 큰 간이 줄어들어서 단단해졌다는것 실지로 단단해요. 그래서 경화, 간경화증인데 아주 심하게 간경화가 일어나지 않는 사람들은 엉겅퀴를 먹으면 그게 풀려요.
[자막: 실리마린: 간경화증에도 효과!]
그정도로 엉겅퀴가 간에 아주 좋습니다. 또 담석증 여자분들 많이 갖고 계시죠. 한사람의 남자가 있다면 4사람의 여자가 담석증을 갖고 있습니다. 웬일인지 모르지만 여자에게 많은게 담석증인데, 담석증이라는 것은 담즙이 끈끈하게 그러니까 잘게 묽지가 않아서, 간에서 담즙이 만들어지거든요. 그게 담도를 타고 내려오는데, 그래서 장으로 내려가야 된다고요. 그런데 그게 끈끈해져 가지고 그게 침전이 된거가 담석이 되요. 돌처럼 된다고 그게 담석증이 되어. 실리마린 엉겅퀴를 먹으면 담석증이 풀어지기 시작해요.
[자막: 실리마린(담석증 완화)]
그러니까 혹시 여러분들 중에서 담석증이 있으면, 오른쪽 옆구리가 아프거든요. 소화가 안되고 담석증 걱정들 하셔야 돼. 진단이 쉽게되요. 요샌 수술도 구멍 몇개 내서 갈아서 빼거든요. 간단한 수술로 되는데 수술받기 싫으신분들은 '실리마린'을 장복하시면 담석증까지 녹아요. 아니면 더 이상 진행이 안될 정도로 굉장히 좋습니다.
미국에 있는 한국환자가 B형간염을 앓았어요. B형간염을 앓으면 참 괴롭잖아요. 언제 이게 간경화로 될지 모르거든. 그래서 제가 '실리마린'을 처방을 했어요. 한 2년 먹었는데 B형간염이 없어진거에요. 제 환자였어요. 그게 무슨 소리냐 하면요. 실리마린이 간경화를 좋게 만든다 그랬죠. 간 조직을 재활시키는 거야 재생, 그러니까 B형간염, C형간염을 바이러스가 아직 숨어 있거든요. B형간염, C형간염 앓게 되면 일생동안 바이러스가 숨어 있어요.
그걸 죽인거라. 그래서 실리마린이 굉장히 좋다는 것, 그게 엉겅퀴라는 것, 심지어는요 항암치료를 받는다든가, 또 무슨 장기 질환들이 있어가지고, 약을 장기 복용하시는 분들은 간에 부담을 줄수가 있거든요? 그런분들은 실리마린을 같이드시게 되면 간은 굉장히 깨끗해져요. 하여튼 엉겅퀴는 우리몸 특히 간에 굉장히 좋은 영양제라는걸 제가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니다.]
전세계 엉겅퀴 종류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엉겅퀴 종류에 대해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아래와 같이 밝혀주고 있다.
[엉겅퀴
[한국 서식 엉겅퀴 종류(28종)]
1, 가는정영엉겅퀴(Cirsium chanroenicum var. lanceolata Kitam.)
2, 가시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Kitam.)
3, 개엉겅퀴(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4,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5, 깃잎고려엉겅퀴(Cirxium setidens (Dunn) Nakai var. pinnatifolium Y. Lee)
6, 도깨비엉겅퀴(Cirsium schantarense Trautv. & Mey.)
7,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8, 물엉겅퀴(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9, 민흰잎엉겅퀴(Cirsium vlassovianum var. album Nakai)
10, 바늘엉겅퀴(Cirsium rhinoceros (H.Lev. &Vaniot) Nakai)
11, 버들잎엉겅퀴(Cirsium lineare (Thunb.) Sch.Bip.)
12, 서양가시엉겅퀴(Cirsium vulgare (Savi) Ten.)
13,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14, 점봉산엉겅퀴(Cirsium zenii Nakai)
15, 정영엉겅퀴(Cirsium chanroenicum (L.) Nakai)
16, 제주엉겅퀴(Cirsium chinense Gardner &Cham.)
17, 좁은잎엉겅퀴(참엉겅퀴: Cirsium japonicum for. nakaianum (H.Lev. &Vaniot) W.T.Lee)
18,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 L. )
19, 카나다엉겅퀴(Cirsium arvense Scop.)
20, 큰엉겅퀴(Cirsium pendulum Fisch. ex DC.)
21, 흰가시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spinosissimum for. alba T.B.Lee)
22, 흰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for. alba T.B.Lee)
23, 흰꽃잎엉겅퀴(Cirsium vlassovianum for. leucanthum Kitam.)
24, 흰도깨비엉겅퀴(Cirsium schantarense for. albiflorum Y.N.Lee)
25, 흰바늘엉겅퀴(Cirsium rhinoceros for. albiflorum Sakata)
26, 흰잎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var. niveoaraneum Kitam.)
27, 흰잎엉겅퀴(Cirsium vlassovianum Fisch. ex DC.)
28,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 L.)
[그 밖의 종과 영어 이름(135종)]
1, Cirsium acarna - Soldier Thistle
2, Cirsium acaule - Stemless Thistle, Dwarf Thistle
3, Cirsium altissimum - Roadside Thistle, Tall Thistle
4, Cirsium amblylepis - Mt. Tamalpais Thistle
5, Cirsium andersonii - Anderson's Thistle, Rose Thistle
6, Cirsium andrewsii - Franciscan Thistle
7, Cirsium araneans - Jeweled Thistle
8, Cirsium arcuum - Powderpuff Thistle
9, Cirsium aridum - Desert Thistle
10, Cirsium arizonicum - Arizona Thistle
11, Cirsium arvense var.argenteum
12, Cirsium arvense var. integrifolium
13, Cirsium arvense var. mite
14, Cirsium arvense var. vestitum
15, Cirsium barnebyi - Barneby's Thistle
16, Cirsium brachycephalum
17, Cirsium brevifolium - Palouse Thistle
18, Cirsium brevistylum - Clustered Thistle
19, Cirsium calcareum - Cainville Thistle
20, Cirsium californicum - California Thistle
21, Cirsium callilepis - Fringebract Thistle
22, Cirsium campylon - Mount Hamilton Thistle
23, Cirsium canescens - Platte Thistle, Prairie Thistle
24, Cirsium canovirens - Graygreen Thistle
25, Cirsium canum - Queen Anne's Thistle
26, Cirsium carolinianum - Carolina Thistle, Soft Thistle
27, Cirsium caulescens
28, Cirsium centaureae
29, Cirsium chellyense - Queen Thistle
30, Cirsium chuskaense - Monarch Thistle
31, Cirsium ciliolatum - Ashland Thistle
32, Cirsium clavatum - Lake Thistle
33, Cirsium clokeyi - Charleston Mountain Thistle, Whitespine Thistle
34, Cirsium congdonii - Rosette Thistle
35, Cirsium costaricense
36, Cirsium coulteri - Coulter's Thistle
37, Cirsium crassicaule - Slough Thistle
38, Cirsium cymosum - Peregrine Thistle
39, Cirsium diacanthum
40, Cirsium discolor - Field Thistle, Pasture Thistle
41, Cirsium douglasii - Thistle
42, Cirsium drummondii - Dwarf Thistle
43, Cirsium durangense
44, Cirsium eatonii - Eaton's Thistle
45, Cirsium edule - Edible Thistle
46, Cirsium engelmannii - Engelmann Thistle, Engelmann's Thistle
47, Cirsium eriophorum - Woolly Thistle
48, Cirsium erisithales - Yellow Melancholy Thistle
49, Cirsium esculentum
50, Cirsium flodmanii - Flodman Thistle, Flodman's Thistle
51, Cirsium foliosum - Drummond's Thistle, Elk Thistle, Leafy Thistle, Meadow Thistle
52, Cirsium fontinale - Fountain Thistle
53, Cirsium gilense - Gila Thistle
54, Cirsium grahamii - Graham's Thistle
55, Cirsium griseum - Gray Thistle
56, Cirsium hallii - Hall's Thistle
57, Cirsium helenioides - Melancholy Thistle, Common Melancholy Thistle
58, Cirsium heterophyllum - Melancholy Thistle
59, Cirsium hillii - Hill's Thistle
60, Cirsium hookerianum - White Thistle
61, Cirsium horridulum - Yellow Thistle
62, Cirsium humboldtense - Humboldt County Thistle
63, Cirsium hydrophilum - Suisun Thistle
64, Cirsium hypoleucum
65, Cirsium inornatum - Cloudcroft Thistle
66, Cirsium kamtschaticum - Kamchatka Thistle
67, Cirsium lanatum - Hairy Thistle
68, Cirsium laterifolium - Porcupine Thistle
69, Cirsium lecontei - Le Conte's Thistle
70, Cirsium leo
71, Cirsium libanoticum
72, Cirsium loncholepis - LaGgraciosa Thistle
73, Cirsium longistylum - Longstyle Thistle
74, Cirsium maritimum
75, Cirsium mendocinum - Mendocino Thistle
76, Cirsium mexicanum - Mexican Thistle
77, Cirsium modestum - Lacy Thistle
78, Cirsium mohavense - Mojave Thistle
79, Cirsium murdockii - Murdock's Thistle
80, Cirsium muticum - Swamp Thistle
81, Cirsium navajoense - Navajo Thistle
82, Cirsium neomexicanum - Lavender Thistle, New Mexico Thistle
83, Cirsium nuttallii - Nuttall's Thistle
84, Cirsium occidentale -Cobweb Thistle
85, Cirsium ochrocentrum - Yellowspine Thistle
86, Cirsium oleraceum - Cabbage thistle
87, Cirsium olivescens - Summer Thistle
88, Cirsium oreophilum - Crow Thistle
89, Cirsium osterhoutii - Osterhout's Thistle
90, Cirsium ownbeyi - Ownbey's Thistle
91, Cirsium pallidum - Pale Thistle
92, Cirsium palustre - Marsh thistle, European Swamp Thistle
93, Cirsium parryi - Parry's Thistle
94, Cirsium pastoris - Snowy Thistle
95, Cirsium peckii - Steen Mountain Thistle
96, Cirsium perplexans - Rocky Mountain Thistle
97, Cirsium pitcheri - Pitcher's Thistle, Sand Dune Thistle
98, Cirsium praeteriens - Palo Alto Thistle, Lost Thistle
99, Cirsium proteanum - Red Thistle
100, Cirsium pulcherrimum - Wyoming Thistle
101, Cirsium pumilum - Pasture Thistle
102, Cirsium pyrenaicum
103, Cirsium quercetorum - Alameda County Thistle
104, Cirsium remotifolium - Fewleaf Thistle
105, Cirsium remotifolium var. remotifolium - Fewleaf Thistle
106, Cirsium repandum - Sandhill Thistle
107, Cirsium rhaphilepis
108, Cirsium rhothophilum - Surf Thistle
109, Cirsium rivulare
110, Cirsium rothrockii - Rothrock's Thistle
111, Cirsium rusbyi - Rusby's Thistle
112, Cirsium rydbergii - Rydberg's Thistle
113, Cirsium scabrum - Rough Thistle
114, Cirsium scapanolepis - Mountain slope Thistle
115, Cirsium scariosum - Meadow Thistle
116, Cirsium scopulorum - Mountain Thistle
117, Cirsium segetum
118, Cirsium serrulatum
119, Cirsium spinosissimum
120, Cirsium subniveum - Gray Thistle, Jackson Hole Thistle
121, Cirsium tanakae
122, Cirsium texanum - Texas Thistle
123, Cirsium tioganum - Stemless Thistle
124, Cirsium turneri - Cliff Thistle
125, Cirsium undulatum - Gray Thistle, Wavy-leaf Thistle, Wavyleaf Thistle
126, Cirsium undulatum var. tracyi - Tracy's Thistle, Wavyleaf Thistle
127, Cirsium undulatum var. undulatum - Wavyleaf Thistle
128, Cirsium validus - Graceful Thistle
129, Cirsium vernale - Spring Thistle
130, Cirsium vinaceum - Sacramento Mountain Thistle, Sacramento Mountains Thistle
131, Cirsium virginense - Virgin Thistle
132, Cirsium virginianum - Virginia Thistle
133, Cirsium wheeleri - Wheeler Thistle, Wheeler's Thistle
134, Cirsium wrightii - Wright Thistle, Wright's Thistle
135, Cirsium wrightii - Wright Thistle, Wright's Thistle
[기타 잡종 엉겅퀴 종류(5종)]
1, Cirsium × canalense - Canal Thistle
2, Cirsium × crassum - Thistle
3, Cirsium × erosum - Glory Thistle
4, Cirsium × iowense - Iowa Thistle
5, Cirsium × vancouverense - Vancouver Thistle.]
※ 일본 <위키백과사전>에서는 기록하기를 엉겅퀴는 전세계에 250종 이상이 분포되어 있으며 일본에는 100종 이상이 분포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새로운 종류가 계속 밝혀지고 있다고 한다. 아래에 일본에서 비교적 분포도가 넓은 엉겅퀴 종류는 아래와 같다.
[아자미(アザミ)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移動先: 案内、 検索 生物学・分類学上のアザミについては「アザミ属」をご覧ください。
Scottish thistle as a Heraldic badge.アザミ(薊)は、キク科アザミ属 (Cirsium) 及びそれに類する植物の総称。標準和名を単にアザミとする種はない。スコットランドの国花。
世界に250種以上があり、北半球に広く分布する。地方変異が非常に多く、日本では100種以上あるとされるが、現在も新種が見つかることがある。さらに種間の雑種もあるので、分類が難しい場合もある。
以下の種は比較的分布が広いものである。
1, ノアザミ C. japonicum DC.:春のアザミは大体これと考えてよい。本州〜九州。この種の園芸品種をドイツアザミというが、実際はドイツとは無関係である。
2, タイアザミ C. nipponicum var. incomptum:大薊。大きなアザミのことで、別名、トネアザミ(利根薊)という。ナンブアザミの変種で関東地方に多い。
3, フジアザミ C. purpratum (Maxim) Matsum.:花の直径が8cmにも達する(花の画像:フラボン)。関東〜中部地方の山地。
4, ノハラアザミ C. tanakae :秋に花を咲かせる。本州中部地方以北の山地。
5, ハマアザミ C. martitimum Makino:海岸性のアザミで、葉が厚くてつやがある。本州中部以南、九州までの太平洋岸。
6, モリアザミ C. dipsacolepis (Maxim) Matsum.:本州〜九州の草原。時に食用に栽培される。
7, ナンブアザミ C. nipponicum (Maxim) Makino:本州中北部では普通。変種を含めると、四国まで一帯に分布。
8, オニアザミ C. borealinipponense Kitam.:中部地方、東北地方の日本海側。
9, キセルアザミ C. sieboldii :湿原。
10, サワアザミ C. yezoense :近畿以北の日本海側沢沿。
11, タチアザミ C.inundatum Makino: 北海道から本州の日本海側の湿地。
12, ツクシアザミ C. suffltum (Maxim.) Matsum.:九州では一番普通なアザミ。四国、九州に分布。
13, タカアザミ C. pendulum Fisch. ex DC.:北海道、本州の北部に分布。東アジアにも分布する。ごく分布の限られたものも多い。
14, チョウカイアザミ C. chokaiensis Kitam.:東北鳥海山の高山の草原。
15, オゼヌマアザミ C. homolepis Nakai:尾瀬およびその周辺の湿地のごく一部区域。
16, アイズヒメアザミ C. aidzuense Nakai ex Kitam.:本州日本海側のごく一部区域。
17, ジョウシュウオニアザミ C. okamotoi Kitam.:群馬県、新潟県の県境の山域のごく一部区域。
◎ 南方島嶼には以下の種がある。
19, シマアザミ C. breviaule A. Gray:南西諸島に分布。
20, オガサワラアザミ C. boninense Koidz.:小笠原諸島に分布.]
[엉겅퀴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그늘지고 서늘한 기후를 좋아 한다. 토충이 두껍고 비옥하며 푸석푸석하고 습윤한 곳에서 잘 자란다.
2, 심기: 종자 번식을 사용한다. 중국의 사천(四川)지역에서는 9월에 파종한다. 잘 고른 땅에 너비가1.3m되는 높은 두둑을 만들고 이랑 간격과 포기 간격을 각각 약 33cm로 하고 깊이가 3~6cm되는 구덩이를 파며 사람, 가축의 분뇨을 준다. 1무(畝)에 약 500g을 종자를 쓴다. 종자회(種子灰)를 만들어 파종한다. 파종한 후 보드라운 흙을 1cm의 두께로 덮는다. 싹이 나오면 구덩이 속의 잡초를 없애고 사람의 분뇨를 덧거름으로 주어야 한다.
3, 경지관리: 2년째 되는 4월에 싹이 성긴 곳에 다시 옮겨 심거나 하여 1개 구덩이에 모가 2~3개씩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첫 번째의 사이갈이와 김매기를 하고 덧거름을 준다. 두 번째는 겨울의 도묘(倒苗)후에 한다. 세 번째는 봄에 묘가 나온 후에 하여야 한다. 비료를 봄에는 사람, 가축의 분뇨, 겨울에는 퇴비를 주거나 재를 구덩이에 주어야 한다. [중약대사전]
최근에 민간에서는 각종 간장질환인 간염, 급만성간염, B형간염, C형간염, 간경화, 간암에 이르기까지 간장 질환의 특효약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식물이 엉겅퀴이다. 서양에서는 우리나라 엉겅퀴와 비슷한 식물이 있는데, 그 이름을 '밀크시슬(Milk Thistle)'이라고 부른다.
그 효능을 보면 <청열해독, 보간, 이담, 보뇌, 항방사선, 각종 간장병, 쓸개계통의 질병, 소화촉진, 모유부족, 기침, 우울증, 비장계통의 질병, 소화기계통의 질병, 알콜중독, 마약해독, 만성 간염, 간경변증, 카드뮴 중독, 멀미, 심장병>에 효험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밀크시슬에 대한 상세한 효능은 아래에 <밀크시슬 무엇인가?>를 참조해 볼 수 있다.
농촌에서는 엉겅퀴의 어린 잎을 나물 또는 국거리로 하며 연한 줄기는 껍질을 벗겨 된장이나 고추장에 박아 두었다 먹기도 한다. 봄철 또는 가을철에도 야산에는 엉겅퀴가 새로 올라온 것이 있는데, 된장국에 넣어서 먹으면 입안에서 가시가 약간 찌르는 듯 하면서도 상큼한 향이있어 미각을 돋구어 주기도 한다. 직접 채취하여 누구나 그 맛과 향을 음미해 보기를 바란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외래교수 전동명)